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49

제49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असक्तबुद्धि: सर्वत्र जितात्मा विगतस्पृह: ।
नैष्कर्म्यसिद्धिं परमां सन्न्यासेनाधिगच्छति ॥ ४९ ॥

Text

원문

asakta-buddhiḥ sarvatra
jitātmā vigata-spṛhaḥ
naiṣkarmya-siddhiṁ paramāṁ
sannyāsenādhigacchati
아삭따-붇디 사르바뜨라 asakta-buddhiḥ sarvatra
지따뜨마 비가따-스쁘리하하 jitātmā vigata-spṛhaḥ
나이쉬까르먀-싣딤 빠라맘 naiṣkarmya-siddhiṁ paramāṁ
산냐세나디갓차띠 sannyāsenādhigacchati

Synonyms

동의어

asakta-buddhiḥ — having unattached intelligence; sarvatra — everywhere; jita-ātmā — having control of the mind; vigata-spṛhaḥ — without material desires; naiṣkarmya-siddhim — the perfection of nonreaction; paramām — supreme; sannyāsena — by the renounced order of life; adhigacchati — one attains.

아삭따-붇디히: 집착 없는 지성을 가진, 사르바뜨라: 모든 곳에, 지따-아뜨마: 마음을 다스리는, 비가따-스쁘리하하: 물질적 욕망 없이, 나이쉬까르먀-싣딤: 과보 없는 완성, 빠라맘: 최고의, 산냐세나: 버리는 삶의 질서로, 아디갓차띠: 달성하다.

Translation

번역

One who is self-controlled and unattached and who disregards all material enjoyments can obtain, by practice of renunciation, the highest perfect stage of freedom from reaction.

자기를 통제할 줄 알고, 집착이 없으며, 모든 물질적 즐거움을 버린 자는 버림을 실천함으로써 반작용에서 벗어난 가장 높은 완성의 경지를 달성할 수 있다.

Purport

주석

Real renunciation means that one should always think himself part and parcel of the Supreme Lord and therefore think that he has no right to enjoy the results of his work. Since he is part and parcel of the Supreme Lord, the results of his work must be enjoyed by the Supreme Lord. This is actually Kṛṣṇa consciousness. The person acting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really a sannyāsī, one in the renounced order of life. By such a mentality, one is satisfied because he is actually acting for the Supreme. Thus he is not attached to anything material; he becomes accustomed to not taking pleasure in anything beyond the transcendental happiness derived from the service of the Lord. A sannyāsī is supposed to be free from the reactions of his past activities, but a person who is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utomatically attains this perfection without even accepting the so-called order of renunciation. This state of mind is called yogārūḍha, or the perfectional stage of yoga. As confirmed in the Third Chapter, yas tv ātma-ratir eva syāt: one who is satisfied in himself has no fear of any kind of reaction from his activity.

진정한 버림이란 자기 자신을 지고한 주의 파편으로 항상 생각하고, 따라서 항상 스스로  자기 일에 대한 결과를 즐길 권리가 없다고 생각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지고한 주의 파편이므로 우리 일의 결과는 지고한 주께서 즐기셔야 한다. 바로 이것이 진정한 끄리쉬나 의식이다. 끄리쉬나 의식으로 행동하는 사람이 진정한 산냐시, 즉 버리는 삶의 질서에 있는 사람이다. 이러한 정신을 갖게 되면 실제로 절대자를 위해 행동하는 것이므로 스스로 항상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물질적인 어떠한 것에도 집착하지 않게 되며 주를 향한 봉사에서 생기는 초월적 행복을 제외한 어떠한 것에서도 즐거움을 찾지 않는 데 익숙하게 된다. 산냐시는 과거 행위의 반작용에서 벗어나야 하지만, 끄리쉬나 의식에 있는 사람은 그러한 소위 버리는 삶을 택하지 않고서도 저절로 이 완성의 경지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마음 상태를 요가루다(yogārūḍha), 즉 요가의 완성 단계라고 한다. 이것은 제3장에서 “야스뜨바뜨마 라띠레바 샷(yas tv ātma-ratir eva syāt)”, 즉 자기 자신에 만족한 자는 자기 행위에서 생긴 어떠한 반작용에 대한 두려움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