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19

제19절

Tekst

원문

ihaiva tair jitaḥ sargo
yeṣāṁ sāmye sthitaṁ manaḥ
nirdoṣaṁ hi samaṁ brahma
tasmād brahmaṇi te sthitāḥ
이하이바 따이르 지따 사르고 ihaiva tair jitaḥ sargo
예샴 삼예 스티땀 마나하 yeṣāṁ sāmye sthitaṁ manaḥ
니르도샴 히 사맘 브라흐마 nirdoṣaṁ hi samaṁ brahma
따스맏 브라흐마니 떼 스티따하 tasmād brahmaṇi te sthitāḥ

Synonyms

동의어

iha — selles elus; eva — kindlasti; taiḥ — nende poolt; jitaḥ — alistatud; sargaḥ — sünd ning surm; yeṣām — kelle; sāmye — tasakaalus; sthitam — asetsev; manaḥ — mõistus; nirdoṣam — eksimatu; hi — kindlasti; samam — tasakaalus; brahma — nagu Kõrgeim; tasmāt — seepärast; brahmaṇi — Kõrgeimas; te — nad; sthitāḥ — asetsevad.

이하: 이생에서, 에바: 분명히, 따이히: 그들에 의해, 지따하: 정복하다, 사르가하: 삶과 죽음, 예샴: 그들의, 삼예: 평정에, 스티땀: 위치한, 마나하: 마음, 니르도샴: 흠 없는, 히: 확실히, 사맘: 평정에, 브라흐마: 절대자처럼, 따스맛: 그러므로, 브라흐마니: 절대자의, 떼: 그들, 스티따하: 위치한.

Translation

번역

Need, kelle mõistus on saavutanud tasakaalu ja kes näevad kõiki võrdsetena, on alistanud sünni ja surma tingimused. Nad on eksimatud nagu Brahman ning seega asetsevad nad juba Brahmanis.

마음이 공평하며 평정에 달한 자는 이미 삶과 죽음의 조건을 넘어섰다. 그들은 브라흐만처럼 결함이 없기에 이미 브라흐만 안에 있느니라.

Purport

주석

Nagu eespool öeldud, on mõistuse tasakaal märgiks oma vaimse olemuse teadvustamisest. Need, kes on tõepoolest jõudnud sellisele tasandile, on alistanud materiaalsed tingimused, eeskätt sünni ja surma. Nii kaua kui elusolend samastab end oma praeguse kehaga, tuleb teda pidada tingimustest sõltuvaks hingeks, kuid niipea kui ta saavutab oma vaimse olemuse teadvustamise läbi tasakaalu tasandi, ei sõltu ta enam mitte mingitest tingimustest. Teisisõnu öeldes ei pea ta enam sündima uuesti materiaalsesse maailma, vaid võib peale surma siseneda vaimsesse taevasse. Jumal on eksimatu, kuna ta ei tunne ei kiindumust ega viha. Kui elusolend saab samamoodi vabaks kiindumusest ja vihast, muutub temagi eksimatuks ning võib siseneda vaimsesse taevasse. Selliseid isiksusi tuleb pidada vabanemiseni jõudnuiks ning nende tunnuseid kirjeldatakse alljärgnevalt.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마음의 평정은 자아를 깨달았다는 표시이다. 실제로 이 경지에 이른 사람들은 물질적 조건, 특히 삶과 죽음을 정복했다고 여겨야 한다. 자기를 이 육신과 동일시하는 한, 속박된 영혼으로 여겨지지만, 자아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 평정의 경지에 오르면 그 속박된 삶에서 해방되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죽고 난 다음 더는 이 물질계에 태어나지 않고, 영적 하늘에 들어간다는 뜻이다. 주께서는 어떠한 것에 대해 이끌림도, 증오도 넘어서기에 흠이 없으시다. 이처럼 모든 생명체가 이끌림과 증오에서 벗어날 때, 그 또한 흠이 없게 되고 영적 하늘에 들어갈 자격이 생긴다. 이러한 사람들은 이미 해방된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들의 징후는 아래에 설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