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서문

Introduction

옴 아갸나-띠미란다샤 oṁ ajñāna-timirāndhasya
갸난자나-샬라까야 jñānāñjana-śalākayā
짝슈르 운밀리땀 예나 cakṣur unmīlitaṁ yena
따스마이 스리-구라베 나마하 tasmai śrī-gurave namaḥ
oṁ ajñāna-timirāndhasya
jñānāñjana-śalākayā
cakṣur unmīlitaṁ yena
tasmai śrī-gurave namaḥ
스리-짜이따냐-마노-비쉬땀 śrī-caitanya-mano-’bhīṣṭaṁ
스따삐땀 예나 부-딸레 sthāpitaṁ yena bhū-tale
스바얌 루빠 까다 마햠 svayaṁ rūpaḥ kadā mahyaṁ
다다띠 스바-빠단띠깜 dadāti sva-padāntikam
śrī-caitanya-mano-’bhīṣṭaṁ
sthāpitaṁ yena bhū-tale
svayaṁ rūpaḥ kadā mahyaṁ
dadāti sva-padāntikam

저는 암흑 같은 무지로 태어났으나 제 영적 스승께서 지식의 횃불로 제 눈을 밝혀 주셨습니다. 그런 영적 스승님께 경배합니다.

J’étais plongé dans les plus profondes ténèbres de l’ignorance, mais avec le flambeau de la connaissance, mon maître spirituel m’a ouvert les yeux. Je lui rends mon hommage respectueux.

이 물질계 안에 주 짜이따냐의 소망을 성취하기 위한 임무를 확립하신 스릴라 루빠 고스와미 쁘라부빠다(Śrīla Rūpa Gosvāmī Prabhupāda)께서는 언제 당신의 연꽃 같은 발아래 제가 은신하도록 허락하실까요?

Quand donc Śrīla Rūpa Gosvāmī Prabhupāda, qui a institué ici-bas cette grande mission pour répondre au désir de Śrī Caitanya, m’accordera-t-il refuge sous ses pieds pareils-au-lotus ?

반데’ 함 스리-구로 스리-유따-빠다- vande ’haṁ śrī-guroḥ śrī-yuta-pada-
까말람 스리-구룬 바이쉬나밤스 짜 kamalaṁ śrī-gurūn vaiṣṇavāṁś ca
스리-루빰 사그라자땀 사하-가나- śrī-rūpaṁ sāgrajātaṁ saha-gaṇa-
라구나탄비땀 땀 사-지밤 raghunāthānvitaṁ taṁ sa-jīvam
사드바이땀 사바두땀 빠리자나- sādvaitaṁ sāvadhūtaṁ parijana-
사히땀 끄리쉬나-짜이따냐-데밤 sahitaṁ kṛṣṇa-caitanya-devaṁ
스리-라다-끄리쉬나-빠단 사하-가나- śrī-rādhā-kṛṣṇa-pādān saha-gaṇa-
랄리따-스리-비샤칸비땀스 짜 lalitā-śrī-viśākhānvitāṁś ca
vande ’haṁ śrī-guroḥ śrī-yuta-pada-
kamalaṁ śrī-gurūn vaiṣṇavāṁś ca
śrī-rūpaṁ sāgrajātaṁ saha-gaṇa-
raghunāthānvitaṁ taṁ sa-jīvam
sādvaitaṁ sāvadhūtaṁ parijana-
sahitaṁ kṛṣṇa-caitanya-devaṁ
śrī-rādhā-kṛṣṇa-pādān saha-gaṇa-
lalitā-śrī-viśākhānvitāṁś ca

제 영적 스승님의 연꽃 같은 발과 모든 바이쉬나바(Vaiṣṇavas)의 발에 경배합니다. 스릴라 루빠 고스와미와 함께 그의 형 사나따나 고스와미(Sanātana Gosvāmī), 그리고 라구나타 다사(Raghunātha Dāsa), 라구나타 밧따(Raghunātha Bhaṭṭa), 고빨라 밧따(Gopāla Bhaṭṭa)와 스릴라 지바 고스와미(Śrīla Jīva Gosvāmī)께도 경배합니다. 주 끄리쉬나 짜이따냐(Lord Kṛṣṇa Caitanya)께 경배하며 주 니땨난다(Lord Nityānanda)와 아드바이따 아짜리아(Advaita Ācārya), 가다다라(Gadādhara), 스리바사(Śrīvāsa)와 다른 동반자들께도 경배합니다. 그들의 동반자 스리 랄리따(Śrī Lalitā), 비샤카(Viśākhā)와 함께 스리마띠 라다라니(Śrīmatī Rādhārāṇī)와 스리 끄리쉬나(Śrī Kṛṣṇa)께 경배합니다.

Je rends mon hommage respectueux aux pieds pareils-au-lotus de mon maître spirituel, de tous les précepteurs de la voie de la dévotion, et de tous les vaiṣṇavas. Mon hommage respectueux également aux pieds pareils-au-lotus de Śrīla Rūpa Gosvāmī et de son frère aîné Sanātana Gosvāmī, de même qu’à Raghunātha Dāsa, Raghunātha Bhaṭṭa, Gopāla Bhaṭṭa et Śrīla Jīva Gosvāmī. J’offre encore mon respectueux hommage à Śrī Kṛṣṇa Caitanya et à Śrī Nityānanda de même qu’à Śrī Advaita Prabhu, Gadādhara, Śrīvāsa et leurs autres compagnons. Et mon hommage enfin à Śrīmatī Rādhārāṇī et à Śrī Kṛṣṇa, comme à Leurs compagnes, Lalitā, Viśākhā et les autres gopīs.

헤 끄리쉬나 까루나-신도 he kṛṣṇa karuṇā-sindho
디나-반도 자갓-빠떼 dīna-bandho jagat-pate
고뻬샤 고삐까-깐따 gopeśa gopikā-kānta
라다-깐따 나모 스뚜 떼 rādhā-kānta namo ’stu te
he kṛṣṇa karuṇā-sindho
dīna-bandho jagat-pate
gopeśa gopikā-kānta
rādhā-kānta namo ’stu te

오 나의 소중한 끄리쉬나시여! 당신은 괴로운 자들의 친구이며 창조의 근원입니다. 당신은 고삐들의 주인이시며 라다라니의 연인이십니다. 그런 당신께 경배합니다.

Ô Kṛṣṇa, océan de miséricorde, Toi l’ami des malheureux et le Seigneur de l’univers, Toi le maître des pâtres, l’amant de Rādhārāṇī et des gopīs, je Te rends mon hommage respectueux.

땁따-깐짜나-고랑기 tapta-kāñcana-gaurāṅgi
라데 브린다바네스바리 rādhe vṛndāvaneśvari
브리샤바누-수떼 데비 vṛṣabhānu-sute devi
쁘라나마미 하리 -쁘리예 praṇamāmi hari-priye
tapta-kāñcana-gaurāṅgi
rādhe vṛndāvaneśvari
vṛṣabhānu-sute devi
praṇamāmi hari-priye

황금색 같은 피부를 한, 브린다반의 여왕 라다라니께 경배합니다. 당신은 브리샤바누 왕의 딸이며 주 끄리쉬나께 아주 소중한 존재이십니다.

Ô Rādhārāṇī, je T’offre mes respects, Toi la reine de Vṛndāvana dont la carnation est d’or en fusion. Ô Toi la fille du roi Vṛṣabhānu, si chère au Seigneur, Kṛṣṇa.

반짜-깔빠-따루뱌스 짜 vāñchā-kalpa-tarubhyaś ca
끄리빠-신두뱌 에바 짜 kṛpā-sindhubhya eva ca
빠띠따남 빠바네뵤 patitānāṁ pāvanebhyo
바이쉬나베뵤 나모 나마하 vaiṣṇavebhyo namo namaḥ
vāñchā-kalpa-tarubhyaś ca
kṛpā-sindhubhya eva ca
patitānāṁ pāvanebhyo
vaiṣṇavebhyo namo namaḥ

주의 모든 바이쉬나바 헌애자들께 경배합니다. 그들은 소망의 나무처럼 모든 이의 소망을 들어줄 수 있고 타락한 영혼들을 향한 동정심으로 가득합니다.

Sans fin, je rends mon hommage respectueux à tous les vaiṣṇavas, les dévots du Seigneur. Ils peuvent, comme l’arbre-à-souhaits, combler les désirs de chacun et débordent de compassion pour les âmes déchues.

스리-끄리쉬나-짜이따냐 쁘라부-니땨난다
śrī-kṛṣṇa-caitanya prabhu-nityānanda
스리-아드바이따 가다다라 스리바사디-고라-박따-브린다
śrī-advaita gadādhara śrīvāsādi-gaura-bhakta-vṛnda
śrī-kṛṣṇa-caitanya prabhu-nityānanda
śrī-advaita gadādhara śrīvāsādi-gaura-bhakta-vṛnda

스리 끄리쉬나 짜이따냐, 쁘라부 니땨난다, 스리 아드바이따, 가다다라, 스리바사와 헌애의 계통에 있는 모든 분께 경배합니다.

Je rends mon hommage respectueux à Śrī Kṛṣṇa Caitanya, Prabhu Nityānanda, Śrī Advaita, Gadādhara, et à tous les dévots de Gaurāṅga menés par Śrīvāsa.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바가바드 기따는 기또빠니샤드(Gītopaniṣad)로 알려져 있다. 바가바드 기따는 베다 지식의 정수이며 베다 문헌에서 가장 중요한 우빠니샤드의 하나이다. 물론 바가바드 기따를 논평한 많은 영어판이 있고 또 다른 번역본이 필요한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이 출판본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최근 한 미국 여성이 나에게 바가바드 기따 영어 번역본을 추천해 달라고 부탁했다. 물론 미국에는 영어로 읽을 수 있는 바가바드 기따 책이 많이 있지만 미국뿐만 아니라 인도에서도 내가 본 책들 어느 하나도 엄격히 권위 있다고 할 수 없다. 거의 모든 책이 바가바드 기따의 정신을 있는 그대로 전하지 않고 주석자 고유의 견해를 피력했기 때문이다.

La Bhagavad-gītā, connue également sous le nom de Gītopaniṣad renferme l’essence du savoir védique. Elle est l’une des Upaniṣads les plus importantes. Il existe d’ailleurs de nombreux commentaires sur l’ouvrage, tellement même, qu’on pourrait s’interroger sur le bien-fondé d’une nouvelle publication. Voici donc ce qui m’a amené à produire la présente édition de ce livre.

Une dame m’a un jour prié de lui recommander une traduction de la Bhagavad-gītā. Bien qu’il y ait eu de multiples versions indiennes et occidentales de l’œuvre, je n’en ai trouvé aucune qui conserve rigoureusement au texte son intégrité originelle. Dans presque toutes, les commentateurs donnent leur opinion personnelle sans réellement rendre tel quel l’esprit de la Bhagavad-gītā.

바가바드 기따의 정신은 바가바드 기따 자체가 설명한다. 우리가 어떤 약을 먹으려면 그 약 봉투에 붙은 지시 사항을 따라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우리 마음대로 약을 먹거나 친구의 지시 사항을 따라서는 안 된다. 반드시 표지에 붙은 지시를 따르거나 약사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마찬가지로 바가바드 기따는 바가바드 기따를 말한 사람의 지시 그대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바가바드 기따의 화자는 주 스리 끄리쉬나이다. 그는 바가바드 기따의 모든 장에서 최고인격신, "바가반(Bhagavān)"으로 불린다. 물론 바가반이라는 단어는 가끔 강력한 사람 혹은 강력한 하위신(demigod)을 의미하기도 하고 여기서 주 스리 끄리쉬나는 분명 강력한 인격(사람) 바가반으로 지칭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샹까라짜리아(Śaṅkarācārya), 라마누자짜리아(Rāmānujācārya), 마드바짜리아(Madhvācārya), 님바르까 스와미(Nimbārka Svāmī), 스리 짜이따냐 마하쁘라부와 같은 모든 위대한 아짜리아(ācāryas: 영적 스승)들과 인도 베다 지식의 다른 많은 권위자가 확증한 것처럼 주 스리 끄리쉬나가 최고인격신(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이라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주 스스로 당신이 최고인격신임을 바가바드 기따 안에서 확립하셨고 브라흐마 삼히따(Brahma-saṁhitā)와 특히 바가바따 뿌라나(Bhāgavata Purāṇa)로 알려진 스리마드 바가바땀은 물론이고 모든 뿌라나에서 끄리쉬나를 최고인격신으로 인정한다 (끄리쉬나 뚜 바가반 스바얌: kṛṣṇas tu bhagavān svayam). 그러므로 최고인격신께서 직접 지도하시는 대로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해야 한다. 기따 제4장에서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신다 (바가바드 기따 4.1~3).

Or cet esprit, l’Écrit lui-même nous le révèle. Tout comme pour prendre un médicament il faut se référer à la posologie, il convient de recevoir la Bhagavad-gītā en observant les directives de Celui qui l’a énoncée. En effet, si nous souhaitons qu’un médicament soit efficace, nous ne le prendrons pas d’une manière fantaisiste, ou selon les recommandations d’un ami, mais bien plutôt nous en tiendrons-nous aux indications de la notice ou aux instructions du médecin. Il en est de même de l’étude de la Bhagavad-gītā.

Au fil des pages, l’identité de Kṛṣṇa s’affirme : Il est Bhagavān, Il est Dieu, la Personne Suprême. Certes, le mot bhagavān désigne parfois une éminente personnalité ou un puissant deva. Et il indique assurément ici que Kṛṣṇa est un personnage de grande importance. Mais il nous faut savoir que Kṛṣṇa est Dieu, la Personne Suprême, ainsi que le confirment tous les grands ācāryas (maîtres spirituels) tels que Śaṅkarācārya, Rāmānujācārya, Madhvācārya, Nimbārka Svāmī, Śrī Caitanya Mahāprabhu et beaucoup d’autres autorités de l’Inde versées dans le savoir védique. En outre, le Seigneur en personne établit Sa divinité suprême dans la Bhagavad-gītā elle-même, divinité que Lui reconnaissent la Brahma-saṁhitā et l’ensemble des Purāṇas, plus particulièrement le Bhāgavata Purāṇa, ou Śrīmad-Bhāgavatam (kṛṣṇas tu bhagavān svayam). Nous devons donc recevoir la Bhagavad-gītā conformément aux directives de Dieu Lui-même.

Dans le quatrième chapitre (4.1–3), le Seigneur dit :

이맘 비바스바떼 요감 imaṁ vivasvate yogaṁ
쁘록따반 아함 아뱌얌 proktavān aham avyayam
비바스반 마나베 쁘라하 vivasvān manave prāha
마누르 익쉬바까베 브라빗 manur ikṣvākave ’bravīt
imaṁ vivasvate yogaṁ
proktavān aham avyayam
vivasvān manave prāha
manur ikṣvākave ’bravīt
에밤 빠람빠라-쁘랍땀 evaṁ paramparā-prāptam
이맘 라자르샤요 비두후 imaṁ rājarṣayo viduḥ
사 깔레네하 마하따 sa kāleneha mahatā
요고 나쉬따 빠란-따빠 yogo naṣṭaḥ paran-tapa
evaṁ paramparā-prāptam
imaṁ rājarṣayo viduḥ
sa kāleneha mahatā
yogo naṣṭaḥ paran-tapa
사 에바얌 마야 떼 댜 sa evāyaṁ mayā te ’dya
요가 쁘록따 뿌라따나하 yogaḥ proktaḥ purātanaḥ
박또 시 메 사카 쩨띠 bhakto ’si me sakhā ceti
라하샴 혜딷 웃따맘 rahasyaṁ hy etad uttamam
sa evāyaṁ mayā te ’dya
yogaḥ proktaḥ purātanaḥ
bhakto ’si me sakhā ceti
rahasyaṁ hy etad uttamam

여기서 주는 아르주나에게 이 요가 체계, 바가바드 기따를 처음 태양신에게 말씀하셨고 태양신은 그것을 마누(Manu)에게, 마누는 익쉬바꾸(Ikṣvāku)에게 설명했고 이런 식으로 사제전수를 통해 한 화자에서 다른 화자로 이 요가 체계가 전해 내려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이 사라졌다. 따라서 주께서 이를 다시 말씀하셔야 했고 이번에는 꾸룩쉐뜨라 전장에서 아르주나에게 말씀하신 것이다.

Il apprend à Arjuna que la connaissance du yoga dont il est question ici fut d’abord révélée au deva du soleil, qui la livra à Manu, lequel la communiqua à son tour à Ikṣvāku. Ainsi le yoga qu’enseigne la Bhagavad-gītā fut-il transmis par une filiation spirituelle, de maître à disciple. Or, comme avec le temps ce savoir s’est perdu, le Seigneur l’énonce à nouveau. Mais cette fois Il l’expose à Arjuna sur le champ de bataille de Kurukṣetra.

주께서 이 최고 비밀을 아르주나에게 알려주시는 이유는 그가 당신의 헌애자이자 친구이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신다. 이는 바가바드 기따가 특별히 주의 헌애자를 위한 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세상에는 세 종류의 초월주의자가 있는데 이름하여 갸니(jñānī: 비인성주의자), 요기(yogi: 명상가), 그리고 박따(bhakta: 헌애자)이다. 여기서 주께서는 아르주나에게 오래된 계승이 끊어졌기 때문에 당신이 그를 새로운 빠람빠라(사제 전수)의 첫 전수자로 만드는 것이라고 분명히 말씀하신다. 그러므로 태양신에게서 다른 이들로 전해 내려온 한결같은 사상을 또 다른 빠람빠라로 확립하시는 것은 주의 뜻이며 당신의 가르침이 아르주나에 의해 새로이 전해지는 것 또한 주의 뜻이었다. 주는 아르주나가 바가바드 기따 이해의 권위자가 되기를 원하셨다. 따라서 바가바드 기따가 아르주나에게 특별히 전해진 이유는 아르주나가 주의 헌애자이자 끄리쉬나를 바르게 이해하고자 하는 학생이며 주와 매우 가까운 친구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바가바드 기따는 아르주나와 유사한 자질을 지닌 사람들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즉, 주와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헌애자여야 한다는 말이다. 누구라도 주의 헌애자가 되는 즉시 주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그것은 매우 정교한 주제이지만 간략히 말하자면 헌애자는 다섯 가지 형태 중 하나로 최고인격신과 관계를 맺는다.

Kṛṣṇa explique à Arjuna qu’Il lui révèle ce savoir secret, suprême entre tous, parce qu’il est Son dévot et Son ami. La Bhagavad-gītā est donc un traité plus particulièrement destiné aux dévots du Seigneur. Il y a trois catégories de spiritualistes, les jñānīs, les yogīs et les bhaktas, c’est-à-dire respectivement, les philosophes impersonnalistes, les adeptes de la méditation et les dévots du Seigneur. Dans ces versets également, le Seigneur annonce à Arjuna qu’Il fait de lui le premier chaînon d’une nouvelle filiation spirituelle (paramparā) puisque l’ancienne est rompue. Le Seigneur souhaite donner naissance à une nouvelle lignée de maîtres chargés de transmettre sans l’altérer la connaissance autrefois rapportée par le deva du soleil à ses successeurs. Il désire aussi que cette connaissance se propage par l’intermédiaire d’Arjuna, qui doit devenir l’autorité en matière de compréhension de la Bhagavad-gītā. On voit donc que le Seigneur a tout spécialement choisi Arjuna pour divulguer Son enseignement parce qu’il est Son dévot, Son disciple immédiat et Son ami intime. Pour cette raison, celui qui désire vraiment comprendre la Gītā doit développer les mêmes qualités qu’Arjuna. Il doit être un dévot uni au Seigneur par une relation directe. Or ce n’est qu’en devenant un dévot du Seigneur qu’on établit un lien direct avec Lui.

Bien que le sujet soit fort complexe, on peut tout de même expliquer brièvement que la relation qui unit le dévot à Dieu, la Personne Suprême, revêt l’une de ces cinq formes :

1. 주와 수동적인 관계에 있는 헌애자가 될 수 있다.

1. la relation passive, ou neutre

2. 주와 능동적인 관계에 있는 헌애자가 될 수 있다.

2. la relation active, ou de service

3. 주의 친구로서 헌애자가 될 수 있다.

3. la relation d’amitié

4. 주의 부모로서 헌애자가 될 수 있다.

4. la relation parentale

5. 주의 연인/부부로서 헌애자가 될 수 있다.

5. la relation amoureuse.

아르주나는 주와 친구 관계였다. 물론 이 우정과 물질계에서 볼 수 있는 우정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이것은 초월적 우정으로, 모든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물론 모든 사람이 주와 특정한 관계를 맺고 있고 그 관계는 봉헌의 완성을 통해 되살아난다. 그러나 현재 우리 삶 속에서 우리는 주를 잊었을 뿐만 아니라 주와의 영원한 관계 또한 잊게 되었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생명체 모두 각각 주와 영원히 특정한 관계를 맺는다. 그것을 스바루빠(svarūpa)라고 한다. 봉헌의 과정으로 누구나 그 스바루빠를 되살릴 수 있고 그 단계를 스바루빠-싣디(svarūpa-siddhi), 즉 생명체의 근원적 위치의 달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아르주나는 헌애자였고 주와 우정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Arjuna est uni au Seigneur par une relation d’amitié. Évidemment, un abîme sépare cette amitié de celle que nous connaissons dans le monde matériel. Cette amitié transcendantale n’est pas à la portée de tous. Car si chaque être est uni au Seigneur par une relation qui lui est personnelle, cette relation ne devient manifeste que lorsque l’être atteint la perfection du service de dévotion. Malheureusement, dans notre condition actuelle, non seulement avons-nous oublié le Seigneur Suprême, mais aussi la relation éternelle qui nous lie à Lui.

Les milliards et milliards d’êtres vivants sont tous individuellement unis à Dieu par une relation éternelle. Cette relation, ou constitution propre et singulière de l’être, est appelée svarūpa. Or, comme nous l’avons mentionné plus haut, c’est par le processus du service de dévotion que l’être recouvre sa nature parfaite et originelle. Cet état de perfection est techniquement nommé svarūpa-siddhi. En ce qui le concerne, Arjuna est un dévot du Seigneur uni à Lui par une relation d’amitié.

아르주나가 이 바가바드 기따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제10장에 나타난다 (바가바드 기따 10.12~14).

Le dixième chapitre nous permet de comprendre comment Arjuna réagit face au message de la Bhagavad-gītā (10.12–14) :

아르주나 우바짜 arjuna uvāca
빠람 브라흐마 빠람 다마 paraṁ brahma paraṁ dhāma
빠비뜨람 빠라맘 바반 pavitraṁ paramaṁ bhavān
뿌루샴 샤스바땀 디뱜 puruṣaṁ śāśvataṁ divyam
paraṁ brahma paraṁ dhāma
pavitraṁ paramaṁ bhavān
puruṣaṁ śāśvataṁ divyam
ādi-devam ajaṁ vibhum
아디-데밤 아잠 비붐 ādi-devam ajaṁ vibhum
아후스 뜨밤 리샤야 사르베 āhus tvām ṛṣayaḥ sarve
데바르시르 나라다스 따타 devarṣir nāradas tathā
아시또 데발로 비아사하 asito devalo vyāsaḥ
스바얌 짜이바 브라비쉬 메 svayaṁ caiva bravīṣi me
āhus tvām ṛṣayaḥ sarve
devarṣir nāradas tathā
asito devalo vyāsaḥ
svayaṁ caiva bravīṣi me
사르밤 에딷 리땀 만예 sarvam etad ṛtaṁ manye
얀 맘 바다시 께샤바 yan māṁ vadasi keśava
나 히 떼 바가반 뱍띰 na hi te bhagavan vyaktiṁ
비두르 데바 나 다나바하 vidur devā na dānavāḥ
sarvam etad ṛtaṁ manye
yan māṁ vadasi keśava
na hi te bhagavan vyaktiṁ
vidur devā na dānavāḥ

“아르주나가 말했습니다: 당신은 최고인격신이며, 궁극적 보금자리이고 가장 순수하며 절대 진리입니다. 당신은 영원하고 초월적이며 최초의 사람이며 태어나지 않은 분이며 가장 위대하십니다. 나라다, 아시따, 데발라 그리고 비아사 같이 위대한 모든 성인이 당신에 관한 이 진리를 확증하고, 이제 당신께서 친히 저에게 이것을 공언하고 계십니다. 오 끄리쉬나, 저는 당신께서 말씀하신 모든 것을 진리로 완전하게 받아들입니다. 오 주여, 데바들도 악마들도 당신의 인격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 Arjuna dit : Tu es Dieu, la Personne Suprême, l’ultime demeure, la Vérité Absolue. Tu es la Personne originelle, transcendantale et éternelle. Tu es le Non-né, le plus pur et le plus grand. Tous les grands sages, Nārada, Asita, Devala et Vyāsa le proclament, et Toi-même à présent me le révèles. Ô Kṛṣṇa, tout ce que Tu m’as dit est pour moi l’entière vérité. Ni les devas ni les démons ne peuvent connaître Ta personne, ô Seigneur. »

최고인격신에게서 바가바드 기따를 들은 후 아르주나는 끄리쉬나를 빠람 브라흐마, 즉 지고의 브라흐만(Supreme Brahman)으로 받아들였다. 모든 생명체는 브라흐만이지만 최고의 생명체, 즉 최고인격신은 최고의 브라흐만이다. 빠람 다마는 그가 최상의 안식처 혹은 모든 것의 보금자리라는 뜻이다. 빠비뜨람은 그가 물질적 오염에 더럽혀지지 않은 순수한 존재임을 의미하고 뿌루샴은 그가 최고의 향유자, 샤스바땀은 영원하며 디뱜은 초월적이며 아디-데밤은 근원적 최고인격신, 아잠은 태어나지 않은, 그리고 비붐은 가장 위대함을 의미한다.

Après avoir reçu la Bhagavad-gītā du Seigneur en personne, Arjuna reconnaît en Kṛṣṇa le paraṁ brahma, le Brahman Suprême – les êtres distincts étant tous Brahman, tandis que Dieu est le Brahman Suprême. Les mots paraṁ dhāma Le désignent comme le repos, le séjour ultime de tout ce qui est ; pavitram signifie qu’Il est pur, exempt de toute souillure matérielle ; puruṣam indique qu’Il est le bénéficiaire suprême de tous les plaisirs ; śāśvatam, qu’Il est la Personne originelle ; divyam, qu’Il transcende la matière ; ādi-devam, qu’Il est Dieu, la Personne Suprême ; ajam, qu’Il est le Non-né ; et vibhum, le plus grand.

이제 끄리쉬나가 아르주나의 친구였기 때문에 아르주나가 그에게 아부하려고 이 모든 것을 말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바가바드 기따 독자들의 마음속 의심을 없애기 위해 아르주나는 자기뿐만 아니라 나라다, 아시따, 데발라, 비아사데바 같은 권위자들 또한 끄리쉬나를 최고인격신으로 받아들였다고 다음 구절에서 이런 찬양을 입증한다. 이들은 베다 지식을 있는 그대로 전파한 위대한 인물들로, 다른 모든 아짜리아의 지지를 받는다. 그러므로 아르주나는 끄리쉬나께서 하시는 말씀이 무엇이든 전적으로 완벽한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한다. 사르밤 에딷 리땀 만예. “당신이 하시는 모든 말씀을 진리로 받아들입니다.” 아르주나는 또한 주의 인격은 이해하기 매우 어렵고 위대한 데바들조차 알 수 없다고 한다. 이 말은 인간보다 더 위대한 존재들조차 주를 이해할 수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주의 헌애자가 되지 않고서 인간이 주 스리 끄리쉬나를 이해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겠는가?

On pourrait croire que son amitié pour Kṛṣṇa incite Arjuna à prononcer des éloges flatteurs, mais pour dissiper tout soupçon du lecteur de la Bhagavad-gītā, Arjuna justifie ses louanges dans le verset suivant en précisant que si lui-même reconnaît en Kṛṣṇa, Dieu, la Personne Suprême, les autorités en matière de savoir védique que sont Nārada, Asita, Devala et Vyāsadeva, qui tous distribuent ce savoir reconnu des ācāryas, partagent son jugement. Non seulement Arjuna reconnaît-il l’absolue perfection des propos de Kṛṣṇa (sarvam etad ṛtaṁ manye – « Tout ce que Tu me dis, je l’accepte comme la vérité »), mais encore précise-t-il qu’il est très difficile de comprendre la personnalité du Seigneur que même les puissants devas ne peuvent connaître. Or, si même les êtres supérieurs à l’homme ne peuvent connaître Kṛṣṇa, comment un simple humain le pourrait-il sans devenir Son dévot ?

그러므로 우리는 헌애(獻愛, devotion)의 정신으로 바가바드 기따를 받아들여야 한다. 끄리쉬나와 자기가 동등하거나 끄리쉬나가 평범한 사람이거나 혹은 매우 위대한 인물이라고조차 생각해서는 안 된다. 주 스리 끄리쉬나는 최고인격신이다. 그래서 바가바드 기따의 말씀 혹은 아르주나의 진술에 따라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하려고 하는 사람은 적어도 이론적으로나마 스리 끄리쉬나를 최고인격신으로 받아들여야 하고 그런 순종적인 마음가짐으로 우리는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할 수 있다. 바가바드 기따는 위대한 불가사의이므로 순종하는 정신 없이 바가바드 기따를 읽으면 이것을 이해하기란 몹시 어렵다. 

Il faut donc avoir une approche dévotionnelle de la Bhagavad-gītā, ne jamais se considérer l’égal de Kṛṣṇa et en aucun cas Le prendre pour une personne ordinaire ou même un très grand personnage. Kṛṣṇa est Dieu, la Personne Suprême. Que ce soit à la lumière de ces saints enseignements ou des paroles d’Arjuna qui s’efforce d’en saisir la portée, nous devons, ne serait-ce que théoriquement, accepter que Kṛṣṇa est Dieu. Cette acceptation soumise nous permettra de comprendre la Bhagavad-gītā. Inversement, lire sans une telle disposition d’esprit rendra la compréhension de l’ouvrage particulièrement ardue, car il s’agit d’un grand mystère.

그렇다면 바가바드 기따란 무엇인가? 바가바드 기따의 목적은 인류를 물질적 존재의 무지에서 구하는 것이다. 아르주나 역시 꾸룩쉐뜨라 전장에서 싸워야 하는 어려움에 부닥쳤던 것처럼 모든 인간은 여러 가지 곤경에 빠진다. 아르주나는 스리 끄리쉬나께 항복했고,그 결과 바가바드 기따가 설해졌다. 아르주나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 이 물질적 존재 탓에 무수한 불안과 근심에 사로잡힌다. 우리 존재 그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 속에 놓여 있다. 사실 우리는 존재하지 않음에 두려움을 느낄 필요가 없다. 우리의 존재는 영원하다. 그러나 어떤 연유로 우리는 아삿(asat)에 놓이게 되었다. 아삿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Quel est, en définitive, le but de la Bhagavad-gītā ? L’être humain étant généralement confronté dans sa vie à mille difficultés, tout comme le fut Arjuna devant l’imminence de la bataille de Kurukṣetra, nous dirons que la Bhagavad-gītā se propose de libérer l’humanité de l’ignorance inhérente à l’existence matérielle. Arjuna s’abandonna à Kṛṣṇa, qui lui exposa alors la Bhagavad-gītā.

Comme Arjuna, à cause de notre existence matérielle, nous sommes en proie à de vives anxiétés. En fait, nous baignons dans une atmosphère de non-existence. Et pourtant, bien que nous soyons, pour une raison ou une autre, plongés pour l’heure dans cet asat – ce qui n’existe pas –, nous ne sommes pas faits pour vivre sous la menace du non-existant, car nous sommes éternels.

괴로워하는 수많은 사람 중에 오직 몇 명만이 실제로 나는 누구이고 왜 이런 곤경에 빠지는지, 자기 위치에 관해 질문한다. 자기가 겪는 괴로움을 묻는 단계에 이를 만큼 깨어 있지 않은 한, 고통을 겪고 싶지 않은 마음을 뛰어넘어 이 모든 고통의 해결책을 찾고 싶다고 깨닫지 않는 한, 완벽한 인간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이런 질문이 우리 마음속에 일어날 때 인류가 시작된다. 브라흐마 수뜨라 (Brahma-sūtra)에서 이런 질문을 브라흐마 지갸사(brahma-jijñāsā)라고 한다. 아타또 브라하므 지갸사. 절대자의 본성에 관해 질문하지 않는다면 인간의 어떤 행위도 실패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우리가 왜 고통을 겪는지, 어디에서 와서 죽은 뒤 어디로 가는지를 질문하기 시작하는 사람은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하기에 적합한 학생이다. 진지한 학생은 또한 최고인격신을 향한 확고한 존경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그런 학생이 아르주나였다.

D’entre les êtres humains qui souffrent, seuls quelques-uns s’interrogent réellement sur leur condition intrinsèque, sur leur identité propre, sur la raison pour laquelle ils se sont retrouvés dans une situation aussi inconfortable. Or, à moins qu’il ne se demande pourquoi il souffre, à moins qu’il ne comprenne qu’il lui faut trouver un remède à ses maux, nul être humain ne peut être considéré digne de ce nom. L’humanité ne commence que lorsque de telles interrogations naissent dans l’esprit. Dans le Brahma-sūtra, on nomme cette recherche : brahma-jijñāsā (athāto brahma-jijñāsā). À moins que l’être humain ne s’enquière de la nature de l’Absolu, chacune de ses activités sera considérée comme un échec. Par conséquent, ceux qui s’essayent à trouver la cause de leurs souffrances, qui se demandent d’où ils viennent et où ils iront après la mort, sont à même d’étudier et de comprendre la Bhagavad-gītā. En outre, il faudra que l’étudiant sincère ait un grand respect pour Dieu, la Personne Suprême. Arjuna répondait parfaitement à tous ces critères.

주 끄리쉬나는 인간이 삶의 진정한 목적을 잃어버리면 그것을 재확립하기 위해 특별히 강림하신다. 깨어 있는 수많은 인간 중 실제로 자기 위치를 이해할 수 있는 정신을 가진 자는 매우 드물고 그런 자에게 바가바드 기따가 설해진다. 실제로 우리는 모두 무지 속에 갇혀 있지만, 주께서 생명체, 특히 인간에게 큰 자비를 베푸시어 친구 아르주나를 학생으로 삼아 바가바드 기따를 말씀하셨다.

Kṛṣṇa descend en ce monde spécifiquement pour rappeler à l’homme oublieux le but véritable de l’existence. Parmi les innombrables hommes qui s’éveilleront au vrai sens de la vie, un seul, peut-être, développera l’état d’esprit requis pour comprendre sa nature réelle ; c’est pour lui que Kṛṣṇa énonce la Bhagavad-gītā.

Le tigre de l’ignorance nous dévore tous, mais dans Son infinie miséricorde pour les êtres vivants – et plus particulièrement pour les êtres humains –, le Seigneur fait de Son ami Arjuna Son disciple et expose la Bhagavad-gītā.

주 끄리쉬나의 친구로서 아르주나는 모든 무지에서 벗어나 있었지만 그가 주 끄리쉬나께 삶의 제 문제에 관해 질문하고 주께서 인류의 장래 세대들을 위해 이 모든 것과 그 해결책을 설명하시고자 꾸룩쉐뜨라 전장에서 아르주나를 무지에 빠뜨리셨다. 이로써 인간이 바르게 행동하고 인간 삶의 임무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Notons que parce qu’il est le compagnon intime de Kṛṣṇa, Arjuna ne peut être sujet à l’ignorance. S’il en devient pourtant victime lors de la bataille de Kurukṣetra, c’est pour donner à Kṛṣṇa l’occasion de répondre aux questions qu’il se posera sur les problèmes de l’existence, et pour en faire bénéficier les futures générations. L’homme saura alors quelle ligne de conduite adopter pour atteindre la perfection de la vie humaine.

바가바드 기따의 주제는 다섯 가지 기본 진리에 관한 이해를 다룬다. 먼저 절대신의 과학에 관한 모든 것이 설명되고 생명체, 지바(jīvas)의 근원적 위치가 설명된다. 통제자를 뜻하는 이스바라(īśvara)가 있고 통제되는 생명체, 지바가 존재한다. 만일 생명체가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다고 말한다면 그 사람은 정상이 아니다. 생명체는 적어도 속박된 삶 속에서 매 순간 통제받는다. 그래서 바가바드 기따의 주제로 최고의 통제자 이스바라와 통제되는 생명체 지바를 다룬다. 쁘라끄리띠(Prakṛti 물질적 본성)와 시간(전 우주가 존재하는 기간 혹은 물질적 본성의 발현), 까르마(행위) 또한 논의된다. 우주의 발현은 다양한 행위들로 가득하다. 모든 생명체는 다양한 행위를 하고 있다. 바가바드 기따를 통해 절대신이 무엇인지, 생명체는 무엇인지, 쁘라끄리띠는 무엇인지, 우주의 발현은 무엇인지, 시간에 의해 어떻게 통제되는지, 그리고 생명체의 행위는 무엇인지에 대해 반드시 배워야 한다.

La Bhagavad-gītā nous amène à comprendre cinq vérités fondamentales, dont la première est la science de Dieu, et la seconde, la nature intrinsèque des êtres vivants. Dieu est l’īśvara, « Celui qui dirige », et les êtres distincts, les jīvas, « ceux qui sont dirigés ». Seul un insensé se croira libre et ne reconnaîtra pas sa position subordonnée. L’être est en tout point subordonné, au moins dans son existence conditionnée. Outre l’īśvara et les jīvas, la Bhagavad-gītā nous entretient de la prakṛti (la nature matérielle), du temps (la durée totale de l’univers, ou manifestation matérielle), et du karma (l’action) – la manifestation cosmique donnant lieu aux activités innombrables et variées des êtres. Nous devons donc puiser dans cet Écrit la connaissance de Dieu, des êtres, de la prakṛti, de la manifestation cosmique, et de la façon dont elle est régie par le temps, et de ce en quoi consiste l’activité des êtres distincts.

이 다섯 가지 기본 주제 중 최고인격신, 혹은 끄리쉬나, 혹은 브라흐만, 혹은 최고 통제자, 혹은 빠람아뜨마(Paramātmā), 어떤 이름으로 부르든, 이것이 모든 것 중 가장 위대하다고 바가바드 기따는 확립한다. 생명체는 질적으로 지고한 통제자와 비슷하다. 바가바드 기따의 후반부에 설명될 것이지만, 예를 들면, 주는 물질적 본성의 모든 우주적 문제를 통제하신다. 물질적 본성은 독립된 존재가 아니다. 그것은 지고한 주의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주 끄리쉬나께서 마야댝쉐나 쁘라끄리띠 수야떼 사-짜라짜람(mayādhyakṣeṇa prakṛtiḥ sūyate sa-carācaram), “이 물질적 본성은 내 지시로 움직이고 있다.”라고 말씀하신다. 우주의 경이로움을 목격할 때 이 우주적 발현 뒤에 통제자가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통제 없이 발현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통제자를 고려하지 않는 것은 유치한 생각이다. 예를 들어 아이는 말이나 다른 동물이 끌지 않고도 자동차가 달리는 것이 굉장히 신기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분별력 있는 사람이라면 자동차의 기계적 구조와 그 특성을 알고 기계 뒤에 운전자,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안다. 마찬가지로 지고한 주가 운전자이고 당신의 지시로 모든 것이 움직이고 있다. 지바, 즉 생명체는 후반부에 설명되겠지만, 주께서 당신의 부분으로 받아들이셨다. 금의 부분 역시 금이고 바다의 물 한 방울 역시 짠 것처럼 우리 생명체는 최고 통제자 이스바라, 혹은 바가반, 주 끄리쉬나의 한 부분으로서 지고한 주가 지니신 모든 자질을 극소량 지니고 있는데 이는 우리가 아주 작은, 종속된 이스바라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현재 우주 혹은 행성과 같은 자연을 정복하려고 애쓰고 있고 이런 통제하려는 경향은 바로 끄리쉬나 또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물질적 본성을 다스리려는 경향이 있더라도 우리는 지고한 통제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가 설명한다.

La Bhagavad-gītā, à partir de ces cinq sujets fondamentaux, va démontrer que Dieu est suprême entre tous les êtres – qu’on Le nomme Kṛṣṇa, Brahman, Paramātmā, Souverain Suprême ou tout autrement. Les êtres vivants ne partagent cette souveraineté qu’en qualité. Comme le montreront les derniers chapitres, la nature matérielle est subordonnée au Seigneur Suprême et fonctionne sous Sa direction. Kṛṣṇa n’affirme-t-Il pas : mayādhyakṣeṇa prakṛtiḥ sūyate sa-carācaram – « La nature matérielle opère sous Ma direction. » Voir les merveilles de l’univers devrait nous aider à comprendre que derrière la manifestation cosmique se trouve l’être qui a le contrôle de tout. Rien ne saurait exister qui ne soit régi par quelqu’un. Il serait puéril de nier l’existence de ce maître d’œuvre. Un enfant trouvera peut-être extraordinaire qu’une voiture roule d’elle-même, sans traction animale, mais l’adulte, lui, sait que la machine a un moteur, et au-delà, un conducteur. Le Seigneur Suprême est sans conteste le « conducteur » de tout ce qui existe.

Comme nous le verrons dans les derniers chapitres, le Seigneur enseigne que les jīvas (les âmes distinctes) sont d’infimes parcelles de Son Être et font partie intégrante de Lui. Tout comme les gouttes d’eau de l’océan sont salées comme lui, tout comme les paillettes d’or sont du même métal précieux que la mine aurifère dont elles proviennent, nous-mêmes possédons les qualités de l’īśvara suprême, Kṛṣṇa, Bhagavān, mais à un degré infime, car nous sommes de minuscules īśvaras, des īśvaras subordonnés, parties intégrantes de Sa personne. Si nous essayons de dominer la nature, comme nous essayons aujourd’hui de devenir maître de l’espace, c’est parce que cette propension à diriger qui est en nous se trouve en Kṛṣṇa. La Bhagavad-gītā précise que cette tendance à vouloir régir la nature matérielle ne fait pas de nous pour autant les maîtres suprêmes.

물질적 본성은 무엇인가? 이것 또한 기따에서 하위 쁘라끄리띠, 하위 본성으로 설명된다. 생명체는 상위 쁘라끄리띠로 설명된다. 쁘라끄리띠는 상위이든 하위이든 항상 통제를 받는다. 쁘라끄리띠는 여성이고, 아내가 남편의 통제를 받듯, 쁘라끄리띠는 주의 통제를 받는다. 쁘라끄리띠는 항상 종속적이고 주의 지배를 받는다. 생명체와 물질적 본성 모두 지고한 주께 지배받고 통제당한다. 기따에 따르면 생명체는 비록 지고한 주의 부분이지만 쁘라끄리띠로 간주한다.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의 제7장에 분명히 언급된다. 아빠레얌 이따스 뜨반얌 쁘라끄리띰 빋디 메 빠람/ 지바-부땀(Apareyam itas tv anyāṁ prakṛtiṁ viddhi me parām/ jīva-bhūtām), “이 물질적 본성은 내 하위 쁘라끄리띠이지만 이것을 넘어서 쁘라끄리띠 지바-부땀, 즉 생명체가 존재한다.”

Qu’est-ce que la nature matérielle ? La Gītā explique que la nature matérielle est ce qu’on appelle la prakṛti inférieure tandis que les êtres animés forment la prakṛti supérieure. De toute façon, qu’elle soit inférieure ou supérieure, la prakṛti opère toujours sous la direction du Seigneur. Étant d’essence féminine, elle Lui est subordonnée comme une épouse à son mari ; elle dépend du Seigneur, Son maître.

Nous venons de voir que les entités vivantes et la nature matérielle sont toutes deux dominées, contrôlées par le Seigneur Suprême et que la Bhagavad-gītā range les êtres vivants, bien qu’ils fassent partie intégrante du Seigneur, dans la prakṛti. L’un des versets du septième chapitre l’indique clairement : apareyam itas tv anyāṁ prakṛtiṁ viddhi me parām / jīva-bhūtām – « La prakṛti, la nature matérielle, est Mon énergie inférieure, mais il existe, au-delà de cette nature, une autre prakṛti, l’être vivant ou jīva-bhūtām. »

물질적 본성 그 자체는 세 가지 자질, 즉 선성(mode of goodness), 동성(mode of passion), 암성(mode of ignorance)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을 초월해 영원한 시간이 존재하고 이 본성들이 섞이고 통제를 받고 영원한 시간의 범위 안에서 행위가 이루어질 때 이를 까르마라고 한다. 이 행위들은 태곳적부터 시작되었고 우리는 우리 행위의 결과로 고통받거나 즐거워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사업가이고 좋은 사업 수완으로 열심히 일해 많은 돈을 모았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나는 즐기는 자이다. 하지만 사업으로 모든 돈을 다 잃었다고 하면 나는 괴로운 자이다. 마찬가지로 삶의 모든 면에서 우리는 우리가 한 일의 결과를 즐기거나 괴로워한다. 이것을 까르마라고 한다.

Trois modes d’influence ou guṇas, la vertu, la passion et l’ignorance, sont inhérents à la nature matérielle. Ces guṇas se combinent tous sous le contrôle du temps éternel et sont à l’origine des activités, ou karma. Ces activités ont lieu depuis des temps immémoriaux et nous souffrons ou jouissons de leurs fruits. Ainsi de l’homme d’affaires, par exemple, qui a travaillé dur et intelligemment, et a gagné beaucoup d’argent. Il est heureux de jouir de sa fortune. Mais qu’il vienne à faire faillite, et il sera malheureux. Cette alternance de bonheur et de malheur consécutifs à nos actions est ce qu’on appelle le karma.

이스바라(지고한 주), 지바(생명체), 쁘라끄리띠(자연), 깔라(영원한 시간), 까르마(행위)는 모두 바가바드 기따에 설명되어 있다. 이 다섯 가지 중 주, 생명체, 물질적 본성, 시간은 영원하다. 쁘라끄리띠의 발현은 일시적이지만 거짓이 아니다. 어떤 철학자들은 물질적 본성이 거짓이라고 하지만 바가바드 기따의 철학 혹은 바이쉬나바의 철학에 따르면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세상의 나타남(발현)을 거짓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실재하는 것으로 받아들이지만 이것은 일시적이다. 이는 마치 하늘에 떠도는 구름 혹은 곡식을 살찌우는 우기의 도래와 유사하다. 우기가 끝나고 구름이 걷히자마자 비로 영양분을 공급받은 모든 작물이 마른다. 마찬가지로 물질적 발현은 특정한 주기에 따라 일어나고 얼마간 머무르다 사라진다. 이것이 쁘라끄리띠가 작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순환이 영원히 작용한다. 그러므로 쁘라끄리띠는 영원하다. 거짓이 아니다. 주는 이것을 “나의 쁘라끄리띠.”라고 말씀하신다. 이 물질적 본성은 지고한 주의 분리된 에너지이고, 마찬가지로 생명체 또한 지고한 주의 에너지이지만 분리되어 있지 않고 영원히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주, 생명체, 물질적 본성과 시간은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모두 영원하다. 그러나 까르마는 영원하지 않다. 까르마의 영향이 매우 오래 갈 수도 있다. 태곳적부터 우리는 우리 행위의 결과로 고통받거나 즐기고 있지만 우리 까르마, 우리 행위의 결과는 바뀔 수 있고 이 변화는 우리가 완벽한 지식을 갖추는 데 달려있다. 우리는 다양한 행위를 한다. 우리는 어떠한 행위를 해야 행위의 작용과 반작용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명백히 알지 못하지만 바가바드 기따에 이것 또한 설명되어 있다.

D’entre les cinq objets d’étude de la Bhagavad-gītā, l’īśvara (le Seigneur Suprême), le jīva (l’âme distincte), la prakṛti (la nature matérielle), le kāla (le temps éternel) et le karma (l’action), les quatre premiers existent éternellement. Les manifestations de la prakṛti, bien qu’elles soient de nature éphémère, ne sont pas fictives. Il y a bien certains philosophes qui assurent que la manifestation de la nature matérielle est fausse, mais la philosophie vaiṣṇava, la philosophie de la Bhagavad-gītā, affirme le contraire. La manifestation de l’univers matériel n’est pas fausse. Elle est réelle, mais temporaire. Elle ressemble au nuage qui traverse le ciel ou aux pluies dont se nourrissent les grains. Dès que le nuage s’éloigne ou que la saison des pluies s’achève, les récoltes se dessèchent. La nature matérielle suit un cours semblable : elle se manifeste, demeure un certain temps puis disparaît. Mais du fait que ce cycle se poursuit sans fin, la prakṛti est éternelle et bien réelle. Du reste, le Seigneur l’appelle : « Ma prakṛti ». Cette nature matérielle est une énergie séparée du Seigneur, tandis que l’être vivant constitue une énergie qui Lui est éternellement liée. Le Seigneur, les êtres, la nature matérielle et le temps sont donc tous éternels et intimement liés les uns aux autres. Seul le karma, dont les effets peuvent toutefois provenir d’actions très anciennes, n’est pas éternel. Ainsi souffrons-nous ou jouissons-nous des suites de nos actes depuis des temps immémoriaux. Nous pouvons cependant modifier les effets du karma, mais cette modification dépend du degré de perfection de notre savoir. En général, en dépit de l’étendue de nos activités, nous ignorons ce qu’il faut réellement faire pour échapper aux conséquences de nos actes. Mais tout cela sera expliqué dans la Bhagavad-gītā.

이스바라, 지고한 주의 위치는 지고한 의식이다. 지바, 즉 생명체 또한 지고한 주의 부분으로서 의식이 있다. 생명체와 물질적 본성 둘 다 쁘라끄리띠, 지고한 주의 에너지로 설명되지만 둘 중 지바만 의식이 있고 쁘라끄리띠는 의식이 없다. 그것이 다른 점이다. 그러므로 주와 비슷하게 지바도 의식을 가지므로 지바-쁘라끄리띠는 상위라고 불린다. 주의 의식은 최고 의식이지만 지바, 즉 생명체 또한 최상의 의식을 지졌다고 주장해서는 안 된다. 생명체가 완성의 길을 가는 어떠한 단계에서도 최상의 의식을 가질 수는 없고 그렇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론은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는 이론이다. 의식이 있지만 그 의식은 완벽하거나 최상의 의식이 아니다.

L’īśvara, le Seigneur, est la conscience suprême. Les jīvas, les êtres vivants, parce qu’ils font partie intégrante de la Personne Suprême, ont également une conscience. Nous avons vu que si l’être vivant et la nature matérielle sont tous deux prakṛti, énergie du Seigneur, seul le jīva est conscient. Et parce que sa conscience est analogue à celle du Seigneur, la jīva-prakṛti est considérée comme supérieure. Toutefois, même s’il atteint un degré de perfection très élevé, jamais l’être vivant ne deviendra suprêmement conscient. Toute théorie soutenant le contraire est mensongère. Le jīva est conscient, mais ne peut l’être suprêmement.

지바와 이스바라의 구별은 바가바드 기따의 제13장에 설명될 것이다. 주와 생명체 모두 의식이 있지만 생명체는 자기의 특정한 몸에 대해서만 의식하는 반면, 주는 끄쉐뜨라-갸(kṣetra-jña) 모든 몸에 관해 의식을 갖고 계신다. 주가 모든 생명체의 가슴속에 살고 계시기에 특정한 지바의 심적 움직임을 의식하신다. 이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빠람아뜨마, 최고인격신은 모든 이의 가슴속에 이스바라, 즉 통제자로 살고 계시고 생명체가 원하는 대로 행동하도록 인도하신다고도 설명되어 있다. 생명체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잊고 있다. 생명체는 먼저 어떤 식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결정한 다음 자기가 만들어낸 까르마의 작용과 반작용에 얽매인다. 옷을 벗고 입듯이 생명체는 한 형태의 몸을 버린 후 다른 형태의 몸에 들어간다. 영혼이 이렇게 옮겨 다니며 자기의 지난 행위들의 작용과 반작용으로 고통받는다. 이런 까르마는 생명체가 선성에 있을 때, 온전한 정신 상태에 있을 때, 그리고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는지 이해할 때 바뀔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지난 행위의 모든 작용과 반작용을 바꿀 수 있다. 결과적으로 까르마는 영원하지 않다. 그러므로 다섯 항목(이스바라, 지바, 쁘라끄리띠, 시간, 까르마) 중 네 가지는 영원하지만 까르마는 영원하지 않다고 하는 것이다.

Le treizième chapitre de la Bhagavad-gītā établit clairement cette distinction entre le jīva et l’īśvara : tous deux sont kṣetra-jñas, conscients, mais le premier n’est conscient que de son propre corps, tandis que le second a une conscience qui s’étend à la totalité des êtres. Parce qu’Il vit dans son cœur sous la forme du Paramātmā, l’īśvara est conscient à chaque instant des conditions psychiques du jīva et le guide dans ses moindres désirs. Celui-ci oublie ce qu’il doit faire. Il choisit d’agir de telle ou telle façon, et se retrouve empêtré toujours davantage dans les rets du karma qu’il se crée. Il doit se réincarner, changer de corps vie après vie, comme on met ou enlève un vêtement, et subir les conséquences de ses actes. Il existe pourtant un moyen de changer cela : il suffit de se placer sous l’égide de la vertu et, avec un esprit sain, comprendre quelle sorte d’activité adopter. Ainsi, nos actes présents et les effets de nos actes passés seront modifiés. C’est pour cela que le karma n’est pas éternel, alors que l’īśvara, le jīva, la prakṛti et le temps le sont.

주의 의식과 생명체의 의식 둘 다 초월적이고, 최고의 의식 이스바라는 이런 점에서 생명체와 비슷하다. 물질의 조합으로 의식이 발생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의식이 생겨난다는 이론은 바가바드 기따에서 부정된다. 빛이 색유리를 통과하면 특정한 색으로 보이는 것처럼 의식이 물질적 상황이라는 덮개에 의해 왜곡되게 투영될 수 있지만 주의 의식은 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주 끄리쉬나께서 “마야댝쉐나 쁘라끄리띠.”라고 하신다. 주께서 물질계에 내려오실 때 주의 의식은 물질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렇지 않다면 바가바드 기따를 통해 초월적 주제에 관해 말할 자격이 없을 것이다. 물질적으로 오염된 의식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초월적 세계에 관해 어떤 것도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주는 물질적으로 오염되어 있지 않다. 우리 의식은 현재 물질적으로 오염되어 있다. 바가바드 기따는 이 물질적으로 오염된 의식을 정화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순수한 의식에서 우리의 행위는 이스바라의 의지와 긴밀한 연관을 맺고 그것이 우리를 행복하게 한다. 우리의 모든 행위를 멈춰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반대로 우리의 행위를 정화해야 하고 정화된 행위를 박띠(bhakti)라고 한다. 박띠의 행위들이 평범한 행위처럼 보일지라도 이 행위들은 오염되지 않았다. 무지한 사람들은 헌애자가 평범한 사람처럼 행동하거나 일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러한 지식이 부족한 자는 헌애자나 주의 행위는 불결한 의식이나 물질로 오염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이런 행위는 세 가지 물질적 본성을 초월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 의식은 오염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L’être vivant ressemble à l’īśvara dans la mesure où leurs consciences sont toutes deux transcendantales. La conscience n’est d’ailleurs pas générée par le contact avec la matière. La Bhagavad-gītā réfute la théorie selon laquelle la conscience se développerait sous certaines conditions d’agencement de la matière. Tout comme la lumière réfléchie par un verre teinté peut prendre une couleur différente, la conscience de l’être peut être réfléchie de façon pervertie en raison des circonstances matérielles ; ce qui n’est pas du tout le cas de la conscience du Seigneur. Kṛṣṇa Lui-même l’affirme : mayādhyakṣeṇa prakṛtiḥ. Même lorsqu’Il descend dans l’univers matériel, Sa conscience n’en est pas affectée. Si tel était le cas, Il serait indigne d’aborder des sujets transcendantaux comme Il le fait dans la Bhagavad-gītā. Il est impossible de parler du monde spirituel tant que la conscience subit l’influence malsaine de la matière. Le Seigneur n’est donc pas contaminé par elle, alors qu’en ce moment notre conscience l’est. La Bhagavad-gītā nous conseille de purifier cette conscience souillée par la nature matérielle afin de pouvoir agir selon la volonté de l’īśvara et de connaître le bonheur.

Il ne s’agit pas d’arrêter toute action, mais de purifier nos actes, qui prennent alors le nom de bhakti. Ces activités dans la bhakti peuvent sembler tout à fait ordinaires, mais elles sont en réalité exemptes de toute contamination. Le profane au maigre savoir ne verra aucune différence entre les actions du dévot du Seigneur et celles de l’homme du commun, mais c’est qu’il ignore que, comme ceux du Seigneur, les actes du dévot transcendent les trois guṇas et ne sont jamais souillés par une conscience impure.

우리가 물질적으로 오염되어 있을 때 "속박되어 있다"라고 한다. 거짓 의식은 내가 물질적 본성의 산물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이것을 "거짓 자아"라고 한다. 육체적 개념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은 자기 처지를 이해할 수 없다. 바가바드 기따는 육체적 개념의 삶에서 인간을 해방하기 위해 설해졌고 이 정보를 주께 받기 위해 아르주나는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우리는 육체적 개념의 삶에서 반드시 벗어나야 한다. 그것이 초월주의자의 예비 행위이다. 자유로워지고 싶은 사람, 해방을 얻고 싶은 사람은 반드시 자기가 이 물질적 육신이 아니라는 것부터 배워야 한다. 묵띠(Mukti), 즉 해방은 물질적 의식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스리마드 바가바땀 또한 해방의 정의를 제공한다. 묵띠르 히뜨반야타-루빰 스바루뻬나 뱌바스티띠히(Muktir hitvānyathā-rūpaṁ svarūpeṇa vyavasthitiḥ). 묵띠는 이 물질계의 오염된 의식에서 해방되어 순수한 의식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가바드 기따의 모든 가르침은 이 순수한 의식을 일깨우기 위함이고 그 가르침의 마지막 단계에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이제 그가 순수한 의식의 상태에 있게 되었는지 물으신다. 순수한 의식은 주의 가르침에 맞게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 이것이 정화된 의식의 완전한 개요이자 본질이다. 우리는 주의 부분이므로 이미 의식을 가지고 있지만 하위 물질적 본성에도 이끌린다. 그러나 주는 지고한 존재이기에 이런 것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것이 지고한 주와 작은 개별 영혼의 차이점이다.

Aussi longtemps que sa conscience est contaminée par la matière, on dit que l’être est conditionné. Il a une conception erronée de son vrai moi et croit être un produit de la nature matérielle. C’est ce qu’on appelle le faux ego. Celui qui s’identifie ainsi au corps ne peut comprendre ce qu’est sa véritable condition. La Bhagavad-gītā a donc été énoncée pour nous libérer de cette conception du soi fondée sur le corps. Arjuna y joue le rôle de l’être conditionné afin de recevoir du Seigneur cette connaissance.

Le premier devoir du spiritualiste est de s’affranchir de ce concept erroné du soi. Pour atteindre la libération, il faut d’abord comprendre que l’on n’est pas le corps physique. Mukti, la libération, signifie être libéré de la conscience matérielle. Le Śrīmad-Bhāgavatam nous donne cette définition : muktir hitvānyathā-rūpaṁ svarūpeṇa vyavasthitiḥ – mukti signifie être libéré de la conscience contaminée par le monde matériel et situé dans la pure conscience. Du reste, comme la Bhagavad-gītā n’a d’autre objet que de raviver la conscience pure de l’être, il est naturel qu’à la fin de l’ouvrage, Kṛṣṇa demande à Arjuna si sa conscience est maintenant purifiée. Avoir la conscience purifiée indique que l’on agit conformément aux instructions du Seigneur. Pour résumer, nous dirons que faisant partie intégrante de la Personne Suprême, nous sommes nous aussi conscients. Mais nous courons le risque d’être affectés par les guṇas inférieurs, quand le Seigneur, par contre, ne peut l’être en aucune façon. C’est là toute la différence entre Kṛṣṇa et les infimes âmes distinctes.

그렇다면 이 의식이란 무엇인가? 이 의식은 “나이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인가?” 오염된 의식 안에서 “나”는 “내가 바라보는 모든 것의 주인이며 즐기는 자이다.” 세상이 돌고 도는 이유는 모든 생명체가 자기가 주인이고 물질계의 창조자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질적 의식은 두 가지 정신적 범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내가 창조자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내가 즐기는 자라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지고한 주만이 창조자이자 향유자이며 지고한 주의 부분인 생명체는 창조자도 향유자도 아니라 협력자일 뿐이다. 생명체는 창조된 존재이며 즐겨지는 존재이다. 예를 들면 기계의 부품은 기계 전체에 협력하고 몸의 부분은 몸 전체에 협력한다. 손, 다리, 눈 등은 몸 전체의 부분이지만 이 부분들이 즐기는 주체는 아니다. 위장이 즐기는 주체이다. 다리가 움직이고 손이 음식을 입에 넣고 치아가 씹으며 몸의 모든 부분이 위장을 만족시키려고 움직인다. 위장이 신체 조직에 영양을 공급하는 주된 기관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것이 위장에 공급된다. 나무의 뿌리에 물을 줌으로써 영양을 공급하듯이 위장에 음식을 공급함으로써 몸을 유지할 수 있다.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몸의 부분들이 협력하여 위장을 먹여 살려야 한다. 마찬가지로 지고한 주가 향유자이고 창조자이므로 종속된 우리 생명체는 주를 만족시키는 데 협력하기 위해 존재한다. 위장이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몸 전체의 각 부분을 돕는 것처럼 이 협력이 실제로 우리를 도울 것이다. 손가락이 위장에 음식을 주는 대신 스스로 음식을 먹으려고 하면 좌절하고 말 것이다. 창조와 즐거움의 중심은 지고한 주이고 생명체는 협력자이다. 협력함으로써 생명체도 즐거움을 누린다. 이 관계는 주인과 종의 관계와 마찬가지다. 주인이 완전히 만족하면 종도 만족한다. 마찬가지로 지고한 주가 만족해야 한다. 생명체도 창조자가 되고 물질계를 즐기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발현된 우주를 창조하신 지고한 주께 이러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생명체에게도 있는 것이다.

Interrogeons-nous à présent sur ce qu’est vraiment cette conscience. C’est la perception du moi, le fait d’avoir conscience d’exister, d’être « je suis ». Oui, mais qui suis-je ? Avec une conscience contaminée, « je suis » signifie « je suis le seigneur et le bénéficiaire de tout ce qui m’entoure ». Le monde matériel existe d’ailleurs parce que chaque être vivant pense en être le maître et le créateur.

La conscience matérielle repose sur cette double perception : « Je suis le créateur » et « je suis le bénéficiaire ». Mais en fait cela ne s’applique qu’à Kṛṣṇa, car l’être distinct, partie intégrante du Seigneur Suprême, n’est ni le créateur, ni le bénéficiaire, mais le collaborateur. Il est la créature qui contribue au plaisir du créateur. Son destin est de coopérer avec le divin, comme la pièce qui ne fonctionne qu’en parfaite harmonie avec la machine entière, ou la partie du corps qui est toujours solidaire du corps entier. Tout comme on nourrit l’arbre en arrosant ses racines, on entretient le corps en alimentant l’estomac. Les mains, les jambes, les yeux, ne peuvent jouir directement de la nourriture. Ils doivent d’abord l’acheminer vers l’estomac dont l’organisme dépend tout entier. Donc, puisque le Seigneur Suprême est le bénéficiaire et le créateur de tout, les êtres vivants subordonnés qui désirent connaître le vrai bonheur doivent agir pour Le satisfaire. La relation qui unit les êtres distincts au Seigneur ressemble en effet à celle qui unit le serviteur au maître. Quand le maître est pleinement satisfait, le serviteur l’est aussi. Aussi devons-nous nous efforcer de satisfaire le Seigneur, en dépit de notre tendance à vouloir profiter de l’univers matériel et à nous en croire les créateurs. Cette tendance existe en nous parce qu’à l’origine elle existe en Dieu, le véritable créateur de l’univers.

그러므로 이 바가바드 기따 안에서 완전한 전체가 지고한 통제자, 통제받는 생명체, 우주의 발현, 영원한 시간과 까르마(행위)로 이루어져 있고 이 모든 것이 설명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완전체를 구성하고 그 완전체를 “지고의 절대 진리”라고 부른다. 완전체와 완전한 절대 진리는 완전한 인격신, 스리 끄리쉬나이다. 모든 현상의 발현은 끄리쉬나의 서로 다른 에너지 때문이다. 끄리쉬나가 완전체이다.

Nous verrons par conséquent dans la Bhagavad-gītā que le Tout complet – c’est-à-dire la Vérité Suprême et Absolue, Śrī Kṛṣṇa, Dieu la Personne Suprême – comprend : le maître suprême (īśvara), les êtres qu’Il domine (jīvas), la manifestation cosmique (prakṛti), le temps éternel (kāla) et l’action (karma). Tout ce qui existe n’est que la manifestation de Ses diverses énergies.

비인성적 브라흐만 또한 완전한 지고한 인간에게 종속된다고도 기따가 설명한다(브라흐마노 히 쁘라띠쉬타함). 브라흐만은 태양의 빛과 같다고 브라흐마 수뜨라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비인성적 브라흐만은 최고인격신의 빛나는 광채이다. 비인성적 브라흐만은 절대적 전체의 불완전한 깨달음이며 빠람아뜨마 개념 또한 마찬가지이다. 제15장에서 최고인격신, 뿌루숏따마(Puruṣottama)가 비인성적 브라흐만과 부분적 깨달음인 빠람아뜨마 둘 다를 초월한다고 설명한다. 최고인격신은 삿 찓 아난다 비그라하(sac-cid-ānanda-vigraha)이다. 브라흐마 삼히따는 이렇게 시작된다. 이스바라 빠라마 끄리쉬나 삿 찓 아난다 비그라하 / 아나디르 아디르 고빈다 사르바 까라나 까라남(īśvaraḥ paramaḥ kṛṣṇaḥ sac-cid-ānanda-vigrahaḥ/ anādir ādir govindaḥ sarva-kāraṇa-kāraṇam). “고빈다, 끄리쉬나는 모든 원인의 원인입니다. 당신은 최초의 원인이며 영원과 지식, 행복 그 자체입니다.” 비인성적 브라흐만 깨달음은 주의 삿(영원함) 특징을 깨달은 것이다. 빠람아뜨마 깨달음은 삿과 찓(영원한 지식)을 깨달은 것이다. 그러나 최고인격신 끄리쉬나에 관한 깨달음은 모든 초월적 특징, 삿, 찟, 아난다(영원함, 지식, 행복)의 완전한 비그라하(형상)를 깨닫는 것이다.

La Bhagavad-gītā explique également que le Brahman impersonnel est lui aussi subordonné à cette Personne Suprême et complète (brahmaṇo hi pratiṣṭhāham). Le Brahma-sūtra développe cette idée en comparant le Brahman aux rayons du soleil ; il est la lumière irradiant du Seigneur. La réalisation du Brahman impersonnel n’est donc qu’une réalisation incomplète de la Vérité Absolue, tout comme l’est celle du Paramātmā. On verra dans le quinzième chapitre que Dieu, la Personne Suprême, Puruṣottama, Se situe au-delà des deux. La Personne Suprême est dite sac-cid-ānanda-vigraha, ainsi que la décrivent les premiers mots de la Brahma-saṁhitā : īśvaraḥ paramaḥ kṛṣṇaḥ sac-cid-ānanda-vigrahaḥ / anādir ādir govindaḥ sarva-kāraṇa-kāraṇam – « Kṛṣṇa, Govinda, est la cause de toutes les causes. Il est la cause originelle et la forme même de l’éternité, de la connaissance et de la félicité. » Avec le Brahman impersonnel, on réalise Son éternité (sat). Avec le Paramātmā, Sa connaissance et Son éternité (sat-cit). Mais en atteignant la réalisation de la Personne Suprême, Kṛṣṇa, on perçoit d’un coup l’ensemble de Ses attributs spirituels, soit le sat, le cit et l’ānanda (l’éternité, la connaissance et la félicité) dans la forme absolue (vigraha).

지성이 부족한 사람들은 최고 진리가 비인성적이라고 여기지만, 주는 초월적 인성이며 이것은 모든 베다 문헌이 확증한다(니뚀 니땨남 쩨따나스 쩨따나남, 『까타 우빠니샤드 2.2.13』). 우리 모두 개별 생명체이며 우리가 고유한 개성을 지니는 것처럼 지고의 절대 진리 역시 궁극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사람이며, 최고인격신에 관한 깨달음은 주의 완전한 형상이 지니는 모든 초월적 특징을 깨달은 것이다. 완전체는 무형이 아니다. 주가 형태가 없다면 혹은 주가 다른 것보다 못하다면 주를 완전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완전체는 반드시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과 그것을 초월하는 모든 것을 지녀야 하며 그렇지 않다면 완전하다고 할 수 없다.

Ceux dont l’intelligence est limitée considèrent la Vérité Suprême comme impersonnelle. Mais Dieu est bien une personne, une personne transcendantale. Toutes les Écritures védiques le confirment. Nityo nityānāṁ cetanaś cetanānām. (Kaṭha Upaniṣad 2.2.13) De même que nous sommes des êtres individuels, dotés d’une personnalité propre, la Vérité Suprême et Absolue est une personne. La réalisation de la Personnalité de Dieu est la plus complète, car elle inclut tous les aspects transcendantaux de la Vérité Absolue, Sa forme y compris. Le Tout complet n’est pas sans forme, car s’Il l’était, s’Il était inférieur à Sa création, Il ne pourrait être le Tout complet qui doit nécessairement comprendre tant ce qui relève de notre expérience que ce qui dépasse notre entendement.

완전체, 최고인격신은 무한한 능력을 지닌다(빠라샤 샥띠르 비비다이바 스루야떼 parāsya śaktir vividhaiva śrūyate). 끄리쉬나가 어떻게 다양한 능력을 보이시는지 또한 바가바드 기따가 설명한다. 상꺄(Sāṅkhya) 철학에 따르면 우리가 사는 현상계, 즉 감지할 수 있는 이 물질계 역시 그 자체로 완전하며 이 물질계는 24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일시적인 발현으로 이 우주의 유지와 지탱에 필요한 자원이 완전하게 생성되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이 우주에는 불필요한 것도 부족한 것도 없다. 이 발현은 지고한 전체의 에너지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속하게 되어있고 그 시간이 다하면 일시적 발현은 완전체의 완전한 절차에 의해 소멸하게 된다. 작은 완전한 개체, 이름하여 인간에게는 완전체를 깨달을 수 있도록 완전한 편의가 주어졌지만 그런데도 온갖 종류의 불완전함을 경험하는 이유는 완전체에 관한 불완전한 지식 탓이다. 그래서 바가바드 기따는 베다 지혜에 관한 완전한 지식을 담고 있다.

Ce Tout parfait, Kṛṣṇa, la Personne Suprême, possède de puissantes énergies (parāsya śaktir vividhaiva śrūyate) et la Bhagavad-gītā explique comment Il agit à travers elles. Le monde phénoménal dans lequel nous vivons est aussi complet en lui-même, car d’après la philosophie du sāṅkhya, les vingt-quatre éléments, dont l’univers est une manifestation transitoire, sont assemblés de façon à produire l’ensemble des ressources indispensables à son maintien et à sa subsistance. Rien ne manque, mais rien non plus n’est superflu. Cette manifestation est créée pour un temps déterminé par l’énergie du Tout suprême, puis détruite, toujours selon Son plan parfait. Pour ce qui est des êtres distincts, infimes unités également complètes, il leur est donné toute facilité pour connaître le Tout. S’ils ressentent le moindre manque, c’est à cause de leur connaissance imparfaite du Tout complet. À leur intention, la Bhagavad-gītā renferme la totalité du savoir védique.

모든 베다 지식은 어떤 오류도 없기 때문에 인도인들은 베다 지식을 완전하고 어떤 오류도 없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어 소똥은 동물의 변이고, 스므리띠(smṛti) 혹은 베다 가르침에 따르면 동물의 변을 만지면 정화를 위해 목욕해야 한다. 그러나 베다 경전들은 소똥이 정화제라고도 여긴다. 이것을 모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베다의 가르침이기 때문에 이 사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실제로 그렇게 함으로써 실수를 저지르지 않게 된다. 이후 현대 과학이 소똥에 방부제 성분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베다 지식은 모든 의심과 실수를 넘어서기 때문에 완전하고 바가바드 기따는 모든 베다 지식의 핵심이다.

La connaissance védique est complète, infaillible, et les hindous la reconnaissent comme telle. Un exemple peut nous aider à mieux comprendre ce point : d’après les préceptes védiques, la smṛti, quiconque touche aux excréments d’animaux doit immédiatement se purifier par un bain. Or, ces mêmes Écritures considèrent la bouse de vache comme un agent purificateur. Cela peut sembler pour le moins contradictoire, mais on l’accepte pourtant car on est assuré en suivant leur enseignement de ne pas se tromper. Or, il se trouve justement que la science moderne a démontré les vertus antiseptiques de la bouse de vache. Ainsi le savoir védique – dont la Bhagavad-gītā constitue l’essence – est-il parfait, car il se situe au-delà de l’erreur et de l’incertitude.

베다 지식은 연구의 대상이 아니다. 우리는 불완전한 감각을 사용해 연구하기 때문에 우리가 하는 연구는 불완전하다. 바가바드 기따가 말하는 것처럼 빠람빠라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완전한 지식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우리는 최고의 영적 스승, 주에서부터 시작되어 여러 영적 스승에게 전해져 내려온 사제전수라는 올바른 출처를 통해 지식을 받아야 한다. 아르주나는 주 스리 끄리쉬나께 가르침을 받았고 주가 하시는 모든 말씀에 이의 없이 그대로 받아들였다. 바가바드 기따의 어떤 부분은 받아들이면서 다른 부분은 거부해서는 안 된다. 절대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바가바드 기따를 해석하지 않아야 하고 어떤 부분을 빠뜨리거나 혹은 개인적 의견을 부가해서는 안 된다. 기따를 가장 완벽한 베다 지식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베다 지식은 초월적 원천에서 나왔고 그 첫 마디는 주께서 직접 말씀하셨다. 주의 말씀을 아빠우루쉐야(apauruṣeya)라고 하고, 이것은 네 가지 결함을 지닌 속세의 사람들이 하는 말과 다르다는 뜻이다. 속세인은 (1) 반드시 실수를 범한다 (2) 항상 착각한다 (3) 다른 사람을 속이려는 경향이 있다 (4) 불완전한 감각의 제한을 받는다. 이 네 가지 불완전함 때문에 인간은 모든 분야의 지식을 완벽하게 전달할 수 없다.

Cette connaissance n’est pas le fruit d’une simple recherche, car une recherche est toujours imparfaite puisque effectuée avec des sens imparfaits. Cette connaissance parfaite, dit la Bhagavad-gītā, nous vient d’une filiation de maîtres spirituels (paramparā), dont le premier chaînon est le maître suprême, le Seigneur Lui-même. C’est donc de cette façon que nous aussi devons la recevoir, à l’imitation d’Arjuna qui accueillit dans sa totalité, sans discuter, l’enseignement de Śrī Kṛṣṇa. Il ne s’agit pas d’accepter une partie de la Bhagavad-gītā et d’en rejeter une autre. Non. On doit recevoir ce message sans l’interpréter, sans rien supprimer, sans rien ajouter. Nous devons voir en ce texte sacré la plus parfaite expression du savoir védique, savoir d’origine transcendantale puisque le Seigneur Lui-même fut le premier à l’énoncer. Les paroles du Seigneur sont apauruṣeya, c’est-à-dire qu’on ne peut les comparer à celles des hommes conditionnés par la matière, assujettis à quatre imperfections majeures qui les empêchent de délivrer une connaissance parfaite et totale. Ces imperfections consistent à : 1) commettre des erreurs, 2) être victime de l’illusion, 3) avoir tendance à tromper autrui, 4) posséder des sens imparfaits.

베다 지식은 그런 결함 있는 생명체에 의해 전해진 것이 아니다. 그것은 처음으로 창조된 생명체 브라흐마(Brahmā)의 가슴속에 전해졌고 브라흐마는 주로부터 전해 받은 이 지식을 자기 아들과 제자들에게 전수했다. 주는 뿌르남(pūrṇam), 즉 전적으로 완벽하고 물질적 본성의 법칙에 종속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주가 만물의 유일한 소유주이고, 주가 원초적 창조주이며 브라흐마의 창조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지성을 갖추어야 한다. 제11장에서 주는 쁘라삐따마하(prapitāmaha)로 불리는데, 브라흐마가 삐따마하, 즉 할아버지이고, 주는 할아버지의 창조자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누구도 어떤 것의 소유주라고 주장해서는 안 된다. 우리 육신의 유지를 위해 주께서 각자의 몫으로 정해주신 것만 받아들여야 한다.

Le savoir védique n’a pas été transmis par des êtres soumis à ces imperfections. Brahmā, le premier être créé, le reçut d’abord en son cœur, puis le communiqua à ses fils et disciples tel qu’il lui fut donné par le Seigneur. Dieu, étant pūrṇam, « absolument parfait », ne peut tomber sous le coup des lois de la nature matérielle. Aussi devons-nous faire preuve de suffisamment d’intelligence pour comprendre qu’Il est le créateur originel – Celui qui créa même Brahmā – et l’unique possesseur de tout ce qui existe dans l’univers. Dans le onzième chapitre, le Seigneur est appelé prapitāmaha, car Il est le créateur de Brahmā que l’on nomme pitāmaha (l’aïeul). Nous ne devons donc pas nous proclamer propriétaires de quoi que ce soit et devons nous contenter de la part qui nous est assignée par le Seigneur pour subvenir à nos besoins.

주께서 정해주신 각자의 몫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관한 예가 많이 있다. 이것 또한 바가바드 기따 안에 들어 있다. 초반부에 아르주나는 꾸룩쉐뜨라 전장에서 싸워서는 안 된다고 결정한다. 그것은 그가 스스로 정한 것이었다. 아르주나는 주께 자기 친척들을 죽이고 얻은 왕국을 즐길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육신이 자기이고 자기 육신과 관련된 사람들 혹은 육신의 확장이 자기 형, 조카, 매형, 할아버지 등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기에 이 결정은 육신에 토대를 두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는 자기 육신이 요구하는 바를 충족시키려 했다. 바로 이러한 관점을 바꾸려고 주께서 바가바드 기따를 말씀하셨고 마지막에 아르주나는 주의 지시에 따라 싸우기로 하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까리쉐 바짜남 따바(kariṣye vacanaṁ tava). “당신의 말씀대로 행동하겠습니다.”

La Bhagavad-gītā nous apprend de quelle façon utiliser cette part qui nous est dévolue. Avant que la bataille ne commence, Arjuna, de son propre chef, décide de ne pas combattre car il lui serait impossible de jouir d’un royaume conquis au prix de la vie des siens. Cette décision repose sur son identification au corps et son désir de répondre à ses demandes. Il s’identifie à son enveloppe charnelle et considère que ceux qui s’y rattachent sont ses frères, ses beaux-frères, ses neveux, ses aïeux, etc. C’est pourquoi, afin de modifier sa façon de voir les choses, le Seigneur lui énonce la Bhagavad-gītā. Et finalement Arjuna décide de combattre suivant Ses directives : kariṣye vacanaṁ tava – « J’agirai selon Tes instructions. »

인간은 개와 고양이처럼 다투려고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은 인간으로 태어난 삶의 중요성을 깨닫고 평범한 동물과 같은 행동을 거부할 만큼의 지성을 갖추어야 한다. 인간은 삶의 목적을 깨달아야 하고 이 가르침은 모든 베다 문헌이 제공하며 그것의 핵심은 바가바드 기따에 들어 있다. 베다 문헌은 인간을 위해 존재하지 동물을 위한 것이 아니다. 동물은 다른 동물을 죽일 수 있고 그런 행동이 죄가 되지 않지만 인간이 자기의 통제되지 않은 식욕을 위해 동물을 죽이면 자연의 법칙을 깨뜨린 데 대한 책임을 반드시 져야 한다. 바가바드 기따는 서로 다른 물질적 본성에 따라 행해지는 세 가지 행위, 즉 선성, 동성, 암성의 행위가 있다고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음식도 세 가지 부류로 나뉜다. 선성에 있는 음식, 동성에 있는 음식, 그리고 암성에 있는 음식. 이 모든 것이 바가바드 기따에 분명히 설명되어 있고 우리가 기따의 가르침을 올바로 활용한다면 우리 삶 전체가 정화될 것이고 결국 이 물질적 세계를 넘어서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Les hommes ne doivent pas passer leur vie à se quereller comme chiens et chats. Ils doivent user de leur intelligence pour réaliser l’importance de la forme humaine et ne pas se comporter comme des animaux. L’être humain doit saisir le véritable sens de la vie, ainsi que l’indiquent les Écritures védiques et en particulier la Bhagavad-gītā qui en est l’essence. Ces écrits s’adressent aux hommes, non aux bêtes. Un animal peut en tuer un autre sans qu’il soit question de péché. Mais qu’un homme, par simple gourmandise, tue un animal et il se rend coupable de violation d’une des lois de la nature. La Gītā explique clairement que chacun agit et se nourrit en fonction des divers modes d’influence de la nature ; elle décrit en outre les actes et les aliments correspondant à la vertu, la passion et l’ignorance. Si nous tirons parti de tels enseignements, notre vie entière sera purifiée et nous pourrons dès lors atteindre l’ultime destination, au-delà de l’univers matériel temporaire, en un lieu appelé sanātana-dhāma, le royaume spirituel éternel (yad gatvā na nivartante tad dhāma paramaṁ mama).

그 목적지를 사나따나(sanātana) 세계, 즉 영원한 영적 세계라고 한다(얃 가뜨바 나 니바르딴떼 딷 다마 빠라맘 마마 yad gatvā na nivartante tad dhāma paramaṁ mama). 이 물질계에서는 모든 것이 일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태어나서 잠시 머물다가 부산물을 만들고 쇠퇴한 다음 사라진다. 이 몸을 예로 들든 과일이나 다른 어떤 것을 예로 들든 그것이 물질계의 법칙이다. 그러나 이 일시적 세계를 넘어선 곳에 또 다른 세계가 존재하고 우리는 이것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 세계는 또 다른 본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은 사나따나, 즉 영원하다. 지바 또한 사나따나, 즉 영원하다고 설명되고 주 또한 사나따나라고 제11장에 명시된다. 우리는 주와 질적으로 하나이기 때문에 사나따나-다마(영원한 세계)와 사나따나 최고인격신, 그리고 사나따나 생명체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바가바드 기따의 주목적은 우리의 사나따나 업무, 즉 생명체의 영원한 업무인 사나따나 다르마(sanātana-dharma)를 일깨우는 데 있다. 우리는 일시적으로 여러 다양한 행위를 하고 있지만 이 모든 행위를 버리고 지고한 주께서 지시하신 행위를 시작하면 이 모든 행위가 정화된다. 그것을 순수한 삶이라고 한다.

Les lois du monde matériel veulent que tout naisse, subsiste quelque temps, se reproduise, dépérisse puis disparaisse. Nul corps n’y échappe, qu’il soit humain, animal ou végétal. Mais nous savons qu’au-delà de ce monde éphémère s’en trouve un autre de nature éternelle (sanātana). Le Seigneur et les jīvas sont d’ailleurs également décrits dans le onzième chapitre, comme étant sanātanas.

Du fait que le monde spirituel, la Personne Suprême et les êtres vivants sont tous de nature sanātana, une relation intime nous unit au Seigneur. La Bhagavad-gītā a pour but de nous aider à recouvrer notre fonction éternelle, le sanātana-dharma. Nous nous livrons pour le moment à des occupations temporelles de toutes sortes. Or, pour mener une vie pure, il nous faut purifier nos actes en délaissant ce qui est temporaire et en accomplissant ce qui est prescrit par le Seigneur Suprême.

주와 주의 초월적 보금자리는 둘 다 사나따나이고 생명체 역시 그러하며 주와 생명체가 사나따나 보금자리에 함께하게 되는 것이 인간 삶의 완성이다. 생명체는 주의 자식들이기 때문에 주는 생명체에게 매우 자비로우시다. 주 끄리쉬나께서 바가바드 기따에서 사르바-요니슈… 아함 비자-쁘라다 삐따(sarva-yoniṣu … ahaṁ bīja-pradaḥ pitā), “나는 모두의 아버지이다.”라고 선언하신다. 물론 각자의 까르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생명체가 있지만 주는 이 모두의 아버지라고 주장하신다. 그러므로 이 모든 타락하고 속박된 영혼을 교화하여 사나따나, 영원한 세계로 다시 불러들이고 사나따나 생명체가 그들의 영원한 사나따나 위치를 되찾아 주와 함께 영원히 지낼 수 있게 하시고자 주께서 강림하신다. 주는 속박된 영혼들을 교화하시려고 다양한 화신으로 직접 오시기도 하고 주의 은밀한 종들을 아들이나 주의 동반자, 아짜리아의 모습으로 보내시기도 한다.

Kṛṣṇa, Sa demeure absolue, les entités vivantes, sont tous sanātanas, et l’union des êtres et du Seigneur Suprême dans la demeure sanātana correspond à la perfection de la vie humaine. Le Seigneur est très bon envers les êtres vivants parce qu’ils sont Ses fils. Dans la Bhagavad-gītā, Kṛṣṇa déclare : sarva-yoniṣu [...] ahaṁ bīja-pradaḥ pitā – « Je suis le père de tous les êtres. »

Évidemment, il existe une multitude d’entités vivantes en raison de la variété de leur karma, mais Kṛṣṇa n’en demeure pas moins le père de toutes. Il descend en ce monde afin de rappeler à Lui les âmes déchues conditionnées par la matière et les ramener dans leur demeure éternelle où elles retrouvent leur fonction sanātana en la compagnie éternelle du Seigneur. Pour sauver ces âmes, Kṛṣṇa vient Lui-même dans Sa forme originelle ou en diverses autres formes, ou bien dépêche Ses serviteurs intimes – dans le rôle de Son fils, par exemple – ou Ses compagnons, Ses représentants qualifiés, les ācāryas.

그러므로 사나따나 다르마는 파벌적 종교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영원한 생명체가 영원한 주와 관계를 맺는 영원한 기능이다. 사나따나 다르마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생명체의 영원한 업무를 의미한다. 스리빠다 라마누자짜리아(Śrīpāda Rāmānujācārya)는 “사나따나”라는 단어를 “시작도 끝도 없는”이라고 설명했으므로 사나따나 다르마를 말할 때 스리빠다 라마누자짜리아의 권위에 따라 시작도 끝도 없는 업무라고 해야 한다.

Ainsi, le sanātana-dharma ne désigne pas une religion sectaire, mais la fonction éternelle de chaque être en relation avec le Seigneur. Śrīpāda Rāmānujācārya donne du mot sanātana la définition suivante : « Ce qui n’a ni commencement ni fin ». C’est en ces termes, en se basant sur l’autorité de ce grand sage, que nous en parlerons nous aussi.

영어 단어 religion(종교)은 사나따나 다르마와는 조금 다르다. 종교는 믿음을 뜻하고 믿음은 바뀔 수 있다. 우리는 어떤 종교를 믿다가 믿음을 바꿔 다른 종교를 택할 수도 있지만 사나따나 다르마는 바뀔 수 없는 행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액체는 물에서 분리될 수 없고 열은 불과 분리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영원한 생명체의 기능은 생명체와 떼어놓을 수 없다. 사나따나 다르마는 생명체와 영원히 함께 간다. 그러므로 사나따나 다르마를 말할 때 우리는 시작도 끝도 없다는 스리빠다 라마누자짜리아의 권위 있는 설명을 받아들여야 한다. 시작도 끝도 없는 것이 종파적일 리 만무하다. 종파적 믿음을 가진 사람은 사나따나 다르마 또한 종파적이라고 잘못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리가 이 주제를 깊이 있게 파헤치고 현대 과학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사나따다 다르마가 세계의 모든 사람, 우주의 모든 생명체의 업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Par ailleurs, le mot français « religion » n’a pas exactement le même sens que sanātana-dharma, car il comporte l’idée d’une foi – et une foi peut changer. On peut appartenir à une certaine confession, puis l’abandonner pour en adopter une autre. Or, le sanātana-dharma, par définition, est immuable. On ne peut enlever à l’âme sa fonction éternelle, pas plus que sa liquidité à l’eau ou que sa chaleur au feu. Le sanātana-dharma est inhérent à l’être, éternellement. Nous acceptons la définition de Śrīpāda Rāmānujācārya, selon laquelle il n’a ni début ni fin. Il ne peut donc être sectaire, puisqu’il ne connaît aucune limite. Ceux qui se rangent derrière une croyance sectaire feront l’erreur de croire que le sanātana-dharma l’est aussi. Mais en réfléchissant profondément à la question, à la lumière de la science moderne, on réalisera que le sanātana-dharma est l’affaire de tous les êtres – non seulement l’affaire de toute l’humanité de cette planète, mais celle de tous les êtres de l’univers entier.

사나따나가 아닌 종교적 믿음은 인류 역사에서 어떤 출발점이 있지만 사나따나 다르마는 생명체와 영원히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그 역사에 출발점이 없다. 생명체에 관한 한, 권위 있는 베다 문헌이 말하기를 생명체는 태어나지도 죽지도 않는다고 한다. 생명체는 영원하고 파괴될 수 없으며 일시적 육신이 없어진 후에도 계속해서 산다. 사나따나 다르마의 개념을 논할 때 산스끄리뜨어 어근에서 종교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다르마는 특정한 대상과 함께 계속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불은 열과 빛으로 이루어져 있고 열과 빛없이 불이라는 단어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생명체와 항상 함께하는 부분, 생명체의 핵심이 되는 부분을 찾아야 한다. 항상 함께하는 것이 생명체의 영원한 특성이고, 그 영원한 특성이 영원한 종교이다.

Il est possible de retrouver l’origine historique de toutes les religions, mais pas celle du sanātana-dharma, car il est pour chacun une réalité éternelle et immanente. Les Écritures révélées (śāstras) n’affirment-elles pas que l’être n’est astreint ni à la naissance ni à la mort ? L’âme ne naît ni ne meurt, dit la Bhagavad-gītā ; éternelle et indestructible, elle survit à la mort du corps matériel temporaire.

La racine sanskrite du mot sanātana-dharma peut nous aider à comprendre ce qu’est vraiment la religion. Le mot dharma désigne la nature intrinsèque d’un objet donné. Chaleur et lumière, par exemple, ne peuvent être dissociées du feu ; sans elles, le mot « feu » n’a plus aucun sens. Ainsi devons-nous découvrir la qualité essentielle de l’être, qualité qui toujours l’accompagne et constitue sa nature éternelle. Cette nature éternelle est sa religion éternelle.

사나따나 고스와미께서 스리 짜이따냐 마하쁘라부께 모든 생명체의 스바루빠에 관해 질문했을 때, 주는 생명체의 스바루빠, 즉 타고난(근원적) 위치는 최고인격신께 봉사하는 것이라고 대답하셨다. 주 짜이따냐의 이 말씀을 분석하면 모든 생명체는 다른 생명체에 지속해서 봉사하고 있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생명체는 다양한 능력을 활용해 다른 생명체를 섬긴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명체는 삶을 즐긴다. 더 낮은 동물은 종이 주인을 섬기듯 인간을 섬긴다. A가 B 주인을, B가 C 주인을, C가 D 주인을, 이런 식으로 봉사는 계속된다. 한 친구가 다른 친구를 섬기고, 엄마가 아들을 섬기고, 아내가 남편을 섬기고, 남편이 아내를 섬기는 등 이러한 상황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렇게 조사를 계속하면 생명체가 모인 사회에서 봉사하는 행위에는 예외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치가는 자기가 얼마나 대중을 잘 섬길 수 있는지를 설득하려고 공약을 발표한다. 그러면 유권자는 그가 사회에 가치 있는 봉사를 할 것으로 생각하고 그들의 소중한 표를 준다. 점원은 고객을 섬기고, 예술가는 자본가를 섬긴다. 자본가는 가족을 섬기고, 그 가족은 국가를 섬긴다. 이렇게 어떠한 생명체도 다른 생명체에 봉사하는 것에 예외가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생명체의 영원한 동반자는 봉사이고 봉사가 생명체의 영원한 종교라고 무리 없이 결론 내릴 수 있다.

Lorsque Sanātana Gosvāmī s’enquit auprès de Caitanya Mahāprabhu de la svarūpa, la condition intrinsèque de l’être vivant, celui-ci répondit que sa nature essentielle est de servir Dieu, la Personne Suprême. On voit sans peine, à la lumière de cette affirmation, que chaque être en sert un autre. C’est ainsi qu’il jouit de la vie. L’animal sert l’homme, comme un serviteur son maître. A sert B, qui sert C, lequel à son tour sert D, etc. L’ami sert l’ami, la mère son fils, l’épouse son mari et le mari sa femme... Tous les êtres vivants, sans exception, sont impliqués dans le service d’autrui. Lorsqu’un politicien présente son programme, c’est pour convaincre l’électorat de son aptitude à le servir. Et c’est dans l’espoir de recevoir ses précieux services que les électeurs lui accorderont leur suffrage. Le marchand sert ses clients, l’artisan sert l’homme d’affaires, l’homme d’affaires sert sa famille, laquelle à son tour sert l’État. Il y a, par conséquent, d’une façon ou d’une autre, une tendance naturelle et éternelle en chaque être qui l’incite à servir. Nul n’y échappe. Aussi peut-on dire en guise de conclusion que cette attitude de service est inhérente à l’être vivant, qu’elle constitue sa religion éternelle.

그러나 인간은 특정한 시대와 상황에 따른 특정한 형태의 믿음이 있다고 생각하고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 불교 혹은 다른 어떤 종교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명칭은 사나따나 다르마가 아니다. 힌두교도가 믿음을 바꾸어 이슬람교도가 될 수 있고, 이슬람교도가 믿음을 바꾸어 힌두교도가 될 수 있고, 기독교인도 자기 믿음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서도 개종이 다른 이에게 봉사하는 영원한 업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모든 상황에서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인은 누군가의 종, 즉 누군가를 섬긴다. 따라서 특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사나따나 다르마라는 주장이 될 수 없다.

Pourtant, suivant les circonstances, l’époque et le lieu, les hommes professent une foi particulière (christianisme, hindouisme, islamisme, bouddhisme ou autre). Mais de telles désignations n’ont rien à voir avec le sanātana-dharma. Un hindou peut fort bien se convertir à l’islam, un musulman à l’hindouisme, ou un chrétien à telle ou telle autre religion sans que jamais ces changements n’affectent leur disposition éternelle à servir autrui. Le chrétien, l’hindou, le musulman seront toujours les serviteurs de quelqu’un. Professer le sanātana-dharma ne signifie donc pas épouser une confession religieuse particulière. Non. Professer le sanātana-dharma signifie servir, tout simplement.

실제로 우리는 지고한 주와 봉사로 연결되어 있다. 지고한 주는 최고 향유자이고 우리 생명체는 주의 종이다. 우리는 주의 즐거움을 위해 창조되었고 최고인격신의 영원한 즐거움에 우리가 동참하면 우리 역시 행복해진다. 그렇지 않으면 행복해질 수 없다. 위장에 협력하지 않고는 몸의 어떤 부분도 행복할 수 없는 것처럼 독립적으로 행복해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고한 주께 초월적 사랑의 봉사를 하지 않고 생명체가 행복해질 수 없다.

En vérité, c’est une relation de service qui nous lie au Seigneur. Dieu est le bénéficiaire suprême, et nous sommes Ses serviteurs. Nous sommes créés pour Son plaisir. Aussi devons-nous concourir à Sa félicité éternelle pour connaître le bonheur. Nous ne saurions être heureux sans Lui, à l’instar des différentes parties du corps qui ne peuvent obtenir une quelconque satisfaction quand elles se refusent à contenter l’estomac. Il est impossible d’être heureux sans servir le Seigneur Suprême dans l’amour et la transcendance.

바가바드 기따에서 다양한 데바를 숭배하거나 그들을 섬기는 것은 허가되지 않는다. 제7장 20절이 이렇게 말한다.

La Bhagavad-gītā réprouve le service ou l’adoration des devas. On peut lire à ce propos dans le septième chapitre, verset vingt :

까미이스 따이스 따이르 흐리따-갸나하 kāmais tais tair hṛta-jñānāḥ
쁘라빠댠뗀야 데바따하 prapadyante ’nya-devatāḥ
땀 땀 니야맘 아스타야 taṁ taṁ niyamam āsthāya
쁘라끄리땨 니야따 스바야 prakṛtyā niyatāḥ svayā
kāmais tais tair hṛta-jñānāḥ
prapadyante ’nya-devatāḥ
taṁ taṁ niyamam āsthāya
prakṛtyā niyatāḥ svayā

여기서 욕망에 이끌리는 자는 최고인격신 끄리쉬나가 아닌 데바(하위신)들을 숭배한다고 말한다. 끄리쉬나라는 이름을 언급할 때 우리는 종파적 이름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끄리쉬나는 최상의 즐거움을 의미하고 지고한 주가 모든 즐거움의 보고 혹은 저장소라는 사실은 확증되었다. 우리는 모두 즐거움을 좇고 있다. 아난다-마요 비아삿(Ānanda-mayo ’bhyāsāt 《베단따 수뜨라 1.1.12》). 생명체는 주처럼 의식으로 가득하고 행복을 추구한다. 주는 영원히 행복하고 생명체가 주와 함께하며 협력하고 주의 동반자가 되면 생명체도 행복해진다.

« Ceux dont l’intelligence a été ravie par les désirs matériels s’abandonnent aux devas et suivent les divers rites cultuels correspondant à leur nature propre. » Il est dit ici sans détours que les hommes sont incités par la convoitise à rendre un culte aux devas plutôt qu’à Kṛṣṇa, le Seigneur Suprême. Encore une fois, précisons que notre usage du nom de Kṛṣṇa n’implique rien de sectaire ; kṛṣṇa signifie « la plus haute joie », et les Écritures confirment que le Seigneur Suprême est le réservoir de toute joie : Ānanda-mayo ’bhyāsāt (Vedānta-sūtra 1.1.12).

Les êtres distincts, à l’image du Seigneur, sont pleinement conscients et recherchent tous le bonheur. La Personne Suprême jouissant d’un bonheur éternel, les êtres distincts connaîtront un bonheur identique s’ils Le servent et vivent en Sa compagnie.

주는 행복으로 가득한 브린다반(Vṛndāvana)에서의 유희를 보이시고자 이 물질계에 강림하신다. 주 스리 끄리쉬나께서 브린다반에 계셨을 때, 당신의 소치기 친구들과 소녀 친구들, 브린다반의 다른 거주자들은 물론이고 소와 함께 한 행위들은 행복으로 가득했다. 브린다반의 전 주민들은 끄리쉬나 외에는 아무것도 몰랐다. 그러나 주 끄리쉬나는 당신의 아버지 난다 마하라자(Nanda Mahārāja)한테까지 데바 인드라(Indra) 숭배를 못하게 하셨는데 이는 사람들이 어떤 데바 숭배도 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확립하고 싶으셨기 때문이다. 그들의 궁극적 목표는 주의 보금자리로 돌아가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오직 지고한 주만을 숭배할 필요가 있었다.

Le Seigneur descend en ce monde mortel pour y dévoiler Ses joyeux divertissements. Quand Il vivait à Vṛndāvana avec Ses amis pâtres et pastourelles, parmi les vaches et les villageois qui tous ne vivaient que pour Lui, chacune de Ses activités était empreinte de félicité.

스리 끄리쉬나의 보금자리는 바가바드 기따 제15장 6절에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Un jour, Kṛṣṇa dissuada Son père Nanda Mahārāja d’offrir un culte au deva Indra, car Il voulut instituer le fait qu’il n’est pas nécessaire d’adorer les devas. Seul le Seigneur Suprême doit être adoré puisque le but ultime de l’existence est de retourner auprès de Lui, en Sa demeure, demeure que la Bhagavad-gītā décrit au verset six du chapitre quinze :

나 딷 바사야떼 수르요 na tad bhāsayate sūryo
나 샤샹꼬 나 빠바까하 na śaśāṅko na pāvakaḥ
얃 가뜨바 나 니바르딴떼 yad gatvā na nivartante
딷 다마 빠라맘 마마 tad dhāma paramaṁ mama
na tad bhāsayate sūryo
na śaśāṅko na pāvakaḥ
yad gatvā na nivartante
tad dhāma paramaṁ mama

 “지고한 내 보금자리는 태양이나 달, 불이나 전기 없이 빛난다. 그곳에 도달하는 자는 결코 이 물질계에 다시 돌아오지 않느니라.”

« Ce royaume suprême, le Mien, ni le soleil ni la lune, ni le feu ou l’électricité ne l’éclairent. Pour qui l’atteint, il n’est point de retour en ce monde. »

이 구절은 영적 하늘에 대한 묘사를 제공한다. 물론 우리는 하늘에 대한 물질적 개념을 갖고 있고 태양, 달, 별 등과 같은 것들과 연결 지어 그것을 생각하지만 이 구절에서 주께서는 영원한 하늘에는 태양도 달도 전기나 불같은 어떤 것도 필요하지 않다고 말씀하시고 그 이유는 영적 하늘은 지고한 주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빛, 브라흐마-죠띠(brahma-jyotir)에 의해 이미 환하게 밝기 때문이다. 우리는 힘들게 다른 행성에 도달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주의 보금자리를 이해하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다. 이 보금자리를 골로까(Goloka)라고 한다. 브라흐마 삼히따(5.37)에 이것이 아름답게 묘사되어 있다. 골로까 에바 니바사땨킬라뜨마-부따하(goloka eva nivasaty akhilātma-bhūtaḥ). 주는 당신의 보금자리 골로까에 영원히 거주하시지만, 이 세상에서도 주께 다가갈 수 있고 이를 위해 주께서 당신의 참된 형상, 삿 찓 아난다 비그라하를 보여주신다. 주가 이 형상을 보여주시므로 당신이 어떤 모습인지 우리가 상상할 필요는 없다. 그런 상상과 추측을 멈추게 하시고자 주는 샤마순다라(Śyāmasundara)로 당신을 있는 그대로 직접 드러내신다. 불행히도 어리석은 자들은 주가 우리 안에 오셔서 인간처럼 우리와 함께 놀아주시니까 주를 조롱한다. 그러나 주가 그렇게 하신다고 주를 우리와 같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주가 당신의 실제 모습을 우리 앞에 드러내시고 당신의 보금자리에서 하는 유희와 같은 것을 보이시는 것은 주의 전지전능함 때문이다.

Ce verset nous dépeint le ciel éternel. Bien sûr, nous avons une conception matérielle du ciel, nous ne pouvons concevoir que celui que nous voyons, avec son soleil, sa lune, ses étoiles... Mais Kṛṣṇa affirme ici que le ciel éternel, le monde spirituel, n’a besoin ni du soleil, ni de la lune, de l’électricité, du feu ou de quelque autre énergie lumineuse pour l’éclairer, car il est illuminé par le brahma-jyotir, l’éclatante radiance qui émane de Son corps. Dire que nous peinons pour atteindre d’autres planètes, alors qu’il est si facile de concevoir la planète du Seigneur. On l’appelle Goloka et la Brahma-saṁhitā (5.37) la décrit de fort belle manière : goloka eva nivasaty akhilātma-bhūtaḥ.

Bien que le Seigneur réside éternellement dans Son royaume de Goloka, nous pouvons L’approcher, et pour nous y aider Il manifeste au monde Sa forme réelle, sac-cid-ānanda-vigraha. Il nous évite de nous perdre en conjectures sur ce que peut être Son apparence, en Se montrant à nous tel qu’Il est dans Sa forme de Śyāmasundara. Hélas, quand Il vient à nous semblable à un humain, qu’Il Se divertit en notre compagnie, les sots Le dénigrent. Sa descente en ce monde ne devrait pourtant pas nous amener à Le prendre pour un homme ordinaire. C’est grâce à Sa toute-puissance qu’Il nous révèle Sa forme véritable et nous montre Ses divertissements, les mêmes que ceux auxquels Il Se livre dans Son royaume.

영적 하늘의 밝은 빛 속에는 수많은 행성이 떠 있다. 브라흐마 죠띠는 최상의 보금자리, 끄리쉬나로까에서 나오고 물질적 행성이 아닌 아난다 마야(ānanda-maya), 찐 마야(cin-maya) 행성도 그 빛 속에 떠 있다. 주께서 “나 딷 바사야떼 수르요 나 샤샹꼬 나 빠바까하/ 얃 가뜨바 나 니바르딴떼 딷 다마 빠라맘 마마”라고 말씀하신다. 그 영적 하늘에 도달할 수 있는 자는 물질적 하늘에 다시 내려오지 않아도 된다. 물질적 하늘에서는 달은 물론이고, 가장 높은 행성(브라흐마로까)에 간다고 해도 출생, 죽음, 질병과 늙음이라는 똑같은 조건을 맞게 된다. 물질적 우주 안에 있는 어떤 행성도 물질적 존재의 이 네 가지 원칙에서 벗어날 수 없다.

Du royaume divin, Kṛṣṇaloka ou Goloka, émane le brahmajyoti, l’éblouissante lumière du monde transcendantal où baignent les planètes spirituelles de nature ānanda-maya et cin-maya. Le Seigneur affirme que « quiconque atteint le monde spirituel ne revient jamais plus dans l’univers matériel » – na tad bhāsayate sūryo na śaśāṅko na pāvakaḥ / yad gatvā na nivartante tad dhāma paramaṁ mama. Dans le monde matériel, même si nous atteignons la plus haute planète (Brahmaloka) – que dire donc de la lune –, nous retrouvons les contingences propres aux planètes matérielles, à savoir la naissance, la maladie, la vieillesse et la mort.

생명체가 한 행성에서 다른 행성으로 여행하고 있지만 단지 물리적(기계적) 준비만으로 어떤 행성에도 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른 행성에 가고자 한다면 거기에 가는 과정을 겪어야 한다. 이것 또한 언급되어 있다. 얀띠 데바-브라따 데반 삐뜨린 얀띠 삐뜨리-브라따하(yānti deva-vratā devān pitṝn yānti pitṛ-vratāḥ). 우리가 행성 간을 여행하고 싶다면 어떠한 물리적 준비도 필요 없다. 기따가 “얀띠 데바-브라따 데반”이라고 가르친다. 달, 태양, 그리고 더 높은 행성들을 스바르가로까(Svargaloka)라고 한다. 물질계에는 세 가지 다른 위치의 행성이 있고 이것은 상위, 중간, 하위 행성 체계이다. 지구는 중간 행성 체계에 속한다. 바가바드 기따는 상위 행성 체계(데바로까)에 여행가는 매우 간단한 방법을 알려준다. 얀띠 데바-브라따 데반. 그 특정 행성을 지배하는 특정 데바만을 숭배할 필요가 있고 그렇게 하면 달, 태양 혹은 다른 어떤 상위 행성 체계에도 갈 수 있다.

S’ils le désirent, les êtres vivants peuvent voyager d’une planète à l’autre, mais cela ne peut être accompli par des moyens mécaniques. Le processus est donné dans la Gītā : yānti deva-vratā devān pitṝn yānti pitṛ-vratāḥ. Les Écritures védiques nous apprennent que notre univers se divise en trois systèmes planétaires : le supérieur, l’intermédiaire et l’inférieur. Le soleil et la lune appartiennent au premier, la terre au second. Donc, pour atteindre les planètes supérieures (Devaloka ou Svargaloka), que ce soit la lune, le soleil ou autre, il suffit de rendre un culte au deva qui régit chacune d’elles.

그러나 바가바드 기따는 이 물질계에 있는 어떤 행성에도 가라고 조언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어떤 기계적 방법을 동원해 4만 년이 걸려(누가 그렇게 오래도록 살 수 있겠는가?) 가장 높은 행성인 브라흐마로까에 간다고 하더라도 생로병사라는 물질적 불편을 여전히 겪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상의 행성, 끄리쉬나로까나 영적 하늘 안에 있는 다른 행성들에 가고자 한다면 이러한 물질적 불편을 겪지 않을 것이다. 영적 하늘 안에 있는 모든 행성 중 가장 높은 행성은 골로까 브린다반으로, 이곳은 원초적 인격신 스리 끄리쉬나의 보금자리 중 원래의 행성이다. 이 모든 정보는 바가바드 기따에 나와 있고 그 가르침을 통해 물질계를 떠나 영적 하늘에서 진정으로 행복한 삶을 시작하는 법을 배운다.

La Bhagavad-gītā toutefois nous déconseille d’agir ainsi car quand bien même atteindrait-on la plus haute, Brahmaloka – voyage qui par des moyens mécaniques demanderait peut-être 40000 ans, et qui vivrait assez vieux ? – on sera toujours confronté à la naissance, la vieillesse, la maladie et la mort. Par contre, celui qui atteindra Kṛṣṇaloka ou toute autre planète du monde spirituel ne connaîtra plus les souffrances matérielles que nous venons d’énumérer. Rappelons qu’entre toutes les planètes du monde spirituel, la planète suprême est Goloka Vṛndāvana, ou Kṛṣṇaloka, la demeure primordiale de Dieu, la Personne Suprême et originelle. Ainsi la Bhagavad-gītā nous instruit-elle sur tous ces sujets et nous apprend comment quitter le monde de la matière pour entamer une vie véritablement heureuse dans le monde spirituel.

바가바드 기따의 제15장에서 물질계의 실상이 나와 있다. 거기에서 이렇게 말한다.

La véritable image de l’univers matériel nous est donnée dans le quinzième chapitre de la Bhagavad-gītā (15.1) :

우르드바물람 아다-샤캄 ūrdhva-mūlam adhaḥ-śākham
아스밧탐 쁘라후라뱌얌 aśvatthaṁ prāhur avyayam
찬담시 야샤 빠르나니 chandāṁsi yasya parṇāni
야스 땀 베다 사 베다-빗 yas taṁ veda sa veda-vit
ūrdhva-mūlam adhaḥ-śākham
aśvatthaṁ prāhur avyayam
chandāṁsi yasya parṇāni
yas taṁ veda sa veda-vit

여기에 물질계는 뿌리가 위로 뻗고 가지가 밑으로 나 있는 곳으로 묘사되어 있다. 강가나 호숫가 같은 곳에 서면 물에 비친 나무가 거꾸로 보이는 것을 경험한다. 가지는 밑에 있고 뿌리는 위에 있다. 마찬가지로 물질계는 영적 세계의 투영이다. 물질계는 실재의 그림자에 불과하다. 그림자에는 실재도 본체도 없지만 그림자를 통해 본질과 실재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사막에는 물이 없지만 신기루가 그런 것이 있다고 암시한다. 물질계에는 물도 행복도 없지만 실제 행복의 참된 물은 영적 세계에 있다.

Le monde matériel est ici comparé à un arbre dont les racines pointent vers le haut et les branches vers le bas. Nous connaissons des arbres dont les racines pointent vers le haut : il s’agit de ceux que l’on voit se refléter dans l’eau des lacs ou des rivières ; leurs racines sont tournées vers le haut et leurs branches vers le bas. De la même manière, le monde matériel est le reflet du monde spirituel, l’ombre de la réalité. Une ombre n’a ni substance ni réalité, mais elle indique qu’il existe par ailleurs un objet bien réel. S’il n’y a pas d’eau dans le désert, les mirages indiquent que l’eau existe pourtant. Ainsi en est-il du bonheur : on ne peut le trouver dans le monde matériel pas plus qu’on ne peut trouver d’eau dans le désert. Il existe toutefois bel et bien dans le monde spirituel.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영적 세계에 이를 수 있다고 주께서 가르쳐 주신다(바가바드 기따 15.5).

Ce monde, Kṛṣṇa nous indique comment l’atteindre :

니르마나-모하 지따 상가-도샤 nirmāna-mohā jita-saṅga-doṣā
아댜뜨마-니땨 비니브릿따-까마하 adhyātma-nityā vinivṛtta-kāmāḥ
드반드바이르 비묵따 수카-두카-삼갸이르 dvandvair vimuktāḥ sukha-duḥkha-saṁjñair
갓찬땨무다 빠담 아뱌얌 땃 gacchanty amūḍhāḥ padam avyayaṁ tat
nirmāna-mohā jita-saṅga-doṣā
adhyātma-nityā vinivṛtta-kāmāḥ
dvandvair vimuktāḥ sukha-duḥkha-saṁjñair
gacchanty amūḍhāḥ padam avyayaṁ tat

빠담 아뱌얌, 즉 영원한 왕국은 니르마나 모하인 사람만이 도달할 수 있다. 이것이 무슨 뜻인가? 우리는 호칭을 좇고 있다. 어떤 사람은 무슨 무슨 “님”이라고 불리고 싶어 하고 어떤 사람은 “주인”이 되고 싶어 하며 다른 사람은 대통령이나 부자 혹은 왕이나 다른 무언가가 되고 싶어 한다. 우리가 이런 호칭에 집착하는 한, 우리는 육신에 집착하게 되는데, 호칭은 육신에 속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몸이 아니므로 이것을 깨닫는 것이 영적 깨달음의 첫 단계이다. 우리는 세 가지 물질적 본성과 교류하고 있지만 주를 향한 봉헌을 통해 이것에서 벗어나야 한다. 주를 향한 봉헌에 애착이 없으면 물질적 본성에서 벗어날 수 없다. 호칭과 집착은 물질적 본성을 지배하고 싶어 하는 우리 욕망과 욕구 때문에 생겨난다. 물질적 본성을 지배하려는 이 성향을 버리지 않는 한 사나따나 다마, 주의 왕국으로 돌아갈 방법은 없다. 절대 파괴되지 않는 그 영원한 왕국은 헛된 물질적 즐거움에 매혹되지 않고 절대신의 봉사에 전념하는 자가 도달할 수 있다. 그런 자들은 최상의 보금자리에 쉽게 갈 수 있다.

En nous affranchissant de l’illusion et du désir de prestige (nirmāna-moha), nous atteindrons le royaume éternel (padam avyayam). Ici-bas, chacun a tendance à rechercher des titres honorifiques : l’un veut le prestige de la noblesse, l’autre de la richesse, un autre du pouvoir, en devenant roi, président, etc. Être attaché à des désignations qui ne concernent que l’enveloppe corporelle traduit notre attachement au corps. Le premier pas dans la réalisation spirituelle sera donc de réaliser que nous sommes distincts du corps. Pour l’heure, nous sommes sous l’emprise des trois guṇas, mais le service de dévotion nous en libérera. Ce n’est qu’en nous attachant au service de dévotion du Seigneur que nous pourrons nous détacher des trois guṇas. L’attrait pour les distinctions honorifiques et l’attachement sont le fruit de la concupiscence et du désir de dominer la nature matérielle. Or nous retournerons au royaume éternel de Dieu, le sanātana-dhāma, qui jamais ne connaît la destruction, qu’à condition de se défaire de cette tendance. Seul l’atteindra celui qui sert le Seigneur Suprême et qui ne s’égare pas dans les faux plaisirs.

기따의 다른 곳(8.21)에서도 이렇게 말한다.

La Bhagavad-gītā (8.21) ajoute encore :

아뱍또’끄샤라 이뜍따스 avyakto ’kṣara ity uktas
땀 아후 빠라맘 가띰 tam āhuḥ paramāṁ gatim
얌 쁘라뺘 나 니바르딴떼 yaṁ prāpya na nivartante
딷 다마 빠라맘 마마 tad dhāma paramaṁ mama
avyakto ’kṣara ity uktas
tam āhuḥ paramāṁ gatim
yaṁ prāpya na nivartante
tad dhāma paramaṁ mama

아뱍따는 나타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물질계 전부가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감각은 너무나 불완전해 이 물질계 속 우주에 있는 모든 별조차 볼 수 없다. 베다 문헌에서 우리는 모든 행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이것을 믿는 사람도 믿지 않는 사람도 있다. 특히 스리마드 바가바땀에는 모든 중요한 행성에 관해 설명되어 있고 이 물질적 하늘을 넘어서는 영적 세계를 아뱍따, 나타나지 않은 곳이라고 묘사한다. 우리가 이 최고의 왕국을 갈망하고 추구해야 하는 이유는 이 왕국에 도달하면 현재의 물질계로 되돌아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Avyakta signifie non manifesté. Il nous faut reconnaître que même le monde matériel n’est pas entièrement manifesté à nos yeux. Nos sens sont si imparfaits qu’il nous est impossible, par exemple, de voir toutes les étoiles du firmament. Les Écritures védiques donnent de nombreuses descriptions des différentes planètes, descriptions que nous sommes libres ou non d’accepter. Le Śrīmad-Bhāgavatam, tout particulièrement, décrit les planètes les plus importantes de l’univers ainsi que le monde spirituel qui se trouve au-delà de la sphère matérielle, un monde dit avyakta, non manifesté. On devrait avoir un profond désir d’atteindre ce royaume suprême, car celui qui l’atteint ne retourne pas dans le monde matériel.

이제 어떻게 하면 주의 그 보금자리에 갈 수 있는지 묻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것에 관한 정보는 제8장에 나온다. 그곳에서 말하기를,

Le verset cinq du chapitre huit nous explique comment atteindre la demeure du Seigneur :

안따-깔레 짜 맘 에바 anta-kāle ca mām eva
스마란 묵뜨바 깔레바람 smaran muktvā kalevaram
야 쁘라야띠 사 맏-바밤 yaḥ prayāti sa mad-bhāvaṁ
야띠 나스땨뜨라 삼샤야하 yāti nāsty atra saṁśayaḥ
anta-kāle ca mām eva
smaran muktvā kalevaram
yaḥ prayāti sa mad-bhāvaṁ
yāti nāsty atra saṁśayaḥ

 “그리고 생의 끝에 나를 기억하며 육신을 떠나는 자는 누구나 즉시 나의 본성에 이를 것이다. 이에 관해 의심의 여지가 없다(바가바드 기따 8.5).” 죽음의 순간에 끄리쉬나를 기억하는 사람은 끄리쉬나에게 간다. 우리는 반드시 끄리쉬나의 모습을 기억해야 한다. 몸을 떠날 때 주의 모습을 생각하는 자는 틀림없이 영적 왕국에 도달한다. 맏 바밤은 지고한 존재의 초월적 특성을 말한다. 지고한 존재는 삿 찓 아난다 비그라하이다. 즉 당신의 형상은 영원하고 지식으로 가득하며 행복하다. 우리가 현재 지닌 몸은 삿 찓 아난다가 아니다. 그것은 “삿”이 아니라 “아삿”이다. 영원하지 않고 없어진다. 그것은 지식으로 가득한 “찟”이 아니라 무지로 가득하다. 우리는 영적 왕국에 관해 전혀 아는 바가 없고 이 물질계에 관해서도 완전한 지식을 갖추고 있지 않다. 우리가 모르는 것은 너무나 많다. 육신은 또한 니르아난다(nirānanda)이다. 행복으로 가득한 것이 아니라 불행으로 가득하다. 물질계에서 경험하는 모든 불행은 육신에서 비롯되지만 이 몸을 떠날 때 최고인격신, 주 끄리쉬나를 생각하는 자는 즉시 삿 찓 아난다 몸을 얻을 수 있다.

« Celui qui, à la fin de sa vie, quitte son corps en pensant à Moi seul partage aussitôt Ma nature, n’en doute pas. » Celui qui à l’instant précis de la mort pense à la forme personnelle de Kṛṣṇa ira à Lui dans le monde spirituel. Mad-bhāvam désigne la nature absolue de l’Être Suprême et sac-cid-ānanda-vigraha Sa forme d’éternité, de connaissance et de félicité. Notre corps présent, au contraire, est asat, périssable et non pas éternel, et acit, plein d’ignorance et non de savoir, car non seulement ignorons-nous tout du monde spirituel, mais notre connaissance du monde matériel est elle-même incomplète. Il est nirānanda, siège de la souffrance et non de la joie, attendu que tous nos tourments ici-bas viennent de lui. Mais celui qui pense à Kṛṣṇa, à Dieu, au moment de la mort, obtient aussitôt un corps sac-cid-ānanda.

물질계에서 이 몸을 버리고 다른 몸을 받는 과정 또한 조직적이다. 우리는 어떤 형태의 몸을 다음 생에 받을지 정해진 다음 죽는다. 생명체 스스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존재가 이것을 결정한다. 이 삶에서 우리가 한 행위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현생은 내생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현생에 절대신의 왕국으로 격상될 준비를 하면 이 물질적 육신을 떠난 후 반드시 주의 몸과 같은 영적 몸을 얻게 된다.

Nous revêtons ou abandonnons le corps matériel selon des lois bien précises. À notre mort, notre prochain corps est déterminé par des autorités supérieures en fonction des activités que nous avons accomplies dans cette vie. Suivant ce que furent nos actes passés, nous serons élevés ou rabaissés. Ainsi pouvons-nous dire que nous préparons dès aujourd’hui notre vie future. C’est pourquoi une existence qui vise l’élévation au royaume de Dieu nous garantit après la mort l’obtention d’un corps spirituel semblable à celui du Seigneur.

앞서 설명했듯이 서로 다른 초월주의자가 있다. 그것은 브라흐마-바디(brahma-vādī), 빠람아뜨마-바디(paramātma-vādī), 그리고 헌애자(devotee)이다. 그리고 브라흐마 죠띠(영적 하늘)에는 수많은 영적 행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 행성들의 수는 이 물질계에 있는 모든 행성의 수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훨씬 더 많다. 이 물질계는 창조된 세계의 약 ¼에 불과하다(에깜세나 스티또 자갓 ekāṁśena sthito jagat). 이 물질계에 존재하는 수천 수억의 우주 각각에는 수천 조를 넘는 행성과 해, 달, 별들이 있다. 그러나 이 모든 물질계는 전체 창조물의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대부분의 창조물은 영적 하늘 안에 있다. 지고한 브라흐만의 존재 안에 합쳐지고 싶은 자는 즉시 주의 브라흐마 죠띠로 옮겨져 영적 하늘과 하나가 된다. 주와 교류하고 싶은 헌애자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바이꾼타(Vaikuṇṭha) 행성으로 옮겨져 주의 완전한 확장인 네 팔의 나라야나(Nārāyaṇa)와 쁘라듐나(Pradyumna), 아니룻다(Aniruddha), 고빈다(Govinda) 같이 여러 다른 이름을 한 똑같은 주와 그곳에서 함께 지낸다. 그러므로 생의 마지막에 초월주의자들은 브라흐마 죠띠나 빠람아뜨마 혹은 최고인격신 스리 끄리쉬나를 생각한다. 이 세 가지 경우 모두 영적 하늘 안에 들어가지만, 오직 헌애자나 주와 개인적 교류를 하는 자만이 바이꾼타 행성이나 골로까 브린다반에 들어간다. 주는 여기에 “이에 관해 의심의 여지도 없다.”라고 덧붙이신다. 이것을 확고히 믿어야 한다. 우리 생각과 맞지 않는다고 거부해서는 안 되며 아르주와 같은 태도를 보여야 한다. “당신이 하신 모든 말씀을 저는 믿습니다.” 그러므로 죽음의 순간에 주를 브라흐만 혹은 빠람아뜨마 혹은 최고인격신으로 생각하는 누구라도 틀림없이 영적 하늘에 들어가고 거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것을 믿지 않을 이유는 없다.

Comme nous l’avons déjà spécifié, il existe diverses catégories de spiritualistes : les brahma-vādis, les paramātmā-vādīs et les dévots du Seigneur. Nous avons vu également que l’on trouve dans le brahmajyoti – le ciel spirituel – une multitude de planètes spirituelles, en nombre infiniment plus grand que dans l’univers matériel. Ce dernier, malgré ses milliards d’univers, de planètes, de soleils et de lunes ne représente qu’un quart de l’entière création (ekāṁśena sthito jagat), car la plus grande partie se trouve dans le ciel spirituel. Celui qui désire se fondre dans l’existence du Brahman Suprême est transféré dans le brahmajyoti et atteint ainsi le ciel spirituel. Le dévot, qui désire la compagnie du Seigneur, est conduit sur l’une des innombrables planètes Vaikuṇṭhas où se trouvent Ses émanations plénières Nārāyaṇa, dotées de quatre bras et portant les noms de Pradyumna, Aniruddha, Govinda, etc.

Au moment de la mort, le spiritualiste pense soit au brahmajyoti, soit au Paramātmā, soit à la Personne Suprême, Śrī Kṛṣṇa. Dans un cas comme dans l’autre, il gagne le ciel spirituel. Mais seul le dévot, lequel est en contact personnel avec le Seigneur, se rend sur les planètes Vaikuṇṭhas ou sur Goloka Vṛndāvana. « N’en doute pas », dit Kṛṣṇa. Comme Arjuna qui déclare au Seigneur qu’il accepte tout ce qu’Il lui a dit, nous devons avoir foi dans les paroles de Kṛṣṇa, même si elles ne correspondent pas à ce que nous nous imaginons.

Ainsi, quand Kṛṣṇa affirme que quiconque se souvient de Lui à l’heure de la mort, en tant que Brahman, Paramātmā ou Bhagavān, pénètre le ciel spirituel, Ses paroles ne sauraient être mises en doute.

바가바드 기따(8.6)는 죽음의 순간에 그저 주를 생각함으로써 영적 왕국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는 일반 원칙 또한 설명한다.

La Bhagavad-gītā (8.6) explique comment il est possible d’entrer dans le royaume de Dieu simplement en pensant à Lui au moment de la mort.

얌 얌 바삐 스마란 바밤 yaṁ yaṁ vāpi smaran bhāvaṁ
땨자땬떼 깔레바람 tyajaty ante kalevaram
땀 땀 에바이띠 까운떼야 taṁ tam evaiti kaunteya
사다 딷-바바-바비따하 sadā tad-bhāva-bhāvitaḥ
yaṁ yaṁ vāpi smaran bhāvaṁ
tyajaty ante kalevaram
taṁ tam evaiti kaunteya
sadā tad-bhāva-bhāvitaḥ

 “현생의 몸을 버리는 순간에 기억하는 어떠한 것이든, 다음 생에서 반드시 바로 그 상태를 얻는다.” 이제 물질적 본성이 주의 여러 에너지 중 하나라는 것부터 이해해야 한다. 비쉬누 뿌라나(6.7.61)에 주의 모든 에너지가 설명되어 있다.

« L’état de conscience dont on conserve le souvenir à l’instant de quitter le corps détermine la condition d’existence future. » Il faut d’abord bien comprendre que la nature matérielle est le déploiement de l’une des multiples énergies du Seigneur Suprême, lesquelles sont ainsi décrites dans le Viṣṇu Purāṇa (6.7.61) :

비쉬누-샥띠 빠라 쁘록따 viṣṇu-śaktiḥ parā proktā
끄쉐뜨라-갸캬 따타 빠라 kṣetra-jñākhyā tathā parā
아비댜-까르마-삼갸냐 avidyā-karma-saṁjñānyā
뜨리띠야 샥띠르 이샤떼 tṛtīyā śaktir iṣyate
viṣṇu-śaktiḥ parā proktā
kṣetra-jñākhyā tathā parā
avidyā-karma-saṁjñānyā
tṛtīyā śaktir iṣyate

지고한 주는 우리 상상을 초월하는 다양하고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에너지를 갖고 계신다. 그러나 위대한 현인들 혹은 해방된 영혼들이 이 에너지들을 분석하여 세 범주로 분류했다. 모든 에너지는 비쉬누 샥띠로 주 비쉬누의 서로 다른 능력을 뜻한다. 첫 번째 에너지는 빠라(parā), 초월적이다. 이미 설명했듯이 생명체 역시 상위 에너지에 속한다. 다른 에너지들은 물질적 에너지로 무지의 특성(암성)을 지닌다. 죽음의 순간에 우리는 하위 에너지인 물질계에 남거나 영계의 에너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바가바드 기따(8.6)가 이렇게 말한다.

Les énergies du Seigneur sont innombrables et inconcevables, mais de grands érudits, qui furent à la fois de grands sages et des âmes libérées, les ont étudiées puis classées en trois groupes. Toutes sont autant d’aspects différents de la viṣṇu-śakti, la puissance du Seigneur, Viṣṇu. D’entre Ses puissances, l’énergie supérieure est désignée comme parā, purement spirituelle. Nous l’avons déjà mentionné, les êtres distincts appartiennent à cette énergie. Les autres énergies, ou énergies matérielles, sont soumises à l’ignorance. Ainsi, au moment de la mort, soit nous demeurons au cœur de l’énergie inférieure, le monde matériel, soit nous sommes transférés dans l’énergie supérieure, le monde spirituel.

얌 얌 바삐 스마란 바밤 yaṁ yaṁ vāpi smaran bhāvaṁ
땨자땬떼 깔레바람 tyajaty ante kalevaram
땀 땀 에바이띠 까운떼야 taṁ tam evaiti kaunteya
사다 딷-바바-바비따하 sadā tad-bhāva-bhāvitaḥ
yaṁ yaṁ vāpi smaran bhāvaṁ
tyajaty ante kalevaram
taṁ tam evaiti kaunteya
sadā tad-bhāva-bhāvitaḥ

 “현생의 몸을 버리는 순간에 기억하는 어떠한 것이든, 다음 생에서 반드시 바로 그 상태를 얻는다.”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물질적 에너지나 영적 에너지에 관해서 생각하는 데 익숙하다. 그렇다면 우리의 생각을 물질적 에너지에서 영적 에너지로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이 세상에는 우리의 사고를 물질적 에너지로 가득 채우는 신문, 잡지, 소설 같은 문헌이 너무 많이 있다. 이런 문헌에 몰입해 있는 우리 사고를 베다 문헌으로 반드시 전환해야 한다. 그러므로 위대한 현인들은 뿌라나 같이 아주 많은 베다 문헌을 편찬했다. 뿌라나는 상상력으로 창작된 문학이 아니다. 그것은 역사적 기록이다. 짜이따냐 짜리땀리따(Caitanya-caritāmṛta 마댜 20.122)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Dans notre existence, nous pensons soit à l’énergie matérielle soit à l’énergie spirituelle. Mais comment transférer nos pensées du matériel au spirituel quand on sait qu’à l’heure actuelle la plupart des publications – journaux, romans, revues – encombrent notre esprit de pensées matérielles ? La réponse est simple : il faut tout simplement nous en détourner et porter notre attention sur les Écrits védiques comme les Purāṇas, écrits à cette fin par les grands sages. Ces recueils sacrés ne sont pas des œuvres imaginées. Ce sont tous des documents historiques. Un verset du Caitanya-caritāmṛta (Madhya 20.122) nous dit :

마야-묵다 지베라 나히 스바따 끄리쉬나-갸나 māyā-mugdha jīvera nāhi svataḥ kṛṣṇa-jñāna
지베라 끄리빠야 까일라 끄리쉬나 베다-뿌라나 jīvere kṛpāya kailā kṛṣṇa veda-purāṇa
māyā-mugdha jīvera nāhi svataḥ kṛṣṇa-jñāna
jīvere kṛpāya kailā kṛṣṇa veda-purāṇa

잘 망각하는 생명체 혹은 속박된 영혼들은 주와의 관계를 잊어버리고 물질적 행위에 관한 생각에 몰두해 있다. 생각하는 힘을 영적 하늘으로 전환하기 위해 끄리쉬나 드바이빠야나 비아사(Kṛṣṇa-dvaipāyana Vyāsa)가 다작의 베다 경전을 편찬했다. 그는 먼저 베다를 네 부분으로 나눈 다음, 그것들을 뿌라나에 설명했고 지성이 부족한 사람들을 위해 마하바라따(Mahābhārata)를 썼다. 마하바라따 안에 바가바드 기따가 등장한다. 그런 다음 모든 베다 문헌을 베단따 수뜨라(Vedānta-sūtra)로 요약했고 장래의 지침이 되도록 베단따 수뜨라를 있는 그대로 해설한 스리마드 바가바땀을 저술했다. 우리는 항상 이 베다 문헌을 읽는 데 우리 마음을 집중해야 한다. 물질주의자들이 신문과 잡지 같은 여러 물질주의적 글을 읽는 데 정신을 쏟는 것처럼 우리의 독서를 비아사데바가 우리에게 선사한 이런 문헌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죽음의 순간에 지고한 주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이 주께서 제안하신 단 하나의 방법이고 당신이 그 결과를 보장하신다. “의심의 여지가 없다.”

Les âmes conditionnées ont oublié leur relation avec le Seigneur Suprême. Elles ne se préoccupent que des seules activités matérielles. Aussi Kṛṣṇa-dvaipāyana Vyāsa leur donna-t-il un très grand nombre d’Écrits védiques pour qu’elles puissent s’intéresser au monde spirituel. Il divisa d’abord le Véda originel en quatre parties qu’il expliqua dans les Purāṇas, puis pour la masse des gens, il écrivit le Mahābhārata dont fait partie la Bhagavad-gītā. Il résuma ensuite l’ensemble de ces Écrits védiques dans le Vedānta-sūtra, et pour guider les générations à venir en fit un commentaire : le Śrīmad-Bhāgavatam. Nous devons toujours nous absorber dans la lecture de ces ouvrages, exactement comme les matérialistes se plongent dans les journaux, les magazines ou autres écrits. Ainsi serons-nous capables de nous souvenir du Seigneur à l’heure de notre mort. Lui-même recommande expressément cette voie, et par l’emploi du mot « inéluctablement » dans le verset sept du chapitre huit, Il garantit la pleine efficacité de la méthode.

따스맛 사르베슈 깔레슈 tasmāt sarveṣu kāleṣu
맘 아누스마라 유댜 짜 mām anusmara yudhya ca
마이 아르삐따-마노-붇디르 mayy arpita-mano-buddhir
맘 에바이샤시 아삼샤야하 mām evaiṣyasy asaṁśayaḥ
tasmāt sarveṣu kāleṣu
mām anusmara yudhya ca
mayy arpita-mano-buddhir
mām evaiṣyasy asaṁśayaḥ

 “그러므로 아르주나여, 항상 끄리쉬나의 모습으로 나를 기억할 것이며, 동시에 규정된 내 의무인 전투를 다 하여라. 너의 행위를 나에게 바치고, 너의 마음과 지성을 나에게 집중하면 틀림없이 나에게 이를 것이다(바가바드 기따 8.7).”

« Tu dois donc remplir ton devoir de guerrier en pensant constamment à Moi, en Ma forme personnelle de Kṛṣṇa. En Me dédiant tes actes, en concentrant sur Moi ton mental et ton intelligence, tu viendras à Moi inéluctablement. »

주는 아르주나에게 오직 당신만을 기억하고 자기 의무는 저버리라고 권유하지 않으신다. 그렇지 않다. 주는 실용적이지 않은 것은 절대 말씀하지 않으신다. 이 물질계에서는 육신을 유지하려면 일을 해야만 한다. 인간 사회는 일의 종류에 따라 브라흐마나(brāhmaṇa), 끄샤뜨리야(kṣatriya), 바이샤(vaiśya), 슈드라(śūdra)의 네 계층으로 나뉜다. 브라흐마나, 즉 지식 계층이 하는 일이 있고, 끄샤뜨리야, 즉 행정 계층이 하는 일이 따로 있으며 상인 계층과 노동 계층 역시 자기 특정한 임무에 종사한다. 인간 사회에서 노동자든, 상인이든, 관료든, 농부든, 혹은 가장 높은 계층에 속하는 학자나 과학자, 신학자라도 누구나 자기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일해야 한다. 그러므로 주는 아르주나에게 직업을 버리지 말고, 그 일에 종사하면서 끄리쉬나를 기억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맘 아누스마라 mām anusmara). 만일 존재를 위한 고군분투에만 치중하다 끄리쉬나를 기억하는 연습을 하지 못하면 죽음의 순간에 끄리쉬나를 기억할 수 없게 된다. 주 짜이따냐께서도 이렇게 조언하신다. 끼르따니야 사다 하리히(kīrtanīyaḥ sadā hariḥ). “주의 이름을 항상 구송(口誦)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주의 이름과 주는 서로 다르지 않다. 따라서 주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나를 기억하라”라고 하신 가르침과 주 짜이따냐께서 “항상 주 끄리쉬나의 이름을 구송하라”라고 하신 가르침은 같은 것이다. 끄리쉬나와 끄리쉬나의 이름은 서로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는 어떠한 차이도 없다. 절대적 상태에서는 지시하는 말과 지시 대상의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주의 이름을 구송함으로써 주를 항상 하루 24시간 기억하는 연습을 해야 하고 주를 늘 기억할 수 있게 우리 삶의 행위를 만들어나가야 한다.

Kṛṣṇa ne conseille pas à Arjuna d’abandonner son devoir pour se souvenir de Lui. Non. Il ne propose jamais rien qui ne soit réalisable. Pour survivre en ce monde matériel, nous devons travailler. C’est d’ailleurs l’une des raisons pour laquelle la société humaine est divisée en quatre groupes – les brāhmaṇas (sages et érudits), les kṣatriyas (administrateurs et hommes de guerre), les vaiśyas (agriculteurs et commerçants) et les śūdras (ouvriers et artisans). Ouvriers, marchands, soldats, administrateurs ou fermiers, hommes de lettres, savants ou théologiens, tous doivent remplir leurs devoirs professionnels pour vivre. Kṛṣṇa ne souhaite donc pas qu’Arjuna délaisse ses devoirs, mais bien plutôt qu’il les accomplisse en pensant à Lui (mām anusmara). S’il ne s’applique pas dans sa lutte pour l’existence à penser au Seigneur, comment pourra-t-il se Le rappeler au moment de la mort ? Śrī Caitanya nous a donné le même conseil : kīrtanīyaḥ sadā hariḥ. On doit toujours chanter ou réciter les saints noms du Seigneur. Le nom du Seigneur et le Seigneur Lui-même n’étant pas différents, l’instruction que Kṛṣṇa donne à Arjuna « souviens-toi de Moi » et celle que donne Śrī Caitanya « chante constamment les noms de Kṛṣṇa » ne sont qu’une seule et même instruction. Kṛṣṇa et Ses saints noms sont une seule et même chose, car au niveau absolu, il n’y a aucune différence entre l’objet et le nom qui le désigne. C’est pourquoi il faut s’exercer à se souvenir constamment du Seigneur, à chaque heure du jour et de la nuit, par le chant ou la récitation assidue de Ses saints noms et le choix d’un mode de vie adapté.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아짜리아들은 다음과 같은 예를 제공했다. 결혼한 여자가 다른 남자를 연모하거나, 어떤 남자가 자기 아내가 아닌 다른 여자에게 정을 두게 되면 그 집착은 매우 강하다고 한다. 그런 집착이 있는 자는 항상 사랑하는 사람만을 생각한다. 자기 애인을 생각하는 아내는 집안일을 하는 동안에도 항상 그를 만날 생각만 한다. 실제로 이런 여자는 남편이 자기 외도를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려고 집안일을 더 주의 깊게 잘한다. 이처럼 우리는 최고의 연인, 스리 끄리쉬나를 항상 기억해야 하는 동시에 우리의 물질적 의무를 잘 수행해야 한다. 강한 사랑의 감정이 여기에 필요하다. 우리가 지고한 주를 향한 강한 사랑의 감정을 갖게 되면 우리 의무를 다하는 동시에 주를 기억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사랑의 감정은 발전시켜야만 한다. 예를 들어 아르주나는 항상 끄리쉬나를 생각했다. 그는 끄리쉬나의 영원한 벗임과 동시에 전사였다. 끄리쉬나께서는 아르주나에게 전쟁을 포기하고 명상을 위해 숲으로 가라고 조언하지 않으셨다. 주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요가 체계를 설명하실 때 아르주나는 이 요가 실천은 자기에게는 불가능하다고 한다.

Mais comment cela est-il possible ? Les ācāryas nous donnent cet exemple : quand une femme mariée s’attache à un autre homme que son époux, ou un homme à une autre femme, le sentiment qui les anime est puissant. Sous l’influence d’un tel attachement, on pensera constamment à l’être aimé. Tout en accomplissant ses tâches quotidiennes, l’épouse pensera toujours à cet instant où elle pourra rencontrer son amant, et soignera plus que jamais son travail pour que son mari ne soupçonne rien de sa liaison. De même devons-nous penser à chaque instant à l’objet suprême de l’amour, Kṛṣṇa, tout en remplissant aussi parfaitement que possible nos devoirs matériels. Il nous faut toutefois, pour y parvenir, développer un fort sentiment d’amour. Arjuna pensait constamment à Kṛṣṇa, et bien qu’il fût un guerrier, il était son compagnon de tous les instants. Le Seigneur ne lui conseille pas d’abandonner la lutte et de se retirer dans une forêt pour méditer. D’ailleurs, Arjuna s’était déclaré inapte à pratiquer un tel yoga après que Kṛṣṇa le lui eut décrit :

아르주나 우바짜 arjuna uvāca
요’얌 요가스 뜨바야 쁘록따하 yo ’yaṁ yogas tvayā proktaḥ
삼예나 마두수다나 sāmyena madhusūdana
에따샤함 나 빠샤미 etasyāhaṁ na paśyāmi
짠짤라뜨밧 스티띰 스티람 cañcalatvāt sthitiṁ sthirām
arjuna uvāca
yo ’yaṁ yogas tvayā proktaḥ
sāmyena madhusūdana
etasyāhaṁ na paśyāmi
cañcalatvāt sthitiṁ sthirām

 “아르주나가 말했습니다: 오 마두수다나, 당신께서 요약해주신 요가 체계는 비실용적이고 제가 견디어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마음이란 쉬지 않고 꾸준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바가바드 기따 6.33).”

« Arjuna dit : Ce yoga que Tu as décrit, ô Madhusūdana, me semble impraticable, car le mental est instable et capricieux. » (B.g. 6.33)

그러나 주께서 말씀하신다.

Et le Seigneur déclare :

요기남 아삐 사르베샴 yoginām api sarveṣāṁ
맏-가떼난따라뜨마나 mad-gatenāntar-ātmanā
스랃다반 바자떼 요 맘 śraddhāvān bhajate yo māṁ
사 메 육따따모 마따하 sa me yukta-tamo mataḥ
yoginām api sarveṣāṁ
mad-gatenāntar-ātmanā
śraddhāvān bhajate yo māṁ
sa me yukta-tamo mataḥ

 “모든 요기 가운데 굳은 신념으로 항상 내 안에 살고, 자기 안에서 나를 생각하며, 나에게 초월적 사랑의 봉사를 하는 자는 요가 안에서 가장 친밀하게 나와 하나되며 모든 이 중 가장 높은 자이다. 내 뜻은 이러하다(바가바드 기따 6.47).” 그래서 지고한 주를 항상 생각하는 사람이 가장 위대한 요가행자(요기 yogī)이고 최고의 지식인(갸니 jñānī)이며 동시에 가장 위대한 헌애자다. 더 나아가 주께서는 아르주나에게 끄샤뜨리야로서 싸움을 포기해서는 안 되며 싸우는 동안 끄리쉬나를 기억하면 죽는 순간 끄리쉬나를 기억할 수 있다고 말씀하신다. 그러나 그렇게 하려면 주를 향한 초월적 사랑의 봉사에 자신을 완전히 바쳐야 한다.

« Et de tous les yogīs, celui qui, avec une foi totale, demeure toujours en Moi et médite sur Moi en Me servant avec amour, celui-là est le plus grand et M’est le plus intimement lié. Tel est Mon avis. » (B.g. 6.47) Celui dont la pensée reste toujours fixée sur le Seigneur Suprême est donc à la fois le plus grand yogī, le plus grand jñānī et le plus grand dévot. Le Seigneur dit en outre à Arjuna qu’en tant que kṣatriya, il ne peut renoncer à son devoir de combattant, mais que s’il lutte en pensant au Seigneur, il sera capable de se souvenir de Lui au moment de la mort. Il faut pour cela s’abandonner complètement à Dieu en se consacrant à Son service d’amour transcendantal.

사실 우리는 몸으로 일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지성으로 일한다. 그래서 지성과 마음을 항상 지고한 주를 생각하는 데 전념하면 자연히 감각도 주의 봉헌에 관여하게 된다. 피상적으로, 감각이 여전히 같은 행위를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의식이 바뀌었다. 바가바드 기따는 우리의 마음과 지성을 주를 생각하는 데 전념하게 하는 법을 가르친다. 그러한 몰입으로 우리 자신을 주의 왕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음이 주의 봉헌에 관여하면 감각도 저절로 주의 봉헌에 종사하게 된다. 스리 끄리쉬나의 생각에 완전히 몰입하는 것이 기술이며 또한 바가바드 기따의 비밀이다.

Nos actes ne relèvent pas seulement du corps, ils dépendent surtout du mental et de l’intelligence. Si nous fixons notre mental et notre intelligence sur le Seigneur Suprême, nos sens suivront et s’engageront à leur tour à Son service. Nos actes sembleront identiques, mais notre conscience aura changé. La Bhagavad-gītā nous enseigne comment absorber notre mental et notre intelligence dans la pensée du Seigneur, car une telle absorption mène au royaume de Dieu. Si le mental est dédié au service de Kṛṣṇa, les sens le seront automatiquement aussi. En l’absorption totale en Śrī Kṛṣṇa résident le secret et l’art de la Bhagavad-gītā.

현대인은 달에 가려고 큰 노력을 기울이지만 자기 자신을 영적으로 향상시키려고는 그렇게 열심히 노력하지 않는다. 만약 인간에게 앞으로 목숨이 50년밖에 남지 않았다고 하면 이 짧은 시간을 최고인격신을 기억하는 연습으로 보내야 한다. 이 연습이 바로 봉헌의 과정이다.

L’homme moderne a fait d’énormes efforts pour atteindre la lune, mais il n’a guère œuvré pour son élévation spirituelle. C’est pourquoi, s’il lui reste cinquante ans à vivre, il doit utiliser ce court laps de temps à cultiver le souvenir de la Personne Suprême par la pratique du service de dévotion.

스라바남 끼르따남 비쉬노호 śravaṇaṁ kīrtanaṁ viṣṇoḥ
스마라남 빠다-세바남 smaraṇaṁ pāda-sevanam
아르짜남 반다남 다샴 arcanaṁ vandanaṁ dāsyaṁ
사캼 아뜨마니베다남 sakhyam ātma-nivedana
śravaṇaṁ kīrtanaṁ viṣṇoḥ
smaraṇaṁ pāda-sevanam
arcanaṁ vandanaṁ dāsyaṁ
sakhyam ātma-nivedanam

(스리마드 바가바땀 7.5.23)

(Śrīmad-Bhāgavatam 7.5.23)

이 아홉 가지의 과정 중에서 가장 쉬운 것이 스라바남, 즉 깨달은 사람에게서 바가바드 기따를 들음으로써 지고한 존재를 생각하게 된다. 이로써 육신을 버린 후 주와 함께하기에 적합한 영적 몸을 받게 될 것이다.

Ces neuf pratiques, dont la plus simple (śravaṇam) consiste à écouter le message de la Bhagavad-gītā des lèvres d’une âme réalisée, nous aideront à toujours absorber nos pensées en l’Être Suprême. Nous pourrons alors nous souvenir constamment de Lui et, en quittant notre corps de matière, obtenir un corps spirituel qui nous permettra de vivre auprès de Lui.

주께서 더욱 말씀하시기를,

Le Seigneur dit encore :

아뱌사-요가-육떼나 abhyāsa-yoga-yuktena
쩨따사 난야-가미나 cetasā nānya-gāminā
빠라맘 뿌루샴 디뱜 paramaṁ puruṣaṁ divyaṁ
야띠 빠르타누찐따얀 yāti pārthānucintayan
abhyāsa-yoga-yuktena
cetasā nānya-gāminā
paramaṁ puruṣaṁ divyaṁ
yāti pārthānucintayan

 “최고인격신으로서 나를 명상하고, 그 길에서 벗어남 없이 마음을 지속해서 나를 기억하는 데 두는 자는, 오 빠르타, 반드시 나에게 이르느니라.” (바가바드 기따8.8)

« Celui qui médite sur Moi, la Personne Suprême, et toujours se souvient de Moi, sans jamais dévier, celui-là vient à Moi sans nul doute, ô Pārtha. » (B.g. 8.8)

이것은 그리 어려운 과정이 아니다. 그러나 반드시 경험 있는 사람에게서 배워야 한다. “딷 비갸나르탐 사 구룸 에바비갓쳇(Tad-vijñānārthaṁ sa gurum evābhigacchet).” 이미 실천하고 있는 사람을 찾아가야 한다. 마음은 항상 이리저리 날아 다니지만, 그 마음을 항상 지고한 주, 스리 끄리쉬나의 형상이나 이름이 내는 소리에 두고 집중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마음은 본래 여기저기 다니며 쉴 새 없지만 끄리쉬나라는 소리의 진동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영적 왕국, 영적 하늘에 계시는 빠라맘 뿌루샴(paramaṁ puruṣam), 최고인격신을 명상함으로써 주에 이를 수 있다. 궁극적 깨달음, 궁극적 달성을 향한 길과 방법이 바가바드 기따에 설명되어 있고, 이 지식의 문은 모두에게 열려 있다. 그 누구에게도 금지되어 있지 않다. 모든 계층의 사람이 주 끄리쉬나를 생각함으로써 주께 다가갈 수 있으며 주에 관해 듣고 생각하는 것 또한 누구에게나 가능하다.

La méthode est simple. Il nous faut toutefois, pour l’apprendre, approcher une personne expérimentée, une personne qui la pratique déjà : tad vijñānārthaṁ sa gurum evābhigacchet. Le mental allant sans cesse d’un objet à l’autre, il faut s’exercer à le fixer sur la forme ou le nom du Seigneur Suprême, Śrī Kṛṣṇa. Le mental est instable et fébrile de nature, mais il peut trouver l’apaisement dans la vibration spirituelle. On doit donc méditer sur le paramaṁ puruṣaṁ, la Personne Suprême, dans le monde spirituel, et ainsi parvenir jusqu’à Lui.

La Bhagavad-gītā nous indique avec précision la voie à suivre et les moyens d’obtenir la réalisation suprême, le but ultime. Les portes de ce savoir sont ouvertes à tous. Les hommes de toute condition sociale ou culturelle peuvent approcher le Seigneur en pensant à Lui, car écouter ce qui se rapporte à Dieu ou simplement penser à Lui est accessible à tous.

주께서 더욱 말씀하시기를(바가바드 기따 9.32~33),

Kṛṣṇa dit en effet dans la Bhagavad-gītā (9.32–33) :

맘 히 빠르타 뱌빠스리땨 māṁ hi pārtha vyapāśritya
예’삐 슈 빠빠-요나야하 ye ’pi syuḥ pāpa-yonayaḥ
스뜨리요 바이샤스 따타 슈드라스 striyo vaiśyās tathā śūdrās
떼’삐 얀띠 빠람 가띰 te ’pi yānti parāṁ gatim
māṁ hi pārtha vyapāśritya
ye ’pi syuḥ pāpa-yonayaḥ
striyo vaiśyās tathā śūdrās
te ’pi yānti parāṁ gatim
낌 뿌나르 브라흐마나 뿐야 kiṁ punar brāhmaṇāḥ puṇyā
박따 라자르샤야스 따타 bhaktā rājarṣayas tathā
아니땸 아수캄 로깜 anityam asukhaṁ lokam
이맘 쁘라뺘 바자스바 맘 imaṁ prāpya bhajasva mām
kiṁ punar brāhmaṇāḥ puṇyā
bhaktā rājarṣayas tathā
anityam asukhaṁ lokam
imaṁ prāpya bhajasva mām

따라서 주께서 말씀하시기를 상인, 여성, 노동자 또는 가장 낮은 지위의 인간도 절대자에 이를 수 있다고 하셨다. 아주 해박한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 요점은 박띠 요가의 원칙을 받아들여 지고한 주를 삶의 정수, 최고의 목표, 궁극적 목표로 받아들이는 자는 영적 하늘에 계신 주께 도달할 수 있다. 바가바드 기따에 분명히 말씀된 원칙들을 적용하면 인간은 완벽한 삶을 살 수 있고 삶의 모든 문제에 대한 영원한 해결책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바가바드 기따 전체의 요점이다.

Le Seigneur affirme qu’un marchand, une femme, un ouvrier ou même un homme situé au plus bas échelon de l’humanité peuvent atteindre le Suprême. Il n’est pas indispensable d’être doté d’une intelligence supérieure, mais il faut par contre impérativement adopter les principes du bhakti-yoga et faire du Seigneur l’objectif premier, le but ultime de notre vie. Quiconque suivra les enseignements de la Bhagavad-gītā atteindra la perfection de l’existence et en aura définitivement résolu tous les problèmes. Telle est la substance, l’essence de la Bhagavad-gītā.

결론은 바가바드 기따는 매우 주의 깊게 읽어야 할 초월적 문헌이다. 기따-샤스뜨람 이담 뿐얌 야 빠텟 쁘라야따 뿌만(Gītā-śāstram idaṁ puṇyaṁ yaḥ paṭhet prayataḥ pumān). 바가바드 기따의 가르침을 올바로 따르면 삶의 모든 불행과 근심에서 벗어날 수 있다. 바야-쇼까디-바르지따하(Bhaya-śokādi-varjitaḥ). 현생의 모든 두려움에서 벗어나 내생은 영적으로 될 것이다(기따 마하뜨먀 1).

Nous dirons en guise de conclusion que la Bhagavad-gītā est un texte transcendantal qu’il faut lire avec le plus grand soin. Gītā-śāstram idaṁ puṇyaṁ, yaḥ paṭhet prayataḥ pumān, nous dit la Gītā-māhātmya (1). Celui qui suit sincèrement les instructions de la Bhagavad-gītā est délivré de toute souffrance et de toute angoisse. Bhaya-śokādi-varjitaḥ – il sera libéré de ses craintes dans cette vie et sa prochaine existence sera spirituelle.

또 다른 혜택도 있다.

La Gītā-māhātmya (2) ajoute :

기따댜야나-실라샤 gītādhyāyana-śīlasya
쁘라나야마-빠라샤 짜 prāṇāyāma-parasya ca
나이바 산띠 히 빠빠니 naiva santi hi pāpāni
뿌르바-잔마-끄리따니 짜 pūrva-janma-kṛtāni ca
gītādhyāyana-śīlasya
prāṇāyāma-parasya ca
naiva santi hi pāpāni
pūrva-janma-kṛtāni ca

“아주 참되고 진지한 마음으로 바가바드 기따를 읽으면 주의 은총으로 지난 잘못의 반작용이 인간에게 아무 영향도 미치지 않을 것이다(기따 마하뜨먀 2).” 주께서 바가바드 기따의 마지막에서 아주 크게 말씀하시기를 (바가바드 기따 18.66),

« Qui lit la Bhagavad-gītā avec sincérité et grand sérieux est affranchi, par la grâce du Seigneur, des conséquences de ses fautes passées. » Le Seigneur proclame dans le dernier chapitre de la Bhagavad-gītā (18.66) :

사르바-다르만 빠리땨쟈 sarva-dharmān parityajya
에깜 샤라남 브라자 mām ekaṁ śaraṇaṁ vraja
아함 뜨밤 사르바-빠뻬뵤 ahaṁ tvāṁ sarva-pāpebhyo
목샤이샤미 슈짜하 mokṣayiṣyāmi mā śucaḥ
sarva-dharmān parityajya
mām ekaṁ śaraṇaṁ vraja
ahaṁ tvāṁ sarva-pāpebhyo
mokṣayiṣyāmi mā śucaḥ

 “모든 형태의 종교를 버리고 그저 나에게 항복하라. 내가 모든 죄업에서 너를 구할 것이다. 두려워 말라.” 따라서 주께서는 당신에게 완전히 은신한 자를 책임지시고 그가 죄업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신다.

« Laisse là toutes formes de pratique religieuse et abandonne-toi simplement à Moi. Je te délivrerai de toutes les suites de tes fautes. N’aie nulle crainte. » Ainsi, le Seigneur prend la responsabilité de celui qui s’abandonne à Lui et le libère des conséquences de ses fautes. Puis la Gītā-māhātmya (3) poursuit ainsi :

말라-니르모짜남 뿜삼 mala-nirmocanaṁ puṁsāṁ
잘라-스나남 디네 디네 jala-snānaṁ dine dine
사끄릳 기땀리따-스나남 sakṛd gītāmṛta-snānaṁ
삼사라-말라-나샤남 saṁsāra-mala-nāśanam
mala-nirmocanaṁ puṁsāṁ
jala-snānaṁ dine dine
sakṛd gītāmṛta-snānaṁ
saṁsāra-mala-nāśanam

“우리는 매일 목욕함으로써 우리 자신을 씻지만, 바가바드 기따의 신성한 갠지스 물에 단 한 번만이라도 목욕하면 물질적 삶의 모든 먼지가 완전히 제거된다(기따 마하뜨먀 3).”

« On peut se purifier en prenant un simple bain tous les jours, mais en se baignant, fût-ce une fois, dans les eaux sacrées pareilles au Gange de la Bhagavad-gītā, on se débarrasse d’un coup de toute impureté matérielle. »

기따 수-기따 까르따뱌 gītā su-gītā kartavyā
낌 안야이 샤스뜨라-비스따라이히 kim anyaiḥ śāstra-vistaraiḥ
야 스바얌 빠드마나바샤 yā svayaṁ padmanābhasya
무카-빠드맏 비니히스리따mukha-padmād viniḥsṛtā
gītā su-gītā kartavyā
kim anyaiḥ śāstra-vistaraiḥ
yā svayaṁ padmanābhasya
mukha-padmād viniḥsṛtā

최고인격신께서 바가바드 기따를 말씀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다른 베다 경전을 읽을 필요가 없다. 주의 깊게, 그리고 규칙적으로 바가바드 기따를 듣고 읽을 필요만 있을 뿐이다. 현시대에 사람들은 세속적 활동에만 지나치게 몰두하므로 모든 베다 경전을 읽을 수 없다. 그러나 이런 것을 다 읽을 필요도 없다. 바가바드 기따는 모든 베다 경전의 핵심이며 특히 최고인격신께서 직접 말씀하셨으므로 이 한 권의 책으로 충분하다(기따 마하뜨먀 4).

Dieu a personnellement exposé la Bhagavad-gītā, aussi n’est-il nullement nécessaire de lire d’autres Écrits védiques. La littérature védique est en effet si vaste que l’homme d’aujourd’hui, absorbé dans ses activités matérielles, ne peut la parcourir entièrement. Cela n’est de toute façon pas indispensable. Il est suffisant d’écouter ou de lire la Bhagavad-gītā avec attention et de manière régulière, car elle est l’essence de tous les Écrits védiques et a été énoncée par Dieu, la Personne Suprême.

또한 이렇게 말하기를,

바라땀리따-사르바스밤 bhāratāmṛta-sarvasvaṁ
비쉬누-박뜨랃 비니흐스리땀 viṣṇu-vaktrād viniḥsṛtam
기따-강고다깜 삐뜨바 gītā-gaṅgodakaṁ pītvā
뿌나 잔마 나 비댜떼 punar janma na vidyate
bhāratāmṛta-sarvasvaṁ
viṣṇu-vaktrād viniḥsṛtam
gītā-gaṅgodakaṁ pītvā
punar janma na vidyate

“갠지스의 물을 마시는 자도 구원을 얻는데 바가바드 기따의 감로수를 마시는 자는 말해 무엇하겠는가? 바가바드 기따는 마하바라따의 정수이며, 원초적 비쉬누, 주 끄리쉬나께서 직접 말씀하셨다(기따 마하뜨먀 5).” 바가바드 기따는 최고 인격신의 입에서 나오고 갠지스는 주의 연꽃 같은 발에서 발산한다고 한다. 물론 주의 입과 발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지만, 공정한 연구의 측면에서 볼 때 바가바드 기따가 갠지스의 물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 Si en buvant l’eau du Gange, on obtient le salut, que dire de ce qu’obtient celui qui boit les eaux sacrées de la Bhagavad-gītā, le nectar du Mahābhārata énoncé par Kṛṣṇa, le Viṣṇu originel » (Gītā-māhātmya 5) La Bhagavad-gītā émane des lèvres du Seigneur tandis que le Gange prend sa source à Ses pieds pareils-au-lotus. Il n’y a certes, aucune différence entre la bouche et les pieds du Seigneur, mais nous comprendrons aisément que la Bhagavad-gītā prévaut sur le Gange.

사르보빠니샤도 가보 sarvopaniṣado gāvo
독다 고빨라-난다나하 dogdhā gopāla-nandanaḥ
빠르토 밧사 수-디르 복따 pārtho vatsaḥ su-dhīr bhoktā
둑담 기땀리땀 마핫 dugdhaṁ gītāmṛtaṁ mahat
sarvopaniṣado gāvo
dogdhā gopāla-nandanaḥ
pārtho vatsaḥ su-dhīr bhoktā
dugdhaṁ gītāmṛtaṁ mahat

“모든 우빠니샤드의 핵심인 이 기또빠니샤드, 바가바드 기따는 소와 같고, 소치는 소년으로 유명한 주 끄리쉬나는 이 소의 젖을 짜고 있다. 아르주나는 바로 송아지와 같고, 학식 있는 학자들과 순수한 헌애자들은 바가바드 기따라는 감로수 같은 우유를 마셔야 한다(기따 마하뜨먀 6).”

« On peut comparer cette Gītopaniṣad, la Bhagavad-gītā, l’essence de toutes les Upaniṣads, à une vache qui serait traite par le jeune pâtre Kṛṣṇa. Quant à Arjuna, il est semblable au jeune veau qui se nourrit de son lait. Les sages érudits et les purs dévots en boivent aussi le délectable lait. » (Gītā-māhātmya 6)

에깜 샤스뜨람 데바끼-뿌뜨라-기땀 ekaṁ śāstraṁ devakī-putra-gītam
에꼬 데보 데바끼-뿌뜨라 에바 eko devo devakī-putra eva
에꼬 만뜨라스 따샤 나마니 야니 eko mantras tasya nāmāni yāni
까르마삐 에깜 따샤 데바샤 세바 karmāpy ekaṁ tasya devasya sev
ekaṁ śāstraṁ devakī-putra-gītam
eko devo devakī-putra eva
eko mantras tasya nāmāni yāni
karmāpy ekaṁ tasya devasya sevā

(기따 마하뜨먀 7)

(Gītā-māhātmya 7)

오늘날 사람들은 하나의 경전, 하나의 신(神), 한 종교와 한 직업을 갖기를 무척 희망한다. 그러므로 에깜 샤스뜨람 데바끼-뿌뜨라-기땀, 전 세계를 위해 하나의 공통된 경전만 있게 하자, 바가바드 기따. 에꼬 데보 데바끼-뿌뜨라 에바, 전 세계에 하나의 신(神)만 있게 하자, 스리 끄리쉬나. 에꼬 만뜨라스 따샤 나마니, 그리고 하나의 구송, 하나의 진언(만뜨라), 하나의 기도만 있게 하자, 주의 이름을 구송하는 것,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 까르마삐 에깜 따샤 데바샤 세바, 그리고 하나의 일만 있게 하자, 최고인격신을 향한 봉헌.

De nos jours, les gens souhaitent avoir une Écriture, un Dieu, une religion et une activité. Aussi ce verset dit-il, ekaṁ śāstraṁ devakī-putra-gītam : « Qu’il n’y ait qu’une Écriture pour le monde entier – la Bhagavad-gītā. » Eko devo devakī-putra eva : « Qu’il n’y ait qu’un Dieu – Kṛṣṇa. » Eko mantras tasya nāmāni : « Qu’il n’y ait qu’un hymne, un mantra, une prière – le chant de Son nom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 Karmāpy ekaṁ tasya devasya sevā : « Qu’il n’y ait qu’une activité – le service de dévotion offert à Dieu, la Personne Suprême. »

사제 전수(DISCIPLIC SUCCESSION)

La Succession Disciplique

에밤 빠람빠라-쁘랍땀 이맘 라자르샤요 비두후(Evaṁ paramparā-prāptam imaṁ rājarṣayo viduḥ, 바가바드 기따 4.2). 이 바가바드 기따 있는 그대로는 다음의 사제 전수를 통해 전해 내려왔다.

Evaṁ paramparā-prāptam, imaṁ rājarṣayo viduḥ. « Cette science suprême fut transmise à travers une succession disciplique, et les saints rois la reçurent ainsi. » (Bhagavad-gītā 4.2)

1. Kṛṣṇa 끄리쉬나
2. Brahmā 브라흐마
3. Nārada 나라다
4. Vyāsa 비아사
5. Madhva 마드바
6. Padmanābha 빠드마나바
7. Nṛhari 느리하리
8. Mādhava 마아드바
9. Akṣobhya 악쇼뱌
10. Jaya Tīrtha 자야 띠르타
11. Jñānasindhu 갸나신두
12. Dayānidhi 다야니디
13. Vidyānidhi 비댜니디
14. Rājendra 라젠드라
15. Jayadharma 자야다르마
16. Puruṣottama 뿌루숏따마
17. Brahmaṇya Tīrtha 브라흐만야 띠르타
18. Vyāsa Tīrtha 비아사 띠르타
19. Lakṣmīpati 락쉬미빠띠
20. Mādhavendra Purī 마다벤드라 뿌리
21. Īśvara Purī, (Nityānanda, Advaita) 이스바라 뿌리, (니땨난다, 아드바이따)
22. Lord Caitanya 주 짜이따냐
23. Rūpa, (Svarūpa, Sanātana) 루빠, (스바루빠, 사나따나)
24. Raghunātha, Jīva 라구나타, 지바
25. Kṛṣṇadāsa 끄리쉬나다사
26. Narottama 나롯따마
27. Viśvanātha 비스바나타
28. (Baladeva), Jagannātha (발라데바), 자간나타
29. Bhaktivinoda 박띠비노다
30. Gaurakiśora 고라끼쇼라
31. Bhaktisiddhānta Sarasvatī 박띠싯단따 사라스바띠
32. A. C. Bhaktivedanta Swami Prabhupāda 아바이 짜란 박띠베단따 스와미 쁘라부빠다

1. Kṛṣṇa
2. Brahmā
3. Nārada
4. Vyāsa
5. Madhva
6. Padmanābha
7. Nṛhari
8. Mādhava
9. Akṣobhya
10. Jaya Tīrtha
11. Jñānasindhu
12. Dayānidhi
13. Vidyānidhi
14. Rājendra
15. Jayadharma
16. Puruṣottama
17. Brahmaṇya Tīrtha
18. Vyāsa Tīrtha
19. Lakṣmīpati
20. Mādhavendra Purī
21. Īśvara Purī, (Nityānanda, Advaita)
22. Lord Caitanya
23. Rūpa, (Svarūpa, Sanātana)
24. Raghunātha, Jīva
25. Kṛṣṇadāsa
26. Narottama
27. Viśvanātha
28. (Baladeva), Jagannātha
29. Bhaktivinoda
30. Gaurakiśora
31. Bhaktisiddhānta Sarasvatī
32. A. C. Bhaktivedanta Swami Prabhupā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