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

제2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राजविद्या राजगुह्यं पवित्रमिदमुत्तमम् ।
प्रत्यक्षावगमं धर्म्यं सुसुखं कर्तुमव्ययम् ॥ २ ॥

Text

원문

rāja-vidyā rāja-guhyaṁ
pavitram idam uttamam
pratyakṣāvagamaṁ dharmyaṁ
su-sukhaṁ kartum avyayam
라자-비댜 라자-구햠 rāja-vidyā rāja-guhyaṁ
빠비뜨람 이담 웃따맘 pavitram idam uttamam
쁘라땩샤바가맘 다르먐 pratyakṣāvagamaṁ dharmyaṁ
수-수캄 까르뚬 아뱌얌 su-sukhaṁ kartum avyayam

Synonyms

동의어

rāja-vidyā — the king of education; rāja-guhyam — the king of confidential knowledge; pavitram — the purest; idam — this; uttamam — transcendental; pratyakṣa — by direct experience; avagamam — understood; dharmyam — the principle of religion; su-sukham — very happy; kartum — to execute; avyayam — everlasting.

라자-비댜: 교육의 왕, 라자-구햠: 비밀스러운 지식의 왕, 빠비뜨람: 가장 순수한 것, 이담: 이것, 웃따맘: 초월적인, 쁘라땩샤: 직접적 경험으로, 아바가맘: 이해했다, 다르먐: 종교 원칙, 수-수캄: 아주 행복한, 까르뚬: 실행하다, 아뱌얌: 영원히 지속하는.

Translation

번역

This knowledge is the king of education, the most secret of all secrets. It is the purest knowledge, and because it gives direct perception of the self by realization, it is the perfection of religion. It is everlasting, and it is joyfully performed.

이 지식은 교육의 왕이며 모든 비밀 중에서 최고의 비밀이다. 또한 가장 순수한 지식이고, 깨달음을 통해 자아에 관한 직접적 인식을 심어주기에 이것이 바로 종교의 완성이니라. 이 지식은 영원하며 즐겁게 성취된다.

Purport

주석

This chapter of Bhagavad-gītā is called the king of education because it is the essence of all doctrines and philosophies explained before. Among the principal philosophers in India are Gautama, Kaṇāda, Kapila, Yājñavalkya, Śāṇḍilya and Vaiśvānara. And finally there is Vyāsadeva, the author of the Vedānta-sūtra. So there is no dearth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philosophy or transcendental knowledge. Now the Lord says that this Ninth Chapter is the king of all such knowledge, the essence of all knowledge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study of the Vedas and different kinds of philosophy. It is the most confidential because confidential or transcendental knowledge involves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l and the body. And the king of all confidential knowledge culminates in devotional service.

바가바드 기따의 이 장을 교육의 왕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이 장이 이전에 설명된 모든 교리와 철학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인도의 저명한 철학자 중에는 가우따마(Gautama), 까나다(Kaṇāda,), 까필라(Kapila), 야갸발꺄(Yājñavalkya), 샨딜야(Śāṇḍilya), 바이스바나라(Vaiśvānara)가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베단따 수뜨라의 저자, 비아사데바가 있다. 그래서 철학이나 초월적 지식에 관한 한 부족한 것이 없다. 이제 주께서 제9장은 이러한 모든 지식의 왕이며 베다 및 여러 종류의 철학을 연구해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지식의 핵심이라고 말씀하신다. 비밀스럽고 초월적인 지식은 영혼과 육신의 차이에 관한 이해를 포함하기에 가장 비밀스럽다. 그리고 모든 비밀스러운 지식의 왕은 봉헌에서 절정을 이룬다.

Generally, people are not educated in this confidential knowledge; they are educated in external knowledge. As far as ordinary education is concerned, people are involved with so many departments: politics, sociology, physics, chemistry, mathematics, astronomy, engineering, etc. There are so many departments of knowledge all over the world and many huge universities, but there is, unfortunately, no university or educational institution where the science of the spirit soul is instructed. Yet the soul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body; without the presence of the soul, the body has no value. Still people are placing great stress on the bodily necessities of life, not caring for the vital soul.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 비밀스러운 지식을 배우지 않는다. 그들은 피상적인 지식을 공부한다. 보통 교육은 정치학, 사회학, 물리학, 화학, 역학, 천문학, 공학 등 너무나 많은 분야를 다룬다. 전 세계에 걸쳐 여러 큰 대학교에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다루고 있지만, 불행히도 영혼의 과학을 교육하는 대학이나 교육 기관은 없다. 하지만 영혼은 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영혼의 존재가 없다면 이 몸은 아무 가치도 없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핵심인 영혼은 돌보지 않고, 육체적으로 필요한 것들에만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The Bhagavad-gītā, especially from the Second Chapter on,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soul. In the very beginning, the Lord says that this body is perishable and that the soul is not perishable (antavanta ime dehā nityasyoktāḥ śarīriṇaḥ). That is a confidential part of knowledge: simply knowing that the spirit soul is different from this body and that its nature is immutable, indestructible and eternal. But that gives no positive information about the soul. Sometimes people are under the impression that the soul is different from the body and that when the body is finished, or one is liberated from the body, the soul remains in a void and becomes impersonal. But actually that is not the fact. How can the soul, which is so active within this body, be inactive after being liberated from the body? It is always active. If it is eternal, then it is eternally active, and its activities in the spiritual kingdom are the most confidential part of spiritual knowledge. These activities of the spirit soul are therefore indicated here as constituting the king of all knowledge, the most confidential part of all knowledge.

바가바드 기따는 특히 제2장에서 영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맨 처음, 주께서 이 육신은 소멸하지만 영혼은 소멸하지 않는다고 말씀하셨다(안따반따 이메 데하 니땨쇽따 샤리리나하 antavanta ime dehā nityasyoktāḥ śarīriṇaḥ). 이것이 바로 비밀스러운 지식이다. 즉 영혼은 이 육신과는 다른 것이고 그 본성은 변하지 않으며 파괴되지 않고 영원하다. 그러나 그것은 영혼에 관한 어떠한 긍정적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때때로 사람들은 영혼은 육신과는 달리 몸이 다하거나 몸에서 해방될 때, 공(空)이 되어 비인성화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로 사실이 아니다. 이 육신 안에서 그렇게 활동적인 영혼이 몸에서 해방된 다음 어떻게 비활동적이 될 수 있겠는가? 영혼은 항상 활동적이다. 영혼이 영원하다면 영원히 동적이고, 영적 왕국에서의 활동이 영적 지식의 가장 비밀스러운 부분이다. 따라서 영혼의 그러한 활동이 모든 지식의 가장 비밀스러운 부분, 모든 지식의 왕을 구성한다고 여기에서 명시한다.

This knowledge is the purest form of all activities, as explained in Vedic literature. In the Padma Purāṇa, man’s sinful activities have been analyzed and are shown to be the results of sin after sin. Those who are engaged in fruitive activities are entangled in different stages and forms of sinful reactions. For instance, when the seed of a particular tree is sown, the tree does not appear immediately to grow; it takes some time. It is first a small, sprouting plant, then it assumes the form of a tree, then it flowers and bears fruit, and, when it is complete, the flowers and fruits are enjoyed by persons who have sown the seed of the tree. Similarly, a man performs a sinful act, and like a seed it takes time to fructify. There are different stages. The sinful action may have already stopped within the individual, but the results or the fruit of that sinful action are still to be enjoyed. There are sins which are still in the form of a seed, and there are others which are already fructified and are giving us fruit, which we are enjoying as distress and pain.

베다 문헌의 설명에 따르면, 이 지식이 모든 활동 중에서 가장 순수한 것이라고 한다. 빠드마 뿌라나는 인간의 죄악을 분석해서 그 죄악의 계속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실을 낳는 행위에 종사하는 자들은 다양한 단계와 형태의 죄업에 얽힌다. 예를 들면, 어떤 나무의 씨를 심으면 그 나무가 당장 자라지 않고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다. 처음에는 작은 새싹에서 시작해 나중에 나무의 모습을 하게 되고, 그다음 꽃이 피고 열매를 맺게 되며, 그 열매가 익을 때 나무의 씨를 심은 자는 그 꽃과 열매를 즐긴다. 마찬가지로, 사람이 죄를 저지르면 씨를 심어 열매를 거두는 것과 같이 그 죄의 결과를 받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죄가 되는 행위를 이미 그만두었더라도 그 죄악의 결과와 열매는 여전히 우리가 경험하도록 기다리고 있다. 여전히 씨앗의 모습을 한 죄가 있고, 이미 결실을 보아 우리가 현재 받는 불행과 고통의 열매로 주어지기도 한다.

As explained in the twenty-eighth verse of the Seventh Chapter, a person who has completely ended the reactions of all sinful activities and who is fully engaged in pious activities, being freed from the duality of this material world, becomes engaged in devotional service to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Kṛṣṇa. In other words, those who are actually engaged in the devotional service of the Supreme Lord are already freed from all reactions. This statement is confirmed in the Padma Purāṇa:

제7장 28절에서 설명하듯이, 모든 죄악의 반작용을 완전히 끝내고, 경건한 행위만 하며 이 물질계의 이원성에서 벗어난 사람은 최고인격신, 끄리쉬나의 봉헌에 종사하게 된다. 다른 말로, 지고한 주의 봉헌에 실제로 종사하는 사람은 이미 모든 반작용에서 벗어난 것이다. 이 말은 빠드마 뿌라나에서 확증된다.

aprārabdha-phalaṁ pāpaṁ
kūṭaṁ bījaṁ phalonmukham
krameṇaiva pralīyeta
viṣṇu-bhakti-ratātmanām
아쁘라브다-팔람 빠빰 aprārabdha-phalaṁ pāpaṁ
꾸땀 비잠 팔론무캄 kūṭaṁ bījaṁ phalonmukham
끄라메나이바 쁘랄리예따 krameṇaiva pralīyeta
비쉬누-박띠-라따뜨마남 viṣṇu-bhakti-ratātmanām

For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devotional service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all sinful reactions, whether fructified, in the stock, or in the form of a seed, gradually vanish. Therefore the purifying potency of devotional service is very strong, and it is called pavitram uttamam, the purest. Uttama means transcendental. Tamas means this material world or darkness, and uttama means that which is transcendental to material activities. Devotional activities are never to be considered material, although sometimes it appears that devotees are engaged just like ordinary men. One who can see and is familiar with devotional service will know that they are not material activities. They are all spiritual and devotional, uncontaminated by the material modes of nature.

최고인격신을 위한 봉헌에 종사하는 사람의 모든 죄과는 열매를 맺은 상태에 있든, 줄기에 있든, 씨앗의 모습을 하고 있든 점차 사라진다. 그러므로 봉헌의 정화 능력은 아주 강하며 “빠비뜨람 웃따맘(pavitram uttamam)”, 즉 가장 순수한 것이라 불린다. “웃따마”란 초월적이란 의미이다. “따마”란 이 물질계, 즉 어둠을 의미하고, 웃따마란 물질적 행위를 초월한 것을 의미한다. 봉헌은 때때로 일반인들의 행동과 똑같아 보이지만, 이것을 물질적 행위로 여겨서는 절대 안 된다. 이 차이를 볼 수 있고 봉헌에 익숙한 자는 이것이 물질적 행위가 아님을 알 것이다. 이는 모두 영적이고 헌애적이며, 물질적 본성의 양태에 오염되어 있지 않다.

It is said that the execution of devotional service is so perfect that one can perceive the results directly. This direct result is actually perceived, and we have practical experience that any person who is chanting the holy names of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in course of chanting without offenses feels some transcendental pleasure and very quickly becomes purified of all material contamination. This is actually seen. Furthermore, if one engages not only in hearing but in trying to broadcast the message of devotional activities as well, or if he engages himself in helping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he gradually feels spiritual progress. This advancement in spiritual life does not depend on any kind of previous education or qualification. The method itself is so pure that by simply engaging in it one becomes pure.

봉헌의 실행은 너무나 완벽해서 우리가 그 결과를 직접 인지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직접적 결과는 실제로 인지되며, 끄리쉬나의 신성한 이름들(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을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며 꾸준히 구송하는 자는 누구라도 초월적 즐거움을 느끼게 되고, 곧 모든 물질적 오염에서 정화되는 것을 우리는 실제로 경험하였다. 이것은 실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듣기뿐만 아니라 헌애적 행위에 관한 메시지를 널리 알리거나 끄리쉬나 의식의 선교 활동을 도우면 점진적으로 영적 진보를 느낀다. 영적 삶에서의 이러한 발전은 이전의 학력이나 어떠한 자격에 달려 있지 않다. 방법 자체가 너무도 순결하여 단지 그것에 종사함으로써 우리는 순결해진다.

In the Vedānta-sūtra (3.2.26) this is also described in the following words: prakāśaś ca karmaṇy abhyāsāt. “Devotional service is so potent that simply by engaging in the activities of devotional service one becomes enlightened without a doubt.” A practical example of this can be seen in the previous life of Nārada, who in that life happened to be the son of a maidservant. He had no education, nor was he born into a high family. But when his mother was engaged in serving great devotees, Nārada also became engaged, and sometimes, in the absence of his mother, he would serve the great devotees himself. Nārada personally says,

베단따 수뜨라(3.2.26)에서도 이것은 다음과 같은 말로 설명된다. “쁘라까샤스 짜 까르마냐비아삿(prakāśaś ca karmaṇy abhyāsāt).” 즉 “봉헌의 힘은 너무나 강력해 단지 그것에 종사함으로써 우리는 의심의 여지 없이 깨어난다.” 이 실례를 하녀의 아들로 태어난 나라다의 전생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아무런 교육도 받지 못했고 명문 가문에 태어난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가 훌륭한 헌애자들을 위해 봉사할 때 나라다 역시 그 일을 돕게 되었고, 어머니가 계시지 않을 때는 그가 헌애자들을 직접 섬기곤 했다. 나라다가 직접 말하기를,

ucchiṣṭa-lepān anumodito dvijaiḥ
sakṛt sma bhuñje tad-apāsta-kilbiṣaḥ
evaṁ pravṛttasya viśuddha-cetasas
tad-dharma evātma-ruciḥ prajāyate
웃치쉬따-레빠나누모디또 드비자이히 ucchiṣṭa-lepān anumodito dvijaiḥ
사끄릿 스마 분제 따다빠스따-낄비샤하 sakṛt sma bhuñje tad-apāsta-kilbiṣaḥ
에밤 쁘라브릿따샤 비슏다-쩨따사스 evaṁ pravṛttasya viśuddha-cetasas
딷-다르마 에바뜨마-루찌 쁘라자야떼 tad-dharma evātma-ruciḥ prajāyate

In this verse from Śrīmad-Bhāgavatam (1.5.25) Nārada describes his previous life to his disciple Vyāsadeva. He says that while engaged as a boy servant for those purified devotees during the four months of their stay, he was intimately associating with them. Sometimes those sages left remnants of food on their dishes, and the boy, who would wash their dishes, wanted to taste the remnants. So he asked the great devotees for their permission, and when they gave it Nārada ate those remnants and consequently became freed from all sinful reactions. As he went on eating, he gradually became as pure-hearted as the sages. The great devotees relished the taste of unceasing devotional service to the Lord by hearing and chanting, and Nārada gradually developed the same taste. Nārada says further,

스리마드 바가바땀(1.5.25)의 이 구절에서 나라다는 자신의 전생을 제자인 비아사데바에게 설명하고 있다. 순수한 헌애자들이 네 달간 머무는 동안 그는 어린 하인으로 일하면서 그들과 친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때때로 그 성자들은 음식을 남겼는데, 그들의 접시를 닦곤 하던 이 소년(나라다)은 그 남은 음식을 맛보고자 했다. 그래서 위대한 헌애자들에게 간청하였고, 그들이 나라다에게 음식을 나누어 주어 그 음식을 먹은 나라다는 결국 모든 죄의 결과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계속해서 그 음식을 먹게 됨에 따라, 나라다는 점차 성자들만큼 순수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위대한 헌애자들은 듣기와 구송으로 주를 향한 끊임없는 봉헌을 만끽했고, 나라다 역시 그러한 성향을 점차 얻게 되었다. 나라다가 계속해서 말하기를,

tatrānv-ahaṁ kṛṣṇa-kathāḥ pragāyatām
anugraheṇāśṛṇavaṁ mano-harāḥ
tāḥ śraddhayā me ’nu-padaṁ viśṛṇvataḥ
priyaśravasy aṅga mamābhavad ruciḥ
따뜨란바함 끄리쉬나-까타 쁘라가야땀 tatrānv-ahaṁ kṛṣṇa-kathāḥ pragāyatām
아누그라헤나스린아밤 마노하라하 anugraheṇāśṛṇavaṁ mano-harāḥ
따하 스랃다야 메’누빠담 비스린바따하 tāḥ śraddhayā me ’nu-padaṁ viśṛṇvataḥ
 쁘리야스라바샹가 마마바받 루찌히 priyaśravasy aṅga mamābhavad ruciḥ

By associating with the sages, Nārada got the taste for hearing and chanting the glories of the Lord, and he developed a great desire for devotional service. Therefore, as described in the Vedānta-sūtra, prakāśaś ca karmaṇy abhyāsāt: if one is engaged simply in the acts of devotional service, everything is revealed to him automatically, and he can understand. This is called pratyakṣa, directly perceived.

그 성자들과의 교류로 나라다는 주의 영광을 듣고 구송하는 즐거움을 얻게 되었고, 봉헌하고 싶은 욕망이 커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베단따 수뜨라에 묘사된 것처럼 “쁘라까샤스 짜 까르마냐비아삿”, 그저 봉헌에 종사함으로써 모든 것이 저절로 드러나며,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쁘라딱샤(pratyakṣa), 직접적 인지라고 한다.

The word dharmyam means “the path of religion.” Nārada was actually a son of a maidservant. He had no opportunity to go to school. He was simply assisting his mother, and fortunately his mother rendered some service to the devotees. The child Nārada also got the opportunity and simply by association achieved the highest goal of all religion. The highest goal of all religion is devotional service, as stated in Śrīmad-Bhāgavatam (sa vai puṁsāṁ paro dharmo yato bhaktir adhokṣaje). Religious people generally do not know that the highest perfection of religion is the attainment of devotional service. As we have already discussed in regard to the last verse of Chapter Eight (vedeṣu yajñeṣu tapaḥsu caiva), generally Vedic knowledge is required for self-realization. But here, although Nārada never went to the school of the spiritual master and was not educated in the Vedic principles, he acquired the highest results of Vedic study. This process is so potent that even without performing the religious process regularly, one can be raised to the highest perfection. How is this possible? This is also confirmed in Vedic literature: ācāryavān puruṣo veda. One who is in association with great ācāryas, even if he is not educated or has never studied the Vedas, can become familiar with all the knowledge necessary for realization.

“다르먐(dharmyam)”이라는 말은 “종교의 길”을 의미한다. 나라다는 사실 하녀의 아들이었다. 그는 학교에 갈 기회조차 없었다. 그저 어머니를 돕고 있었는데, 다행히 어머니가 헌애자들을 위해 봉사를 조금 한 것이다. 어린 나라다 또한 그 기회를 얻어 그저 잠깐의 교류로 모든 종교의 가장 높은 목적을 달성했다. 스리마드 바가바땀에서 명시하는 것처럼 모든 종교의 가장 높은 목적은 봉헌이다(사 바이 뿜삼 빠로 다르모 야또 박띠르 아독샤제 sa vai puṁsāṁ paro dharmo yato bhaktir adhokṣaje). 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종교의 가장 높은 완성이 봉헌이라는 것을 모른다. 제8장의 마지막 구절(베데슈 야계슈 따빠흐수 짜이바 vedeṣu yajñeṣu tapaḥsu caiva)에서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베다 지식은 자아 인식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나라다는 영적 스승 밑에서 베다 원칙을 배우지 않았지만, 베다 공부의 가장 높은 경지를 이룩했다. 이 과정은 너무나 강력하여 종교 과정을 정식으로 수행하지 않고서도 가장 높은 완성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가? 이 역시 베다 문헌이 확증한다. “아짜리아반 뿌루쇼 베다(ācāryavān puruṣo veda).” 위대한 아짜리아와 교류하는 자는 설령 베다 교육을 받거나 공부하지 않았더라도 깨달음에 필요한 모든 지식을 잘 알 수 있다.

The process of devotional service is a very happy one (su-sukham). Why? Devotional service consists of śravaṇaṁ kīrtanaṁ viṣṇoḥ, so one can simply hear the chanting of the glories of the Lord or can attend philosophical lectures on transcendental knowledge given by authorized ācāryas. Simply by sitting, one can learn; then one can eat the remnants of the food offered to God, nice palatable dishes. In every state devotional service is joyful. One can execute devotional service even in the most poverty-stricken condition. The Lord says, patraṁ puṣpaṁ phalaṁ toyam: He is ready to accept from the devotee any kind of offering, never mind what. Even a leaf, a flower, a bit of fruit, or a little water, which are all available in every part of the world, can be offered by any person, regardless of social position, and will be accepted if offered with love. There are many instances in history. Simply by tasting the tulasī leaves offered to the lotus feet of the Lord, great sages like Sanat-kumāra became great devotees. Therefore the devotional process is very nice, and it can be executed in a happy mood. God accepts only the love with which things are offered to Him.

봉헌의 과정은 매우 행복하다(수수깜 susukham). 왜 그러한가? 봉헌이란 듣고 구송하는 것(스라바남 끼르따남 비쉬노호 śravaṇaṁ kīrtanaṁ viṣṇoḥ)이어서 누구나 쉽게 주의 영광을 구송하는 것을 들을 수 있고, 공인된 스승이 주시는 초월적 지식에 관한 철학적 강의에 참가할 수도 있다. 그저 가만히 앉아서 우리는 배울 수 있고, 절대신께 바친 후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된다. 모든 단계에서 봉헌은 즐겁다. 우리는 가장 곤궁한 상황에서조차 봉헌을 수행할 수 있다. 주께서 말씀하시기를, “빠뜨람 뿌쉬빰 팔람 또얌(patraṁ puṣpaṁ phalaṁ toyam)”, 즉 주께서는 헌애자가 바치는 것은 어떠한 것이든 상관하지 않고 기꺼이 받으신다.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누구라도 세상 어디에서도 구할 수 있는 풀잎, 꽃, 약간의 과일, 또는 약간의 물이라도 사랑으로 바친다면 주께서는 그것을 받아주신다. 역사상 많은 예가 있다. 주의 연꽃 같은 발에 바쳐진 뚤라시 잎을 맛보는 것만으로 사낫-꾸마라(Sanat-kumāra) 같은 위대한 성인은 큰 헌애자가 되었다. 그러므로 봉헌의 과정이란 아주 좋은 것이고, 행복한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절대신께서는 당신께 바쳐진 것들에 담긴 사랑만을 받으신다.

It is said here that this devotional service is eternally existing. It is not as the Māyāvādī philosophers claim. Although they sometimes take to so-called devotional service, their idea is that as long as they are not liberated they will continue their devotional service, but at the end, when they become liberated, they will “become one with God.” Such temporary time-serving devotional service is not accepted as pure devotional service. Actual devotional service continues even after liberation. When the devotee goes to the spiritual planet in the kingdom of God, he is also engaged there in serving the Supreme Lord. He does not try to become one with the Supreme Lord.

이 봉헌은 영원히 존재한다고 여기에서 말한다. 이것은 마야바디 철학자들이 주장하는 바와는 다르다. 그들이 때때로 소위 봉헌이라는 것을 행한다고 할지라도 그들의 개념은 해방되지 않는 한, 계속 봉헌을 수행해야 하고 마침내 해방을 이루면 그들은 “신과 하나가 된다”라고 말한다. 이러한 일시적 봉헌은 순수한 봉헌이 아니다. 진정한 봉헌은 해방된 다음에도 계속하는 것이다. 헌애자는 절대신의 왕국이 있는 영적 행성에 가서도, 여전히 지고한 주를 섬긴다.

As will be seen in Bhagavad-gītā, actual devotional service begins after liberation. After one is liberated, when one is situated in the Brahman position (brahma-bhūta), one’s devotional service begins (samaḥ sarveṣu bhūteṣu mad-bhaktiṁ labhate parām). No one can understand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by executing karma-yoga, jñāna-yoga, aṣṭāṅga-yoga or any other yoga independently. By these yogic methods one may make a little progress toward bhakti-yoga, but without coming to the stage of devotional service one cannot understand what is the Personality of Godhead. In the Śrīmad-Bhāgavatam it is also confirmed that when one becomes purified by executing the process of devotional service, especially by hearing Śrīmad-Bhāgavatam or Bhagavad-gītā from realized souls, then he can understand the science of Kṛṣṇa, or the science of God. Evaṁ prasanna-manaso bhagavad-bhakti-yogataḥ. When one’s heart is cleared of all nonsense, then one can understand what God is. Thus the process of devotional service,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the king of all education and the king of all confidential knowledge. It is the purest form of religion, and it can be executed joyfully without difficulty. Therefore one should adopt it.

바가바드 기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진정한 봉헌은 해방된 다음부터 시작된다. 해방을 이룬 다음, 브라흐만의 위치(브라흐마 부따 brahma-bhūta)에 오를 때, 우리의 봉헌은 시작된다(사마 사르베슈 부떼슈 맏-박띰 라바떼 빠람(samaḥ sarveṣu bhūteṣu mad-bhaktiṁ labhate parām). 까르마 요가, 갸나 요가, 아쉬땅까 요가, 또는 다른 요가 등을 독자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최고인격신을 이해할 수 없다. 이러한 요가 방법으로 박띠 요가를 향해 어느 정도 전진할 수는 있지만, 봉헌의 단계에 오르지 않고서는 인격신이 무엇인지 절대 이해할 수 없다. 스리마드 바가바땀에서 봉헌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특히 스리마드 바가바땀과 바가바드 기따를 깨달은 영혼에게서 들음으로써 우리가 정화될 때야 비로소 끄리쉬나의 과학, 즉 절대신의 과학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에밤 쁘라산나-마나소 바가받-박띠 요가따하(Evaṁ prasanna-manaso bhagavad-bhakti-yogataḥ). 우리의 가슴에서 모든 무의미한 것들이 씻길 때, 우리는 절대신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봉헌, 즉 끄리쉬나 의식의 과정은 모든 교육의 왕이며, 모든 비밀스러운 지식의 왕이다. 이것은 종교의 가장 순수한 모습이며, 어려움 없이 즐겁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것을 받아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