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54

제54절

Tekstas

원문

arjuna uvāca
sthita-prajñasya kā bhāṣā
samādhi-sthasya keśava
sthita-dhīḥ kiṁ prabhāṣeta
kim āsīta vrajeta kim
아르주나 우바짜 arjuna uvāca
스티따-쁘라갸샤 까 바샤 sthita-prajñasya kā bhāṣā
사마디-스타샤 께샤바 samādhi-sthasya keśava
스티따-디히 낌 쁘라바쉐따 sthita-dhīḥ kiṁ prabhāṣeta
낌 아시따 브라제따 낌 kim āsīta vrajeta kim

Synonyms

동의어

arjunaḥ uvāca — Arjuna tarė; sthita-prajñasya — to, kuris yra tvirtos Kṛṣṇos sąmonės; — kokia; bhāṣā — kalba; samādhi-sthasya — esančio transe; keśava — o Kṛṣṇa; sthita-dhīḥ — pasiekęs tvarią Kṛṣṇos sąmonę; kim — ką; prabhāṣeta — šneka; kim — kaip; āsīta — sėdi; vrajeta — vaikšto; kim — kaip.

아르주나 우바짜: 아르주나가 말했다, 스티따-쁘라갸샤: 끄리쉬나 의식이 확고한 자, 까: 무엇, 바샤: 언어, 사마디-스타샤: 삼매경에 있는 사람, 께샤바: 오 끄리쉬나, 스티따-디히: 끄리쉬나 의식으로 확고한 자, 낌: 무엇, 쁘라바쉐따: 말하다, 낌: 어떻게, 아시따: 가만히 있다, 브라제따: 걷다, 낌: 어떻게.

Translation

번역

Arjuna tarė: O Kṛṣṇa, kaip atpažinti tą, kurio sąmonė panirusi į transcendenciją? Kaip jis šneka ir kokia jo kalba? Kaip jis sėdi ir kaip vaikšto?

아르주나가 말했습니다: 오 끄리쉬나, 의식이 초월성에 몰입한 사람은 어떠한 징후를 나타냅니까? 그는 어떻게 말하고 어떤 언어를 구사합니까? 그는 어떻게 앉고, 어떻게 걷습니까?

Purport

주석

KOMENTARAS: Kaip kiekvienam žmogui konkrečioje situacijoje būdingi tam tikri bruožai, taip Kṛṣṇą įsisąmoninusiam žmogui būdinga tam tikra kalbėsena, eisena, mąstysena, jausena etc. Kaip turtingame žmoguje pagal jam būdingus požymius atpažinsi turtuolį, ligotame – ligonį, kaip mokytam žmogui būdingi saviti požymiai, taip žmogus su transcendentine Kṛṣṇos sąmone atpažįstamas iš požymių, būdingų jo elgesiui. Tie ypatingi požymiai nurodomi „Bhagavad-gītoje“. Svarbiausia, kas rodo, kad žmogus įsisąmonino Kṛṣṇą – kalba, nes ji – pati pagrindinė bet kurio žmogaus savybė. Sakoma, kvailio nepažinsi, kol jis nekalba. Iš tiesų, sunku atpažinti kvailį, kol jis dailiai apsitaisęs, bet pakanka kvailiui atverti burną ir jis tuoj išsiduoda. Geriausiai Kṛṣṇos sąmonės žmogų charakterizuoja tai, kad jis kalba tiktai apie Kṛṣṇą ir su Juo susijusius dalykus. Po to savaime išryškėja ir kitos savybės, apie kurias pasakoja kiti posmai.

모든 인간에게는 자신의 특수한 상황에 맞는 징후가 있듯이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 또한 말하고, 걷고, 생각하고, 느끼는 등의 행위에 특별한 징후를 나타낸다. 부자 역시 부자라는 것을 알게 하는 징후가 있고 병든 사람도 그 나름의 징후가 있어 병에 걸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학식 있는 사람도 그 나름의 징후가 있듯이, 초월적인 끄리쉬나 의식에 있는 사람은 여러 가지 면에서 다양한 징후를 보인다. 우리는 바가바드 기따를 통해 우리 각자의 징후를 알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끄리쉬나 의식을 가진 사람은 어떻게 말하는가이다. 왜냐하면 말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자질이기 때문이다. “입을 벌리지 않는 한 바보는 드러나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는데 분명 옷을 잘 차려입은 바보는 말하지 않는 한, 그 정체를 알 수 없지만 입을 여는 순간 모든 것이 탄로 나게 마련이다. 끄리쉬나 의식을 가진 사람을 바로 알 수 있는 징후는 그가 오직 끄리쉬나와 끄리쉬나에 관한 것만을 이야기한다는 점이다. 다른 징후들은 다음에 설명되는 바대로 저절로 따라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