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S 1-2

제1~2절

Texte

원문

arjuna uvāca
prakṛtiṁ puruṣaṁ caiva
kṣetraṁ kṣetra-jñam eva ca
etad veditum icchāmi
jñānaṁ jñeyaṁ ca keśava
아르주나 우바짜 arjuna uvāca
쁘라끄리띰 뿌루샴 짜이바 prakṛtiṁ puruṣaṁ caiva
끄쉐뜨람 끄쉐뜨라-걈 에바 짜 kṣetraṁ kṣetra-jñam eva ca
에딷 베디뚬 잇차미 etad veditum icchāmi
갸남 계얌 짜 께샤바 jñānaṁ jñeyaṁ ca keśava
śrī-bhagavān uvāca
idaṁ śarīraṁ kaunteya
kṣetram ity abhidhīyate
etad yo vetti taṁ prāhuḥ
kṣetra-jña iti tad-vidaḥ
스리-바가반 우바짜 śrī-bhagavān uvāca
이담 샤리람 까운떼야 idaṁ śarīraṁ kaunteya
끄쉐뜨람 이땨비디야떼 kṣetram ity abhidhīyate
에딷 요 벳띠 땀 쁘라후후 etad yo vetti taṁ prāhuḥ
끄쉐뜨라-갸 이띠 딷-비다하 kṣetra-jña iti tad-vidaḥ

Synonyms

동의어

arjunaḥ uvāca: Arjuna dit; prakṛtim: la nature; puruṣam: le bénéficiaire; ca: aussi; eva: certes; kṣetram: le champ; kṣetrajñam: celui qui connaît le champ; eva: certes; ca: aussi; etat: tout ceci; veditum: comprendre; icchāmi: je souhaite; jñānam: le savoir; jñeyam: l’objet du savoir; ca: aussi; keśava: ô Kṛṣṇa; śrī-bhagavān uvāca: Dieu, la Personne Suprême, dit; idam: ce; śarīram: corps; kaunteya: ô fils de Kuntī; kṣetram: le champ; iti: ainsi; abhidhīyate: est appelé; etat: cela; yaḥ: quiconque; vetti: connaît; tam: il; prāhuḥ: est appelé; kṣetra-jñaḥ: connaissant du champ; iti: ainsi; tat-vidaḥ: par ceux qui le savent.

아르주나 우바짜: 아르주나가 말했습니다, 쁘라끄리띰: 물질, 뿌루샴: 향유자, 짜: 또한, 에바: 분명히, 끄쉐뜨람: 터, 끄쉐뜨라-걈: 그 터를 아는 자, 에바: 분명히, 짜: 또한, 에땃: 이 모든 것, 베디뚬: 이해하다, 잇차미: 나는 소망한다, 갸남: 지식, 계얌: 지식의 대상, 짜: 또한, 께샤바: 오 끄리쉬나, 스리-바가반 우바짜: 최고인격신께서 말했다, 이담: 이것, 샤리람: 육체, 까운떼야: 오 꾼띠의 아들이여, 끄쉐뜨람: 그 터, 이띠: 따라서, 아비디야떼: 라고 한다, 에땃: 이것, 야하: 하는 자, 벳띠: 알다, 땀: 그는, 쁘라후: 라고 한다, 끄쉐뜨라-갸: 그 터에 관한 지식, 이띠: 따라서, 땃-비다하: 이것을 아는 자들에 의해서.

Translation

번역

Arjuna dit: Ô mon cher Kṛṣṇa, j’aimerais savoir ce que sont la prakṛti [la nature], le puruṣa [le bénéficiaire], le champ, le connaissant du champ, le savoir et l’objet du savoir. Dieu, la Personne Suprême, répond: On appelle champ le corps, ô fils de Kuntī, et connaissant du champ celui qui connaît le corps.

아르주나가 말했습니다: 오 제 소중한 끄리쉬나여, 저는 쁘라끄리띠(물질)와 뿌루샤(향유자), 그리고 터와 이 터를 아는 자, 그리고 지식과 지식의 대상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오 꾼띠의 아들이여, 이 육신을 터라 하고 이 육신을 아는 자를 터를 아는 자라고 하느니라.

Purport

주석

Arjuna demande ici à Kṛṣṇa ce que sont la prakṛti (la nature), le puruṣa (le bénéficiaire), le kṣetra (le champ), le kṣetra-jña (le connaissant du champ), le jñāna (le savoir) et le jñeya (l’objet du savoir). Kṛṣṇa lui répond que le champ et le connaissant du champ sont respectivement le corps et celui qui connaît le corps. Le corps est le champ d’action de l’âme conditionnée qui, bien qu’elle soit prisonnière de ce monde, s’efforce de dominer la nature matérielle. Elle obtient d’ailleurs pour ce faire un corps doté d’organes sensoriels spécifiques, lequel prend tel ou tel aspect selon son aptitude à dominer et à jouir des sens. Le corps est donc le champ d’action (kṣetra) de l’âme conditionnée. Le connaissant du champ (kṣetra-jña) est celui qui connaît le corps sans s’y identifier. On peut donc aisément distinguer le champ du connaissant. N’importe qui peut constater que le corps passe de l’enfance à la vieillesse en subissant plusieurs changements, mais que la personne, elle, demeure la même. Le connaissant du champ d’action est par conséquent bel et bien différent du champ proprement dit. Ainsi l’âme conditionnée peut comprendre qu’elle est distincte de son corps. Cela a déjà été expliqué au début de la Bhagavad-gītā: dehino ’smin yathā dehe. L’être qui vit à l’intérieur du corps – lequel passe de l’enfance à l’adolescence, puis de la jeunesse à la vieillesse – sait que celui-ci change avec le temps.

Nous avons dit que le possesseur du champ est le kṣetra-jña. Parfois l’on pense « Je suis heureux », « je suis en colère », « je suis un homme », « je suis une femme », « je suis un chien », « je suis un chat. » Autant de désignations corporelles appliquées au connaissant, lequel est pourtant totalement différent du champ d’action. Nous savons fort bien que nous sommes distincts de nos vêtements, comme, du reste, de tous les objets que nous utilisons. Nous devrions donc facilement réaliser que nous sommes également distincts du corps que nous revêtons. Ainsi, vous, moi, ou toute autre personne qui a un corps, sommes-nous les kṣetra-jñas, les connaissants du kṣetra (le champ d’action).

아르주나는 쁘라끄리띠(물질), 뿌루샤(향유자), 끄쉐뜨라(터), 끄쉐뜨라-갸(이 터를 아는 자), 그리고 지식과 지식의 대상을 알고 싶어 했다. 그가 이 모든 것에 관해 질문했을 때, 끄리쉬나는 이 육신을 터라 하셨으며, 이 육신을 아는 자를 터를 아는 자라고 말씀하셨다. 이 육신은 속박된 영혼이 활동하는 장이다. 속박된 영혼은 물질적 존재 안에 갇혀 물질적 본성을 지배하려고 한다. 그래서 물질적 본성을 지배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각각 행위의 터를 획득하게 된다. 이 행위의 터가 육신이다. 육신이란 무엇인가? 육신은 감각들로 구성되어 있다. 속박된 영혼은 감각 만족을 원하며, 감각을 즐길 수 있는 능력에 따라 육신, 즉 행위의 터를 부여받는다. 그러므로 이 육신을 터, 즉 속박된 영혼이 행동하는 터라 한다. 다음으로, 자기를 육신과 동일시하지 않는 사람을 끄쉐뜨라-갸, 터를 아는 자라고 한다. 이 터와 그것을 아는 자, 즉 육신과 그 주체(영혼) 사이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아동기에서 노년기로 육신은 너무나 많은 변화를 겪지만, 여전히 같은 한 사람이라는 것을 누구나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행위의 장을 아는 자와 실제적 행위의 장은 다른 것이다. 따라서 속박된 살아 있는 영혼은 자기가 육신과는 다르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서두에 "데히노 스민(dehino ’smin)", 즉 생명체가 몸 안에 살고 있으며, 그 몸은 아기에서 어린이, 어린이에서 젊은이, 젊은이에서 늙은이로 변해가며, 육신을 가진 자는 그 육신이 변해가고 있다는 것을 안다고 설명했다. 몸의 주인이 바로 끄쉐뜨라-갸이다. 우리는 때때로 “나는 행복하다”, “나는 남자다”, “나는 여자다”, “나는 개다”, “나는 고양이다”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영혼에 대한 육체적 개념이다. 하지만 영혼은 육체와는 다르다. 비록 우리가 옷과 같은 여러 물건을 사용하지만, 우리가 그러한 물건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안다. 이처럼, 우리는 약간의 숙고로 우리가 이 몸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너, 나 할 것 없이 몸을 가진 누구나 끄쉐뜨라-갸, 행위의 장을 아는 자이며, 그 몸을 끄쉐뜨라, 즉 행위의 장이라고 한다.

Les six premiers chapitres ont décrit ce connaissant du corps (l’être distinct) et les façons dont il peut comprendre le Seigneur Suprême. Puis les chapitres sept à douze ont décrit le Seigneur et la relation qui unit l’âme distincte à l’Âme Suprême dans le cadre du service de dévotion. La suprématie de Dieu et la position subordonnée de l’âme individuelle furent aussi clairement établies. Toujours subordonné, l’être ne souffre que parce qu’il oublie sa position originelle. Toutefois, qu’il accomplisse des actes vertueux, et il approchera le Seigneur Suprême de diverses manières comme le font le malheureux, le curieux, celui qui cherche à s’enrichir ou celui qui aspire à la connaissance. À partir de ce treizième chapitre, nous apprendrons comment l’être entre en contact avec la matière et comment le Seigneur l’en libère par le biais des différentes méthodes que sont l’action intéressée, le développement de la connaissance et le service de dévotion. Ce chapitre nous expliquera également comment l’âme, bien que tout à fait distincte du corps, finit, d’une façon ou d’une autre, par lui être liée.

바가바드 기따의 처음 여섯 장에서 몸의 주인(생명체)과 지고한 주를 이해할 수 있는 위치가 설명되었다. 바가바드 기따의 중간 여섯 장에서 최고인격신, 봉헌과 관련한 개별 영혼과 초영혼의 관계가 설명되었다. 상위의 최고인격신과 여기에 종속된 개별 영혼이 이 장들에서 명확히 기술되었다. 생명체는 어떤 상황에도 종속되어 있지만, 이것을 잊어버리고 있어서 고통받고 있다. 경건한 행위들로 계몽되면 그들은 각기 다른 동기로 즉, 괴로움으로, 돈을 원해서, 호기심에, 지식을 찾아 지고한 주께 다가간다. 이것 역시 설명되었다. 이제 제13장을 시작하면서 어떻게 생명체가 물질적 본성과 접하게 되었으며, 어떻게 결실적 행위, 지식의 배양, 봉헌을 통해 지고한 주께 구원받는지 설명한다. 생명체는 물질적 육신과는 완전히 다르지만, 어떠한 연유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것 역시 설명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