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S 6-7

제6~7절

Tekstas

원문

mahā-bhūtāny ahaṅkāro
buddhir avyaktam eva ca
indriyāṇi daśaikaṁ ca
pañca cendriya-gocarāḥ
마하-부따냐항까로 mahā-bhūtāny ahaṅkāro
붇디르 아뱍땀 에바 짜 buddhir avyaktam eva ca
인드리야니 다샤이깜 짜 indriyāṇi daśaikaṁ ca
빤짜 쩬드리야-고짜라하 pañca cendriya-gocarāḥ
icchā dveṣaḥ sukhaṁ duḥkhaṁ
saṅghātaś cetanā dhṛtiḥ
etat kṣetraṁ samāsena
sa-vikāram udāhṛtam
잇차 드베샤 수캄 두캄 icchā dveṣaḥ sukhaṁ duḥkhaṁ
상가따스 쩨따나 드리띠히 saṅghātaś cetanā dhṛtiḥ
에땃 끄세뜨람 사마세나 etat kṣetraṁ samāsena
사-비까람 우다흐리땀 sa-vikāram udāhṛtam

Synonyms

동의어

mahā-bhūtāni — didieji pradmenys; ahaṅkāraḥ — klaidinga savimonė; buddhiḥ — intelektas; avyaktam — neišreikštybė; eva — tikrai; ca — taip pat; indryāṇi — jutimo organų; daśa-ekam — vienuolika; ca — taip pat; pañca — penki; ca — taip pat; indriya-go-carāḥ — juslių objektai; icchā — noras; dveṣaḥ — neapykanta; sukham — laimė; duḥkham — kančia; saṅghātaḥ — visuma; cetanā — gyvybės požymiai; dhṛtiḥ — įsitikinimas; etat — visa tai; kṣetram — veiklos laukas; samāsena — glaustai; sa-vikāram — su sąveikomis; udāhṛtam — pateiktas.

마하-부따니: 위대한 구성요소들, 아항까라하: 거짓 자아, 붇디히: 지성, 아뱍땀: 비발현, 에바: 분명히, 짜: 또한, 인드리야니: 감각들, 다샤-에깜: 열하나, 짜: 또한, 빤짜: 다섯, 짜: 또한, 인드리야-고-짜라하: 감각의 대상들, 잇차: 바라다, 드베샤: 증오, 수캄: 행복, 두캄: 불행, 상가따하: 모두 합한 것, 쩨따나: 살아있는 징후, 드리띠히: 확신, 에땃: 이 모든, 끄세뜨람: 행위의 장, 사마세나: 요약해서, 사-비까람: 상호작용으로, 우다흐리땀: 예가 되다.

Translation

번역

Penki didieji pradmenys, klaidinga savimonė, intelektas, neišreikštybė, dešimt jutimo ir vykdomųjų organų bei protas, penki juslių objektai, noras, neapykanta, laimė, kančia, visuma, gyvybės požymiai ir įsitikinimai – visa tai drauge sudaro veiklos lauką ir jo sąveikas.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 거짓 자아, 지성, 발현되지 않은 것, 열 가지의 감각과 마음, 다섯 가지의 감각 대상, 욕망, 증오, 행복, 불행, 총집합, 생명의 징후, 그리고 확신, 요약해서 이 모든 것이 행위의 장과 그 상호작용으로 여겨진다.

Purport

주석

KOMENTARAS: Didžiųjų išminčių autoritetingi teiginiai, Vedų himnai ir „Vedānta-sūtros“ aforizmai padeda suprasti, kad sudedamosios šio pasaulio dalys visų pirma yra žemė, vanduo, ugnis, oras ir eteris. Tai penki didieji pradmenys (mahā bhūta). Toliau – klaidinga savimonė, intelektas ir trijų gamtos guṇų neišreikštas būvis. Po to – penkios pažinimo juslės: akys, ausys, nosis, liežuvis ir oda. Toliau – penki vykdomieji organai: balso stygos, kojos, rankos, šalinimo ir lytiniai organai. Virš jų – protas, kuris yra mumyse, ir kurį galime pavadinti vidine jusle. Taigi, kartu su protu, iš viso yra vienuolika jutimo ir vykdomųjų organų. Be to, egzistuoja penki juslių objektai: kvapas, skonis, forma, lytėjimas ir garsas. Šių dvidešimt keturių pradmenų visuma vadinama veiklos lauku. Analitiškai patyrinėję šiuos dvidešimt keturis pradmenis, labai gerai suvoktume veiklos lauką. Toliau seka troškimas, neapykanta, džiaugsmas ir sielvartas, atsirandantys tarpusavyje sąveikaujant didiesiems pradmenims ir atstovaujantys juos grubiajame kūne. Gyvybės požymiai reprezentuojami sąmonės ir įsitikinimo – tai subtilaus kūno (proto, savimonės ir intelekto) pasireiškimas. Šie subtilūs pradmenys irgi priskirtini veiklos laukui.

위대한 성인들의 권위 있는 말씀, 베다의 찬가들과 베단따 수뜨라의 경구들에 따르면 이 세계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흙, 물, 불, 공기 그리고 하늘(空)이 있고, 이들이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마하 부따 mahā-bhūta)이다. 그다음이 거짓 자아와 지성, 그리고 발현되지 않은 세 가지 물질계의 본성이다. 그다음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오관이 있다. 눈, 코, 혀, 귀 그리고 피부가 그것이다. 그다음이 다섯 가지 작용하는 감각으로 목소리, 팔, 다리, 항문과 생식기이다. 그다음 모든 감각 위에 있으며 몸 안에 존재하는 내면의 감각이라 불리는 마음이 있다. 그러므로 마음을 합해서 모두 열 한 개의 감각이 있다. 그다음 다섯 감각의 대상이 있다. 그것은 냄새, 맛, 형상, 촉감과 소리이다. 이 스물네 개의 구성요소의 총집합을 행위의 장이라 한다. 이 스물네 개의 주제를 분석적으로 연구하면 행위의 장을 매우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다음에 욕망, 증오, 행복과 불행이 있는데, 이것들은 총체 육신 안에서 다섯 개의 큰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해서 나타나는 것이다. 의식과 확신으로 나타나는 생명의 징후는 미세 육신, 즉 마음과 거짓 자아, 그리고 지성의 발현이다. 이 미세 육신의 구성요소 역시 행위의 장에 포함된다.

Penki didieji pradmenys – tai grubus klaidingos savimonės pasireiškimas. O jis savo ruožtu reprezentuoja pradinę klaidingos savimonės stadiją, vadinamą specialiu terminu – materialistine samprata – tāmasa-buddhi (neišmanymo paveiktu intelektu). O neišmanymo paveiktas intelektas reprezentuoja neišreikštą trijų materialios gamtos guṇų būvį. Neišreikštos materialios gamtos guṇos vadinamos pradhāna.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는 거짓 자아의 총체적 표시로서, 이 거짓 자아를 학술 용어로 따마사-붇디(tāmasa-buddhi 무지 속의 지성)라고 하며 물질주의적 개념을 의미한다.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가 거짓 자아의 초기 단계를 차례로 대표한다. 이것은 또한 발현하지 않은 단계에 있는 물질적 본성의 세 가지 양태를 나타낸다. 발현하지 않은 상태의 물질적 본성을 쁘라다나(pradhāna)라고 한다.

Norint smulkiau sužinoti apie dvidešimt keturis pradmenis bei jų sąveikas, reikia nuodugniau pastudijuoti filosofiją – „Bhagavad-gītoje“ pateikiama tik šio žinojimo santrauka.

이 스물네 가지 구성요소와 그들의 상호작용을 자세히 알고자 하는 자는 더 상세히 철학을 공부해야 한다. 바가바드 기따는 그 대강만을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Kūnas – visų šių faktorių reprezentacija. Jis patiria šešių tipų pokyčius: gimsta, auga, kurį laiką egzistuoja, sukuria šalutinius produktus, vysta ir galų gale išnyksta. Todėl laukas materialus ir laikinas. Tuo tarpu kṣetra- jña, lauką pažįstantis subjektas bei savininkas, yra kažkas kito.

몸은 이 모든 요소의 대표이며 몸은 여섯 단계로 변해간다. 태어나서, 자라고, 한동안 유지되고, 부산물을 생산하고, 그다음 쇠퇴하고 마침내 소멸한다. 그러므로 이 행위의 장은 영원성이 없는 물질적인 것이다. 그러나 끄쉐뜨라-갸, 이 행위의 장을 아는 자, 즉 그 소유자는 행위의 장과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