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5절

TEXT 5

원문

Tekst

스리-바가반 우바짜 śrī-bhagavān uvāca
바후니 메 뱌띠따니 bahūni me vyatītāni
잔마니 따바 짜르주나 janmāni tava cārjuna
딴야함 베다 사르바니 tāny ahaṁ veda sarvāṇi
나 뜨밤 벳타 빠란따빠 na tvaṁ vettha paran-tapa
śrī-bhagavān uvāca
bahūni me vyatītāni
janmāni tava cārjuna
tāny ahaṁ veda sarvāṇi
na tvaṁ vettha paran-tapa

동의어

Synonyms

스리 바가반 우바짜: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다, 바후니: 많은, 메: 내 것의, 뱌띠따니: 지나갔다, 잔마니: 출생들, 따바: 네 것의, 짜: 그리고 또한, 아르주나: 오 아르주나, 따니: 그것들, 아함: 나, 베다: 알다, 사르바니: 모든, 나: 아니다, 뜨밤: 너, 벳타: 알다, 빠란따빠: 오 적을 무찌르는 자여.

śrī-bhagavān uvāca — Jumala Isiksus ütles; bahūni — paljud; me — Minu; vyatītāni — on möödunud; janmāni — sünnid; tava — sinu; ca — ja samuti; arjuna — oo, Arjuna; tāni — neid; aham — Mina; veda — tean; sarvāṇi — kõiki; na — ei; tvam — sina; vettha — tead; parantapa — oo, vaenlaste alistaja.

번역

Translation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너와 나는 둘 다 많고 많은 생을 거쳤다. 나는 그것을 모두 기억하지만, 오 적을 무찌르는 자여! 너는 그렇지 않다.

Jumala Isiksus ütles: Me mõlemad oleme läbi teinud mitmeid, mitmeid sünde. Mina mäletan neid kõiki, kuid sina, oo, vaenlaste alistaja, neid mäletada ei suuda.

주석

Purport

브라흐마 삼히따(5.33)에서 주의 많고 많은 화신(化身 incarnation)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곳에서 말하기를,

„Brahma-saṁhitāst" (5.33) saame me teada paljudest Jumala kehastustest. Seal öeldakse:

아드바이땀 아쮸땀 아나딤 아난따-루빰 advaitam acyutam anādim ananta-rūpam
아댬 뿌라나-뿌루샴 나바-야우바남 짜 ādyaṁ purāṇa-puruṣaṁ nava-yauvanaṁ ca
베데슈 둘라밤 아둘라밤 아뜨마-박따우 vedeṣu durlabham adurlabham ātma-bhaktau
고빈담 아디-뿌루샴 땀 아함 바자미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advaitam acyutam anādim ananta-rūpam
ādyaṁ purāṇa-puruṣaṁ nava-yauvanaṁ ca
vedeṣu durlabham adurlabham ātma-bhaktau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나는 최고인격신, 고빈다(끄리쉬나)를 숭배합니다. 당신은 원초적 인간이며, 절대적이고 오류가 없으며, 시작도 없으십니다. 무한한 형상으로 확장하셨지만, 당신은 여전히 똑같은 원초적 상태를 유지하시며 가장 나이가 많지만 항상 싱그러운 청년으로 보이십니다. 주의 이런 영원하고, 축복이 가득하며, 전지적 형상들은 최고의 베다 학자들에게조차 이해되지 못하지만, 주의 순수하고 진실한 헌애자들에게는 항상 분명히 나타납니다.”

„Ma kummardan Jumala Kõrgeima Isiksuse Govinda [Kṛṣṇa] ees, kes on algne isiksus – absoluutne, eksimatu, alguseta. Ehkki Ta on laiendanud End lõpmatutesse vormidesse, on Ta endiselt seesama algne, vanim ja ometi alati noorusliku välimusega. Selliseid igavesi, õndsust täis ja kõiketeadvaid Jumala kehastusi mõistavad tavaliselt vaid parimad vedalikud õpetlased, kuid puhtad pühendunud näevad neid alati."

또한 브라흐마 삼히따(5.39)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Samuti öeldakse „Brahma-saṁhitās" (5.39):

라마디-무르띠슈 깔라-니야메나 띠쉬탄 rāmādi-mūrtiṣu kalā-niyamena tiṣṭhan
나나바따람 아까롣 부바네슈 낀뚜 nānāvatāram akarod bhuvaneṣu kintu
끄리쉬나 스바얌 사마바밧 빠라마 뿌만 요 kṛṣṇaḥ svayaṁ samabhavat paramaḥ pumān yo
고빈담 아디-뿌루샴 땀 아함 바자미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rāmādi-mūrtiṣu kalā-niyamena tiṣṭhan
nānāvatāram akarod bhuvaneṣu kintu
kṛṣṇaḥ svayaṁ samabhavat paramaḥ pumān yo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저는 최고인격신, 고빈다(끄리쉬나)를 숭배합니다. 당신은 라마(Rāma), 느리심하(Nṛsiṁha)와 같은 다양한 화신 및 다른 하위 화신들 속에도 항상 계시지만, 끄리쉬나로 알려진 원초적 최고인격신이며, 또한 친히 강림하십니다.”

„Ma kummardan Jumala Kõrgeima Isiksuse Govinda [Kṛṣṇa] ees, kes ilmub alati erinevate kehastustena, nagu Rāma, Nṛsiṁha, ja paljude teistena, kuid kes jääb ikkagi alati algseks Jumala Isiksuseks Kṛṣṇaks ning kes kehastub ka Oma isiklikul kujul."

베다에서 또한 말하기를, 주는 둘이 아닌 하나이지만 당신을 수많은 형상으로 현현하신다고 한다. 주는 여러 가지로 색이 변하는 바이두르야(vaidūrya) 보석과 같다. 그 다양한 형상들은 순수하고, 진실한 헌애자들에게만 이해되며, 단지 베다를 연구한다고 이해되지 않는다(베데슈 둘라밤 아둘라밤 아뜨마-박따우). 아르주나와 같은 헌애자들은 주와 항상 함께하는 동반자이며, 주가 어디에 강림하시든 동반되는 헌애자들 또한 서로 다른 역량에 따라 주를 섬기려고 함께 강림한다. 아르주나는 이러한 헌애자들 중 하나이며, 약 수백만 년 전 주 끄리쉬나께서 바가바드 기따를 태양신 비바스만에게 다른 형태로 말씀하셨을 때, 아르주나 또한 다른 역량을 갖고 존재해 있었다. 하지만 주와 아르주나의 차이는 주는 그 모든 사실을 기억하시지만 아르주나는 그렇지 못한다는 점이다. 바로 이것이 지고한 주와 당신의 일부인 생명체의 다른 점이다. 여기에서 아르주나가 적을 무찌를 수 있는 강력한 영웅으로 묘사되더라도, 여러 전생에 일어났던 일들을 기억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생명체가 아무리 물질적 기준으로 위대하다 할지라도, 지고한 주와 같을 수 없다. 주와 항상 함께 하는 동반자는 모두 해방된 사람인 것이 분명하지만 주에 필적할 수는 없다. 브라흐마 삼히따에서 주는 절대 오류가 없는 분(아쮸따)이라고 묘사하는데, 그 의미는 비록 주께서 물질과 접촉하시더라도, 결코 당신 자신을 잊지 않으신다는 뜻이다. 따라서 설령 생명체가 아르주나만큼 해방된 경지에 이르더라도 주와 생명체는 모든 점에서 절대 같을 수 없다. 아르주나는 주의 헌애자이지만, 때때로 주의 참모습을 잊어버리기도 한다. 하지만 주의 은총으로 헌애자는 즉시 주의 결코 오류 없는 특성을 이해하는 반면, 비(非)헌애자나 악마들은 이 초월적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기따의 이러한 설명은 악마의 두뇌로는 이해할 수 없다. 끄리쉬나와 아르주나 둘 다 본질적으로 영원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끄리쉬나는 수백만 년 전의 행위들을 기억하시지만 아르주나는 그럴 수 없다. 생명체는 자기 몸을 바꿀 때 모든 것을 잊지만, 주께서는 당신의 삿-찓-아난다로 된 몸을 바꾸지 않으시기에 모든 것을 기억하신다는 점을 여기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를 아드바이따(advaita)라고 하는데, 그 의미는 당신의 몸과 영혼 사이에 구분이 없다는 뜻이다. 주와 관련된 모든 것은 영적이지만, 속박된 영혼에게는 자기 자신과 물질적 육신은 별개이다. 그러나 주의 몸과 주 당신은 같기 때문에 주께서 물질계에 강림하실 때조차, 당신의 위치는 일반 생명체의 위치와 항상 다르다. 악마들은 주의 이러한 초월적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는데, 주께서 다음 절에서 그것을 직접 설명하신다.

„Vedades" öeldakse, et ehkki Jumal on üks ja ainus, avaldab Ta End paljudes erinevates vormides. Ta on nagu vaidūrya kivi, mis muudab värvi, jäädes samal ajal ikkagi endiseks. Puhtad pühendunud mõistavad kõiki neid erinevaid avaldumisi, kuid ainult „Vedade" uurimise läbi ei ole võimalik neid mõista (vedeṣu durlabham adurlabham ātma-bhaktau). Pühendunud, nagu Arjuna, saadavad Jumalat alati, ning iga kord, kui Jumal kehastub, kehastuvad nad koos Temaga kui Tema alalised kaaslased, et teenida Jumalat erinevatel viisidel. Üks Jumala alalistest kaaslastest on Arjuna ning selles värsis antakse mõista, et kui Jumal Kṛṣṇa jutustas miljoneid aastaid tagasi „Bhagavad-gītāt" päikesejumal Vivasvānile, oli ka Arjuna teatud moel kohal. Kuid erinevus Jumala ja Arjuna vahel on selles, et Jumal mäletab seda, Arjuna aga mitte. Selles seisneb erinevus Kõigekõrgema Jumala ja Tema lahutamatu osakese, elusolendi vahel. Ehkki Arjuna poole pöördutakse siin kui võimsa kangelase poole, kes suudab alistada vaenlasi, ei suuda ta meenutada, mida ta tegi oma paljude eelnevate sündide jooksul. Seetõttu ei ole ükski elusolend, ükskõik kui võimas ta materiaalses mõttes ka oleks, Kõigekõrgema Jumalaga võrdväärne. Kõik Jumala alatised kaaslased on kahtlemata vabanenud isiksused, kuid ka nemad pole Jumalaga võrdsed. „Brahma-saṁhitās" nimetatakse Jumalat eksimatuks (acyuta), mis tähendab, et Jumal ei unusta kunagi Enda olemust, ka mitte mateeriaga kokku puutudes. Jumal ja elusolend ei saa seega kunagi olla igas mõttes võrdväärsed, isegi mitte siis, kui elusolend on jõudnud vabanemiseni, nagu seda on Arjuna. Ehkki Arjuna on Jumala pühendunu, unustab ta vahel Tema olemuse, kuid jumaliku armulikkuse läbi suudab pühendunu kohe mõista Jumala kui eksimatu positsiooni, samas kui mittepühendunu ehk deemon ei suuda aru saada, milles seisneb Jumala transtsendentaalne olemus. Seepärast pole neid „Bhagavad-gītā" kirjeldusi võimalik mõista deemonlikult meelestatud ajude abil. Kṛṣṇa mäletab tegusid, mida Ta on sooritanud miljoneid aastaid tagasi, kuid Arjuna ei mäleta oma varasemaid tegusid, ehkki nii Kṛṣṇa kui Arjuna on mõlemad oma looduse poolest igavesed. Elusolend unustab kehavahetusega kõik eelnevalt sooritatu, samas kui Jumal mäletab kõike, mida Ta on teinud, sest Tema sac-cid-ānanda keha ei muutu kunagi. Jumal on advaita, s.t. Jumala ja Tema keha vahel pole mingit erinevust. Kõik Temaga seotu on vaimne, samas kui tingimustest sõltuv hing on oma materiaalsest kehast erinev. Ning kuna Jumala keha ja Jumal Ise on samased, on Tema positsioon tavalise elusolendi positsioonist alati erinev, seda isegi siis, kui Ta laskub materiaalsele tasandile. Deemonid ei suuda tunnistada endale Jumala transtsendentaalset loodust, mida Jumal Ise meile järgmises värsis selgit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