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48

제48절

Tekstas

원문

saha-jaṁ karma kaunteya
sa-doṣam api na tyajet
sarvārambhā hi doṣeṇa
dhūmenāgnir ivāvṛtāḥ
사하-잠 까르마 까운떼야 saha-jaṁ karma kaunteya
사-도샴 아삐 나 땨젯 sa-doṣam api na tyajet
사르바람바 히 도쉐나 sarvārambhā hi doṣeṇa
두메나그니르 이바브리따하 dhūmenāgnir ivāvṛtāḥ

Synonyms

동의어

saha-jam — gimusio sykiu; karma — darbo; kaunteya — o Kuntī sūnau; sa- doṣam — su trūkumais; api — nors; na — niekada; tyajet — derėtų atsisakyti; sarva-ārambhāḥ — bet koks sumanymas; hi — tikrai; doṣeṇa — trūkumais; dhūmena — dūmais; agniḥ — ugnis; iva — lyg; āvṛtāḥ — apgaubta.

사하-잠: 동시에 태어난, 까르마: 일, 까운떼야: 오 꾼띠의 아들이여, 사-도샴: 잘못으로, 아삐: 비록, 나: 결코, 땨젯: 포기해야 한다, 사르바-아람바: 모든 모험, 히: 확실히, 도쉐나: 잘못하여, 두메나: 연기와, 아그니: 불, 이바: 처럼, 아브리따: 덮이다.

Translation

번역

Kaip nėra ugnies be dūmų, taip nėra pastangų be trūkumų. Todėl, o Kuntī sūnau, nereikia atsisakyti darbo, kurį lemia prigimtis, net jeigu tas darbas kupinas trūkumų.

불이 연기에 덮이듯, 모든 노력은 어떠한 잘못으로 덮이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자기 본성에 맞는 일을 하는 데 무수한 잘못이 따르더라도 그 일을 포기해서는 안 되느니라, 오 꾼띠의 아들이여.

Purport

주석

KOMENTARAS: Sąlygotame gyvenime bet kokį darbą užteršia materialios gamtos gunos. Brahmanas, ir tas, turi atnašauti aukas, kurios reikalauja žudyti gyvulį. Kṣatriyas, kad ir koks doringas, privalo kautis su priešais. Tai neišvengiama. Netgi doriausias pirklys kartais priverstas nuslėpti savo pajamas ar prekiauti juodojoje rinkoje, kad nenukentėtų verslas. Tai būtina, ir niekas to neišvengs. O śūdra, net kai jo šeimininkas nedoras, privalo vykdyti šeimininko paliepimus, nors šiaip jau to daryti ir nevertėtų. Nepaisant šių negerovių, reikia toliau atlikti savo nurodytas pareigas, nes jos prigimtos.

속박된 삶에서 모든 일은 물질적 본성에 오염되어 있다. 브라흐마나라 할지라도 동물 희생이 필요한 제사를 지내야만 한다. 마찬가지로 끄샤뜨리야가 아무리 경건한 성품을 지녔다 하더라도 적과 싸워야 한다. 이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상인이 아무리 경건하다 할지라도 상업 유지를 위해 이윤을 숨겨야 하거나 암거래를 해야 할 때도 있다. 이러한 것들은 필요하며 피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슈드라가 나쁜 주인을 섬기고 있다면 옳지 않은 명령이라도 주인의 명령에 따라야 한다. 이러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각자 규정된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 이유는 그 의무가 본성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Posmas pateikia puikų pavyzdį: ugnis gryna, bet ir ji su dūmais. Vis dėlto dūmai ugnies nesuteršia. Nors ugnis leidžia dūmus, ji vis tiek laikoma pačiu tyriausiu materialiu pradmeniu. Tarkim, kṣatriyas nutarė atsisakyti savo darbo ir imtis brahmano pareigų, tačiau jis negali būti tikras, kad ir šiuo atveju neturės nemalonių pareigų. Taigi materialiame pasaulyje nėra nieko, ko visiškai nebūtų palietusios materialios gamtos nešvarybės. Ugnies ir dūmų pavyzdys šiuo atveju labai vykęs. Kartais, kai žiemą ištraukiame iš ugnies įkaitintą akmenį, dūmai griaužia akis ir dirgina šnerves, tačiau mes ištveriame tuos nemalonius pojūčius, nes be ugnies negalime išsiversti. Taip ir žmogus neturėtų kratytis prigimtinių pareigų dėl to, kad jos turi tam tikrų nemalonių momentų. Priešingai, reikia būti kupinam ryžto tarnauti Aukščiausiajam Viešpačiui, atliekant savo pareigas su Kṛṣṇos sąmone. Tai tobulumas. Jei tam tikros rūšies veikla skiriama Aukščiausiajam Viešpačiui patenkinti, visi trūkumai, būdingi tai veiklai, išnyksta. Kai pasiaukojimo tarnystė apvalo veiklos rezultatus, įgaunamas tobulas regėjimas – išvystamas savasis „aš“. O tai ir yra dvasinė savivoka.

여기에서 아주 좋은 예가 제시되었다. 불은 순수하지만 여전히 연기가 난다. 그렇지만 연기는 불을 더럽히지 않는다. 비록 연기가 나더라도 불은 모든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순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만약 어떤 자가 끄샤뜨리야의 일을 포기하고 브라흐마나의 직업을 택한다고 해도, 브라흐마나의 직무에 불쾌한 일이 없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물질계에는 그 누구도 물질적 본성의 오염에서 완벽히 벗어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연기와 불의 예는 매우 적합하다. 겨울에 불을 지필 때 가끔 연기 때문에 눈물이 나지만, 이러한 불편에도 불을 피워야만 한다. 이처럼 일부 장애 요소가 있다고 해서 자기 본성에 맞는 자연스러운 직무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굳은 결심으로 자기 직무를 끄리쉬나 의식 속에서 행함으로써 지고한 주를 섬겨야 한다. 그것이 완성의 경지이다. 특정한 직무가 지고한 주의 만족을 위해 행해지면 그 직무에서 비롯된 모든 결점은 정화된다. 일의 결과가 정화되어 봉헌에 연결될 때, 우리 안의 자아를 보는 완성의 경지에 이르게 되고 이를 자아 인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