Skip to main content

TEXTS 6-7

제6~7절

Tekst

원문

mahā-bhūtāny ahaṅkāro
buddhir avyaktam eva ca
indriyāṇi daśaikaṁ ca
pañca cendriya-gocarāḥ
마하-부따냐항까로 mahā-bhūtāny ahaṅkāro
붇디르 아뱍땀 에바 짜 buddhir avyaktam eva ca
인드리야니 다샤이깜 짜 indriyāṇi daśaikaṁ ca
빤짜 쩬드리야-고짜라하 pañca cendriya-gocarāḥ
icchā dveṣaḥ sukhaṁ duḥkhaṁ
saṅghātaś cetanā dhṛtiḥ
etat kṣetraṁ samāsena
sa-vikāram udāhṛtam
잇차 드베샤 수캄 두캄 icchā dveṣaḥ sukhaṁ duḥkhaṁ
상가따스 쩨따나 드리띠히 saṅghātaś cetanā dhṛtiḥ
에땃 끄세뜨람 사마세나 etat kṣetraṁ samāsena
사-비까람 우다흐리땀 sa-vikāram udāhṛtam

Synonyms

동의어

mahā-bhūtāni — põhielemendid; ahaṅkāraḥ — vale ego; buddhiḥ — arukus; avyaktam — mitteavaldunu; eva — kindlasti; ca — samuti; indriyāṇi — meeled; daśa-ekam — üksteist; ca — samuti; pañca — viis; ca — samuti; indriya-go-carāḥ — meelte ihaldusobjektid; icchā — iha; dveṣaḥ — viha; sukham — õnn; duḥkham — ahastus; saṅghātaḥ — kogum; cetanā — elu tunnused; dhṛtiḥ — veendumus; etat — kõik see; kṣetram — tegevusväli; samāsena — kokkuvõttes; sa-vikāram — vastasmõjudega; udāhṛtam — on näiteks.

마하-부따니: 위대한 구성요소들, 아항까라하: 거짓 자아, 붇디히: 지성, 아뱍땀: 비발현, 에바: 분명히, 짜: 또한, 인드리야니: 감각들, 다샤-에깜: 열하나, 짜: 또한, 빤짜: 다섯, 짜: 또한, 인드리야-고-짜라하: 감각의 대상들, 잇차: 바라다, 드베샤: 증오, 수캄: 행복, 두캄: 불행, 상가따하: 모두 합한 것, 쩨따나: 살아있는 징후, 드리띠히: 확신, 에땃: 이 모든, 끄세뜨람: 행위의 장, 사마세나: 요약해서, 사-비까람: 상호작용으로, 우다흐리땀: 예가 되다.

Translation

번역

Viis põhielementi, vale ego, arukus, mitteavaldunu, kümme meelt ning mõistus, viis meelte ihaldusobjekti, iha, viha, õnn, ahastus, materiaalsete elementide kogum, elu tunnused ning veendumus – kõik see moodustab üheskoos tegevusvälja ning selle muutused.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 거짓 자아, 지성, 발현되지 않은 것, 열 가지의 감각과 마음, 다섯 가지의 감각 대상, 욕망, 증오, 행복, 불행, 총집합, 생명의 징후, 그리고 확신, 요약해서 이 모든 것이 행위의 장과 그 상호작용으로 여겨진다.

Purport

주석

Kõikidest suurte tarkade kinnitustest, vedalikest hümnidest ja „Vedānta- sūtra" aforismidest võime teha selle maailma komponentide kohta järgmise järelduse. Esiteks eksisteerivad maa, vesi, tuli, õhk ja eeter. Need on viis põhielementi, mida kokku nimetatakse mahā-bhūtaks. Neile järgnevad vale ego, arukus ning materiaalse maailma kolm guṇat mitteavaldunud kujul. Neile järgnevad omakorda viis teadmiste omandamist võimaldavat meelt: silmad, kõrvad, nina, keel ja nahk; ning viis tegutsemismeelt: hääl, jalad, käed, pärak ning suguelundid. Meeltest kõrgemale jääb mõistus, mida võib nimetada sisemiseks meeleks. Seega eksisteerib mõistusega kokku üksteist meelt. Samuti eksisteerib viis meelte ihaldusobjekti: lõhn, maitse, kuju, puudutus ning heli. Kokku nimetatakse neid kahtekümmet nelja elementi tegevusväljaks. Kui inimene asub neid kahtekümmet nelja elementi analüütiliselt uurima, võib ta väga hästi aru saada, milline on tegevusvälja olemus. Samuti eksisteerivad iha, viha, õnn ja ahastus, mis on viie põhielemendi vastastikuste mõjude avaldumised jämedakoelises kehas. Elu tunnused, mida esindab teadvus, ning veendumused, on peenekoelise keha – s.o. mõistuse, ego ja arukuse – avaldumised. Ka need peenekoelised elemendid loetakse tegevusvälja hulka.

위대한 성인들의 권위 있는 말씀, 베다의 찬가들과 베단따 수뜨라의 경구들에 따르면 이 세계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흙, 물, 불, 공기 그리고 하늘(空)이 있고, 이들이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마하 부따 mahā-bhūta)이다. 그다음이 거짓 자아와 지성, 그리고 발현되지 않은 세 가지 물질계의 본성이다. 그다음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오관이 있다. 눈, 코, 혀, 귀 그리고 피부가 그것이다. 그다음이 다섯 가지 작용하는 감각으로 목소리, 팔, 다리, 항문과 생식기이다. 그다음 모든 감각 위에 있으며 몸 안에 존재하는 내면의 감각이라 불리는 마음이 있다. 그러므로 마음을 합해서 모두 열 한 개의 감각이 있다. 그다음 다섯 감각의 대상이 있다. 그것은 냄새, 맛, 형상, 촉감과 소리이다. 이 스물네 개의 구성요소의 총집합을 행위의 장이라 한다. 이 스물네 개의 주제를 분석적으로 연구하면 행위의 장을 매우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다음에 욕망, 증오, 행복과 불행이 있는데, 이것들은 총체 육신 안에서 다섯 개의 큰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해서 나타나는 것이다. 의식과 확신으로 나타나는 생명의 징후는 미세 육신, 즉 마음과 거짓 자아, 그리고 지성의 발현이다. 이 미세 육신의 구성요소 역시 행위의 장에 포함된다.

Viis põhielementi on vale ego jämedakoeline avaldumine, mis omakorda esindab vale ego algstaadiumit, mida tähistatakse terminiga „materialistlik kontseptsioon" ehk tāmasa-buddhi (teadmatuse mõju all olev arukus). See esindab aga omakorda materiaalse looduse kolme guṇat nende mitteavaldunud kujul. Materiaalse looduse kolme guṇat nende mitteavaldunud kujul nimetatakse pradhānaks.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는 거짓 자아의 총체적 표시로서, 이 거짓 자아를 학술 용어로 따마사-붇디(tāmasa-buddhi 무지 속의 지성)라고 하며 물질주의적 개념을 의미한다.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가 거짓 자아의 초기 단계를 차례로 대표한다. 이것은 또한 발현하지 않은 단계에 있는 물질적 본성의 세 가지 양태를 나타낸다. 발현하지 않은 상태의 물질적 본성을 쁘라다나(pradhāna)라고 한다.

See, kes tahab omandada üksikasjalikud teadmised neist kahekümne neljast elemendist ja nende vastastikustest mõjudest, peaks uurima filosoofiat detailsemalt. „Bhagavad-gītās" tuuakse ära ainult üldistav kokkuvõte.

이 스물네 가지 구성요소와 그들의 상호작용을 자세히 알고자 하는 자는 더 상세히 철학을 공부해야 한다. 바가바드 기따는 그 대강만을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Keha on kõikide nende tegurite esindaja ning see allub kuuele muutusele: keha sünnib, kasvab, säilib teatud aja jooksul, loob kõrvalsaadusi, seejärel kängub ning lõpuks hävib. Seepärast on tegevusväli ajalik, materiaalne nähtus. Tegevusvälja tundja ja omaniku ehk kṣetra-jña olemus on aga teistsugune.

몸은 이 모든 요소의 대표이며 몸은 여섯 단계로 변해간다. 태어나서, 자라고, 한동안 유지되고, 부산물을 생산하고, 그다음 쇠퇴하고 마침내 소멸한다. 그러므로 이 행위의 장은 영원성이 없는 물질적인 것이다. 그러나 끄쉐뜨라-갸, 이 행위의 장을 아는 자, 즉 그 소유자는 행위의 장과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