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원문 2

Text Two

원문

Text

아땨하라 쁘라야사스 짜 atyāhāraḥ prayāsaś ca
쁘라잘뽀 니야마그라하하 prajalpo niyamāgrahaḥ
자나-상가스 짜 라울얌 짜 jana-saṅgaś ca laulyaṁ ca
샤디비르 박띠르 비나샤띠 ṣaḍbhir bhaktir vinaśyati
atyāhāraḥ prayāsaś ca
prajalpo niyamāgrahaḥ
jana-saṅgaś ca laulyaṁ ca
ṣaḍbhir bhaktir vinaśyati

동의어

Synonyms

아띠-아하라하(ati-āhāraḥ): 너무 많이 먹거나 너무 많이 모으는 것, 쁘라야사하(prayāsaḥ): 너무 애쓰는 것, 짜(ca): 그리고, 쁘라잘빠하(prajalpaḥ): 한가한 대화, 니야마(niyama): 규칙과 규정들, 아그라하하(āgrahaḥ): 너무 집착하는(혹은 agrahaḥ: 너무 등한시하는), 자나-상가하(jana-saṅgaḥ): 세속적 생각에 사로잡힌 사람과의 교제, 짜(ca): 그리고, 라울얌(laulyam): 갈망하거나 탐하는, 짜(ca):그리고, 샤디비히(ṣaḍbhiḥ): 이 여섯 가지에 의해, 박띠히(bhaktiḥ): 봉헌, 비나샤띠(vinaśyati): 파괴되다.

ati-āhāraḥ — overeating or too much collecting; prayāsaḥ — over-endeavoring; ca — and; prajalpaḥ — idle talking; niyama — rules and regulations; āgrahaḥ — too much attachment to (or agrahaḥ – too much neglect of); jana-saṅgaḥ — association with worldly-minded persons; ca — and; laulyam — ardent longing or greed; ca — and; ṣaḍbhiḥ — by these six; bhaktiḥ — devotional service; vinaśyati — is destroyed.

번역

Translation

다음의 여섯 행위에 너무 얽매이면 봉헌을 망치게 된다.
(1) 필요한 양 이상 너무 많이 먹거나 필요한 자금 이상으로 모으는 것
(2) 이루기 매우 힘든 세속적 일에 과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
(3) 세속적 주제에 관해 불필요한 대화를 하는 것
(4) 경전에 적힌 규칙이나 규정을 영적 진보를 위해서가 아니라 따르는 자체에 목적을 두고 따르는 것 혹은, 경전에 적힌 규칙이나 규정을 거부하고 독립적으로,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
(5) 끄리쉬나 의식에 관심 없는 세속적 생각에 사로잡힌 사람과의 교제
(6) 세속적 성취를 위해 욕심을 부리는 것

One’s devotional service is spoiled when he becomes too entangled in the following six activities: (1) eating more than necessary or collecting more funds than required; (2) over-endeavoring for mundane things that are very difficult to obtain; (3) talking unnecessarily about mundane subject matters; (4) practicing the scriptural rules and regulations only for the sake of following them and not for the sake of spiritual advancement, or rejecting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the scriptures and working independently or whimsically; (5) associating with worldly-minded persons who are not interest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6) being greedy for mundane achievements.

주석

Purport

인간의 삶은 간소한 삶과 높은 사고를 위해 존재한다. 속박된 생명체는 모두 주의 세 번째 에너지에 의해 통제되기 때문에 생명체는 일하지 않으면 안 되게끔 이 물질계는 설계되어 있다. 최고 인격신께서는 세 종류의 에너지 혹은 영향력을 지니고 계신다. 그 첫 번째는 안따랑가-샥띠(antaraṅga-śakti), 즉 내적 영향력이다. 두 번째는 따따스타-샥띠(taṭastha-śakti), 즉 경계 영향력이다. 세 번째는 바히랑가-샥띠(bahiraṅga-śakti), 즉 외적 영향력이다. 생명체는 경계 영향력으로 이루어졌으며 내적 영향력과 외적 영향력 사이에 위치한다. 최고 인격신의 영원한 종으로 종속된 지바뜨마(jīvātmās) 혹은 원자 생명체는 반드시 내적 혹은 외적 영향력의 통제 안에 남아 있어야 한다. 생명체가 내적 영향력의 통제 안에 있을 때, 주를 향한 끊임없는 봉헌에 종사하는 그들의 본성, 본원의 활동을 보여준다.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9.13)에 명시되어 있다.

Human life is meant for plain living and high thinking. Since all conditioned living beings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Lord’s third energy, this material world is designed so that one is obliged to work.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has three primary energies, or potencies. The first is called antaraṅga-śakti, or the internal potency. The second is called taṭastha-śakti, or the marginal potency. The third is called bahiraṅga-śakti, or the external potency. The living entities constitute the marginal potency, and they are situated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potencies. Being subordinate as eternal servants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the jīvātmās, or atomic living entities, must remain under the control of either the internal or external potency. When they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nal potency, they display their natural, constitutional activity – namely, constant engagement in the devotional service of the Lord. This is stated in Bhagavad-gītā (9.13):

마하뜨마나스 뚜 맘 빠르타 mahātmānas tu māṁ pārtha
다이빔 쁘라끄리띰 아스리따하 daivīṁ prakṛtim āśritāḥ
바잔띠 아난야-마나소 bhajanty ananya-manaso
갸뜨바 부따딤 아뱌얌 jñātvā bhūtādim avyayam
mahātmānas tu māṁ pārtha
daivīṁ prakṛtim āśritāḥ
bhajanty ananya-manaso
jñātvā bhūtādim avyayam

“오 쁘리타의 아들이여, 미혹되지 않은 위대한 영혼들은 신성한 본성의 보호 안에 있다. 그들은 내가 기원이며 소멸하지 않는 최고 인격신이라는 사실을 알기에 나를 향한 봉헌에 완전히 종사하느니라.”

“O son of Pṛthā, those who are not deluded, the great souls, are under the protection of the divine nature. They are fully engaged in devotional service because they know Me as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original and inexhaustible.”

마하뜨마(mahātmā)라는 단어는 손상된 마음을 가진 자가 아니라 관대한 마음을 가진 자를 일컫는다. 손상된 마음을 가진 자는 항상 자기 감각을 만족시키는 데 임하고, 가끔 자신들의 활동을 민족주의, 인도주의 혹은 이타주의 같은 어떤 ‘주의’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선의를 베풀려고 확장하기도 한다. 가족 구성원, 공동체 혹은 사회, 국가, 세계와 같이 다른 사람의 감각 만족을 위해 자신의 개인적 감각 만족을 거부할지도 모른다. 사실 이 모든 것은 개인에서 공동체, 그리고 사회로 연장된 감각 만족이다. 이런 것들이 물질적 관점에서는 매우 훌륭해 보일지 모르나, 그런 행위에 어떤 영적 가치도 없다. 그런 활동의 토대는 개인적 혹은 연장된 범위의 감각 만족일 뿐이다. 지고(至高)의 신의 감각을 만족시킬 때, 그 사람을 마하뜨마 혹은 관대한 사람이라 부를 수 있다.

The word mahātmā refers to those who are broad-minded, not cripple-minded. Cripple-minded persons, always engaged in satisfying their senses, sometimes expand their activities in order to do good for others through some “ism” like nationalism, humanitarianism or altruism. They may reject personal sense gratification for the sense gratification of others, like the members of their family, community or society – either national or international. Actually all this is extended sense gratification, from personal to communal to social. This may all be very good from the material point of view, but such activities have no spiritual value. The basis of such activity is sense gratification, either personal or extended. Only when a person gratifies the senses of the Supreme Lord can he be called a mahātmā, or broad-minded person.

바가바드 기따에서 인용한 위 구절에서 다이빔 쁘라끄리띰(daivīṁ prakṛtim)이라는 단어는 최고인격신의 내적 영향력 혹은 즐거움 능력의 통제를 일컫는다. 이 즐거움 능력은 스리마띠 라다라니(Śrīmatī Rādhārāṇī) 혹은 그녀의 확장인 행운의 여신 락쉬미(Lakṣmī)로 나타난다. 개별 지바(jīva) 영혼이 내적 에너지의 통제 안에 있을 때 그들의 유일한 임무는 끄리쉬나(Kṛṣṇa) 혹은 비쉬누(Viṣṇu)를 만족시키는 일이다. 이것이 마하뜨마의 위치다. 마하뜨마가 아니면, 두라뜨마(durātmā), 즉 손상된 마음을 가진 사람이다. 그런 정신이 손상된 두라뜨마들은 절대자의 외적 영향력인 마하-마야(mahā-māyā)의 통제 안에 놓인다.  

In the above-quoted verse from Bhagavad-gītā, the words daivīṁ prakṛtim refer to the control of the internal potency, or pleasure potency,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This pleasure potency is manifested as Śrīmatī Rādhārāṇī, or Her expansion Lakṣmī, the goddess of fortune. When the individual jīva souls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nal energy, their only engagement is the satisfaction of Kṛṣṇa, or Viṣṇu. This is the position of a mahātmā. If one is not a mahātmā, he is a durātmā, or a cripple-minded person. Such mentally crippled durātmās are put under the control of the Lord’s external potency, mahā-māyā.

실제로 이 물질계에 있는 모든 생명체는 마하-마야의 통제 안에 놓여 있고 마하-마야의 임무는 이들을 세 가지 고통의 영향을 받게 하는 것이다. 이 세가지 고통이란 아디다이비까-끌레샤(adhidaivika-kleśa, 가뭄과 지진, 폭풍처럼 반신반인에 의해 생겨나는 고통), 아디바우띠까-끌레샤(adhibhautika-kleśa, 벌레나 적처럼 다른 생명체로 인해 생겨나는 고통), 아디아뜨미까-끌레샤(adhyātmika-kleśa, 정신적, 육체적 질환처럼 자신의 몸과 마음으로 인해 생겨난 고통)이다. 다이바-부따뜨마-헤따바하(Daiva-bhūtātma-hetavaḥ): 외적 에너지의 통제로 인해 세가지 고통의 영향을 받는 속박된 영혼들은 다양한 어려움으로 괴로워한다.

Indeed, all living entities within this material world are under the control of mahā-māyā, whose business is to subject them to the influence of threefold miseries: adhidaivika-kleśa (sufferings caused by the demigods, such as droughts, earthquakes and storms), adhibhautika-kleśa (sufferings caused by other living entities like insects or enemies), and adhyātmika-kleśa (sufferings caused by one’s own body and mind, such as mental and physical infirmities). Daiva-bhūtātma-hetavaḥ: the conditioned souls, subjected to these three miseries by the control of the external energy, suffer various difficulties.

속박된 영혼이 직면하는 주된 문제는 출생, 노화, 질병, 죽음의 반복이다. 물질계에서 몸과 영혼을 유지하려면 반드시 일해야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일해야 끄리쉬나 의식을 실행하기에 유리할까?
모두 육신을 유지하기 위해 곡식, 옷, 돈과 다른 필수품 같은 소유가 필요하지만 실제로 기본적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필요한 이상 더 많이 축적해서는 안 된다. 자연스러운 이 원칙을 지킨다면 육신을 유지하는 데 어떤 어려움도 없을 것이다.

The main problem confronting the conditioned souls is the repetition of birth, old age, disease and death. In the material world one has to work for the maintenance of the body and soul, but how can one perform such work in a way that is favorable for the execution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Everyone requires possessions such as food grains, clothing, money and other things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the body, but one should not collect more than necessary for his actual basic needs. If this natural principle is followed, there will be no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body.

자연의 배열에 따르면, 낮은 진화 단계에 있는 생명체는 필요 이상 먹지도 모으지도 않는다. 따라서 동물의 왕국에는 보통 경제 문제나 필수품의 부족이 없다. 쌀자루를 공공장소에 가져다 놓으면 새들은 와서 쌀 몇 톨을 먹고는 가버린다. 하지만 인간은 자루 전체를 가지고 가버릴 것이다. 그는 자기 배가 터질 정도로 먹고, 남는 것은 보관하려 할 것이다. 경전에 따르면 필요 이상으로 모으는 이 행위(아땨하라, atyāhāra)를 금한다. 이 경향 탓에 현재 전 세계가 고통받고 있다. 

According to nature’s arrangement, living entities lower on the evolutionary scale do not eat or collect more than necessary. Consequently in the animal kingdom there is generally no economic problem or scarcity of necessities. If a bag of rice is placed in a public place, birds will come to eat a few grains and go away. A human being, however, will take away the whole bag. He will eat all his stomach can hold and then try to keep the rest in storage. According to scriptures, this collecting of more than necessary (atyāhāra) is prohibited. Now the entire world is suffering because of it.

필요 이상 축적하고 먹는 것은 쁘라야사(prayāsa) 즉, 불필요한 노력 또한 유발한다. 세상의 어떤 부분에 있는 누구라도 약간의 땅과 젖소가 있으면 아주 평화롭게 살 수 있게끔 절대신께서 마련해 주셨다. 한 장소에서 곡식을 생산하고 소에게서 우유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생계를 위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길 필요가 전혀 없다. 이렇게 하면 모든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행히도 인간에게는 끄리쉬나 의식의 배양, 즉 절대신에 관한 이해, 그와 우리의 관계, 그리고 삶의 궁극적 목적인 절대신을 사랑하게 하는 더 높은 지성이 주어졌다. 그러나 불행히도, 소위 문명화된 인간은 절대신에 관한 깨달음에 신경 쓰기 보다 자신의 지성을 활용해 필요 이상으로 더 갖고, 단순히 혀를 만족시키려고 먹을 뿐이다. 절대신께서 마련해 주신 덕분에 전 세계를 통틀어 인류를 먹여 살리기에 충분한 우유와 곡식 생산 공간이 존재하지만, 더 높은 지성을 이용해 절대신에 관한 의식을 배양하는 대신, 소위 지성인은 그들의 지성을 오용하여 여러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생산한다. 그 결과 공장, 도살장, 윤락업소와 술집이 생겨났다. 사람들에게 너무 많은 물건을 모으지 말고, 너무 많이 먹지도 말며, 인위적 편의 시설을 소유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너무 일하지도 말라고 충고하면 원시적 삶의 방식으로 되돌아가라는 충고를 한다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간소한 삶과 높은 사고를 받아들이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것이 그들이 처한 불행한 처지다.

Collecting and eating more than necessary also causes prayāsa, or unnecessary endeavor. By God’s arrangement, anyone in any part of the world can live very peacefully if he has some land and a milk cow. There is no need for man to move from one place to another to earn a livelihood, for one can produce food grains locally and get milk from cows. That can solve all economic problems. Fortunately, man has been given higher intelligence for the cultivation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or the understanding of God, one’s relationship with Him, and the ultimate goal of life, love of God. Unfortunately, so-called civilized man, not caring for God realization, utilizes his intelligence to get more than necessary and simply eats to satisfy the tongue. By God’s arrangement there is sufficient scope for the production of milk and grains for human beings all over the world, but instead of using their higher intelligence to cultivate God consciousness, so-called intelligent men misuse their intelligence to produce many unnecessary and unwanted things. Thus factories, slaughterhouses, brothels and liquor shops are opened. If people are advised not to collect too many goods, eat too much or work unnecessarily to possess artificial amenities, they think they are being advised to return to a primitive way of life. Generally people do not like to accept plain living and high thinking. That is their unfortunate position.

인간의 삶은 절대신에 관한 깨달음을 위해 존재하고 인류에게는 이 목적을 위해 더 높은 지성이 주어졌다. 이 더 높은 지성이 더 높은 위치를 얻기 위함이라고 믿는 자들은 베다 문헌의 지시 사항을 따라야 한다. 더 높은 권위에서 나온 그런 지시 사항을 따름으로써 실제로 완벽한 지식에 이를 수 있고 삶에 진정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Human life is meant for God realization, and the human being is given higher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Those who believe that this higher intelligence is meant to attain a higher state should follow the instructions of the Vedic literatures. By taking such instructions from higher authorities, one can actually become situated in perfect knowledge and give real meaning to life.

스리마드 바가바땀(1.2.9)에서 스리 수따 고스와미(Śrī Sūta Gosvāmī)가 인간의 올바른 다르마(dharma)를 이렇게 묘사한다.

In Śrīmad-Bhāgavatam (1.2.9) Śrī Sūta Gosvāmī describes the proper human dharma in this way:

다르마샤 히 아빠바르갸샤 dharmasya hy āpavargyasya
나르토 ’르타요빠깔빠떼 nārtho ’rthāyopakalpate
나르타샤 다르마이깐따샤 nārthasya dharmaikāntasya
까모 라바야 히 스므리따하 kāmo lābhāya hi smṛtaḥ
dharmasya hy āpavargyasya
nārtho ’rthāyopakalpate
nārthasya dharmaikāntasya
kāmo lābhāya hi smṛtaḥ

“모든 직업적 용무(다르마)는 분명 궁극적 해방을 위함이다. 물질적 이득을 위해 수행되어서는 절대 안 된다. 더욱이 궁극적 직무(다르마)에 임하는 자는 물질적 이익을 감각 만족 계발에 사용해서는 절대 안 된다.”

“All occupational engagements [dharma] are certainly meant for ultimate liberation. They should never be performed for material gain. Furthermore, one who is engaged in the ultimate occupational service [dharma] should never use material gain to cultivate sense gratification.”

인류 문명의 첫 단계는 경전의 지시 사항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의 더 높은 지성을 기본적인 다르마를 이해하는 훈련에 써야 한다. 인류 사회에는 힌두교,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불교 등과 같이 다양한 종교 개념이 있고, 종교가 없다면 인류 사회는 동물 사회보다 나은 점이 전혀 없다.

The first step in human civilization consists of occupational engagement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criptural injunctions. The higher intelligence of a human being should be trained to understand basic dharma. In human society there are various religious conceptions characterized as Hindu, Christian, Hebrew, Mohammedan, Buddhist and so on, for without religion, human society is no better than animal society.

위에 언급했듯이(다르마샤 히 아빠바르갸샤 나르토’ 르타요빠깔빠떼), 종교는 해방을 얻기 위함이지 밥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가끔 인류 사회는 물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소위 종교 체계를 만들어내지만, 그것은 진정한 다르마와 거리가 멀다. 종교는 절대신의 법을 올바로 수행함으로써 인간을 궁극적으로 물질적 소용돌이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이끌어 주므로 그런 법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것이 진정한 종교의 목적이다. 불행히도 사람들은 아땨하라, 즉 그런 번영에의 지나친 욕망 때문에 종교를 물질적 번영을 위해 받아들인다. 그러나 진정한 종교는 끄리쉬나 의식을 배양하는 동안 최소한의 필수품에 만족하도록 가르친다. 인간에게 경제적 발전이 필요하더라도 진정한 종교는 오로지 물질적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품만을 제공하도록 허락한다. 지바샤 따뜨바 지갸사(Jīvasya tattva jijñāsā): 진정한 삶의 목적은 절대 진리에 관해 묻는 것이다. 우리의 노력(쁘라야사)이 절대 진리를 묻는 데 쓰이지 않는다면 우리의 인위적 필요를 충족시키려고 애쓰는 데 쏟아부을 뿐이다. 영적인 것에 큰 뜻을 품은 자는 세속적 노력을 피해야 한다.

As stated above (dharmasya hy āpavargyasya nārtho ’rthāyopakalpate), religion is meant for attaining emancipation, not for getting bread. Sometimes human society manufactures a system of so-called religion aimed at material advancement, but that is far from the purpose of true dharma. Religion entails understanding the laws of God because the proper execution of these laws ultimately leads one out of material entanglement. That is the true purpose of religion. Unfortunately people accept religion for material prosperity because of atyāhāra, or an excessive desire for such prosperity. True religion, however, instructs people to be satisfied with the bare necessities of life while cultivating Kṛṣṇa consciousness. Even though we require economic development, true religion allows it only for supplying the bare necessities of material existence. Jīvasya tattva jijñāsā: the real purpose of life is to inquire about the Absolute Truth. If our endeavor (prayāsa) is not to inquire about the Absolute Truth, we will simply increase our endeavor to satisfy our artificial needs. A spiritual aspirant should avoid mundane endeavor.

또 다른 장애는 쁘라잘빠(prajalpa), 불필요한 대화이다. 친구들과 함께 있을 때 우리는 즉시 두꺼비의 울음 같은 불필요한 대화를 시작한다. 대화해야만 한다면 끄리쉬나 의식 운동에 관해 이야기해야 한다. 끄리쉬나 의식 운동 밖에 있는 사람들은 신문, 잡지, 소설, 퍼즐 맞추기와 그 외 여러 무의미한 것들에 대단히 관심이 많다. 이런 유행 속에서 사람들은 그저 자신들의 소중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을 뿐이다. 서양에서는 활동적인 삶에서 은퇴한 노인들이 카드놀이와 낚시, TV 시청, 쓸모없는 사회정치적 계획을 논한다. 이런 모든 것과 다른 하찮은 활동은 쁘라잘빠 범주에 속한다. 끄리쉬나 의식에 관심 있는 지적인 자는 그런 활동에 절대 참여하지 않는다.

Another impediment is prajalpa, unnecessary talking. When we mix with a few friends, we immediately begin unnecessary talking, sounding just like croaking toads. If we must talk, we should talk about the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 Those outside of the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 are interested in reading heaps of newspapers, magazines and novels, solving crossword puzzles and doing many other nonsensical things. In this fashion people simply waste their valuable time and energy. In the Western countries old men, retired from active life, play cards, fish, watch television and debate about useless socio-political schemes. All these and other frivolous activities are included in the prajalpa category. Intelligent persons interest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should never take part in such activities.

자나-상가(Jana-saṅga )는 끄리쉬나 의식에 관심 없는 자들과의 교제를 일컫는다. 끄리쉬나 의식을 발전시키고 싶은 자는 그런 교제를 엄격하게 피해야 한다. 그러므로 스릴라 나롯따마 다사 타꾸라(Śrīla Narottama dāsa Ṭhākura)는 끄리쉬나 의식의 헌애자들과만 교제하는 삶을 살 것을 권장했다(박따-사네 바사, bhakta-sane vāsa). 우리는 절대자를 섬기는 헌애자들과 교제하며 끊임없이 절대자를 향한 봉헌에 종사해야 한다. 비슷한 일을 하는 무리와의 교제는 그 일을 발전시키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물질주의적인 자는 자신들의 노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협회와 클럽을 조직한다. 예를 들면 비즈니스계에서 주식 거래소와 상공 회의소 같은 협회를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끄리쉬나 의식을 위한 국제 협회를 설립하여 사람들에게 끄리쉬나를 잊지 않는 자들과 교제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 이스콘(ISKCON) 운동이 제공하는 이 영적 교제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세계의 다양한 곳에서 많은 사람이 그들의 잠자고 있는 끄리쉬나 의식을 일깨우려고 이 협회에 참가하고 있다.

Jana-saṅga refers to associating with persons not interest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One should strictly avoid such association. Śrīla Narottama dāsa Ṭhākura has therefore advised us to live only in the association of Kṛṣṇa conscious devotees (bhakta-sane vāsa). One should always engage in the service of the Lord in the association of the Lord’s devotees. Association with those engaged in a similar line of business is very conducive to advancement in that business. Consequently materialistic persons form various associations and clubs to enhance their endeavors. For example, in the business world we find such institutions as the stock exchange and chamber of commerce. Similarly, we have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Krishna Consciousness to give people an opportunity to associate with those who have not forgotten Kṛṣṇa. This spiritual association offered by our ISKCON movement is increasing day by day. Many people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re joining this Society to awaken their dormant Kṛṣṇa consciousness.

스릴라 박띠싯단따 사라스바띠 타꾸라는 아누브리띠 논평에서 지식을 얻으려고 너무 노력하는 사색가들 혹은 무미건조한 철학자들 또한 아땨하라 범주(필요한 이상 모으려는 것)에 속한다고 했다. 스리마드 바가바땀에 따르면 철학적 추론가들이 끄리쉬나 의식이 결여된 무미건조한 철학에 관해 방대한 저술을 하는 것은 전적으로 쓸데없는 짓이다. 경제 발전에 관해 방대하게 저술하는 까르미의 업적 또한 아땨하라 범주에 속하는 쓸데없는 짓이다. 마찬가지로 끄리쉬나 의식에 관한 아무 욕망도 없는 자와 과학적 지식 혹은 금전적 이득이라는 이름으로 물질적인 것을 더 많이 소유하는 데에만 관심 있는 자는 모두 아땨하라에 속박된 자들이다.

Śrīla Bhaktisiddhānta Sarasvatī Ṭhākura writes in his Anuvṛtti commentary that too much endeavor to acquire knowledge on the part of mental speculators or dry philosophers falls within the category of atyāhāra (collecting more than needed). According to Śrīmad-Bhāgavatam, the endeavor of philosophical speculators to write volumes of books on dry philosophy devoid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entirely futile. The work of karmīs who write volumes of books on economic development also falls within the category of atyāhāra. Similarly, those who have no desire for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who are simply interested in possessing more and more material things – either in the shape of scientific knowledge or monetary gain – are all included under the control of atyāhāra.

까르미들은 자신들이 어떤 위치에 있게 될지 알지 못하므로 후손을 위해 더 많은 돈을 축적하려고 수고한다. 자기 자식과 손자들을 위해 더 많은 돈을 모으는 데에만 관심 있는 그런 어리석은 자들은 다음 생에 자신들이 처할 위치가 무엇인지조차 알지 못한다. 이 점에 관해 예증하는 많은 일화가 있다. 한때 대단한 까르미 한 명이 자기 자식과 손자들을 위해 엄청난 재산을 축적했지만 나중에 자신의 까르마(인과응보)에 의해 구두 수선공의 집에서 태어났는데, 그 집은 전생에 자기가 자식들을 위해 지은 건물 근처에 자리하고 있었다. 이 구두 수선공(바로 자기 자신)이 전생에 살던 자기 집에 왔을 때, 전생의 자식과 손자들은 신발로 그를 두들겨 팼다. 까르미와 갸니들이 끄리쉬나 의식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한 결실 없는 행위에 자신의 삶을 계속해서 낭비할 뿐이다.

Karmīs labor to accumulate more and more money for future generations only because they do not know their future position. Interested only in getting more and more money for their sons and grandsons, such foolish persons do not even know what their position is going to be in the next life. There are many incidents that illustrate this point. Once a great karmī accumulated a vast fortune for his sons and grandsons, but later, according to his karma, he took his birth in a cobbler’s house located near the building which in his previous life he had constructed for his children. It so happened that when this very cobbler came to his former house, his former sons and grandsons beat him with shoes. Unless the karmīs and jñānīs become interest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they will simply continue to waste their life in fruitless activities.

당장 이득을 보려고 경전에 적힌 규칙과 규정 중 어떤 부분만을 받아들이는 행위는 공리주의자가 주장하는 것처럼 니야마-아아그라하(niyama-āgraha)이고, 영적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샤스뜨라의 규칙과 규정을 소홀히 하는 것은 니야마-아그라하(niyama-agraha)라 한다. 장음 아아그라하라(āgraha)는 “받아들이고 싶은 갈망”이란 뜻이고, 단음 아그라하(agraha)는 “받아들이는 데 실패함”이란 뜻이다. 이 두 단어에 니야마(niyama, 규칙과 규정)라는 단어를 붙임으로써 니야마아그라하가 생성된다. 따라서 니야마아그라하는 특정한 단어와의 조합에 따라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끄리쉬나 의식에 관심 있는 자들은 경제적 증진을 위해 규칙과 규정을 받아들이는 데 간절해서는 안 되지만, 끄리쉬나 의식의 향상을 위해 매우 충실하게 경전에 적힌 규칙과 규정을 받아들여야 한다. 도덕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성관계, 육식, 도박과 정신을 취하게 하는 것들을 피함으로써 규정 원칙을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

Accepting some of the scriptural rules and regulations for immediate benefit, as utilitarians advocate, is called niyama-āgraha, and neglecting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the śāstras, which are meant for spiritual development, is called niyama-agraha. The word āgraha means “eagerness to accept,” and agraha means “failure to accept.” By the addition of either of these two words to the word niyama (“rules and regulations”), the word niyamāgraha is formed. Thus niyamāgraha has a twofold meaning that is understood according to the particular combination of words. Those interest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should not be eager to accept rules and regulations for economic advancement, yet they should very faithfully accept scriptural rules and regulations for the advancement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They should strictly follow the regulative principles by avoiding illicit sex, meat-eating, gambling and intoxication.

바이쉬나바를 모독하기만 하는 마야바디(Māyāvādīs)들과의 교제도 피해야 한다. 물질적 행복에 관심 있는 북띠-까미(Bhukti-kāmīs)와 형태 없는 궁극(브라흐만, Brahman)에 융합됨으로써 해탈하고자 하는 묵띠-까미(mukti-kāmīs), 신비한 요가 수행으로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싯디-까미(siddhi-kāmīs)는 아땨하리(atyāhārīs, 필요 이상 모으는 자)들로 분류된다. 그런 자들과의 교제는 전혀 바람직하지 못하다.

One should also avoid association with Māyāvādīs, who simply blaspheme Vaiṣṇavas (devotees). Bhukti-kāmīs, who are interested in material happiness, mukti-kāmīs, who desire liberation by merging in the existence of the formless Absolute (Brahman), and siddhi-kāmīs, who desire the perfection of mystic yoga practice, are classified as atyāhārīs. To associate with such persons is not at all desirable.

신비한 요가를 완성함으로써 마음을 확장하고자 하고, 브라흐만의 존재 속에 융합되고자 하거나 종작없는 물질적 번영을 구하려고 하는 것은 모두 탐욕(라울야, laulya) 범주에 속한다. 그런 물질적 혜택 혹은 소위 영적 진보를 이루려는 이 모든 시도는 끄리쉬나 의식을 향한 길의 장애물이다.

Desires to expand the mind by perfecting mystic yoga, to merge into the existence of Brahman, or to attain whimsical material prosperity are all included within the category of greed (laulya). All attempts to acquire such material benefits or so-called spiritual advancement are impediments on the path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간에 벌어진 근대의 전쟁은 스릴라 루빠 고스와미께서 아땨하라에 관해 말씀하신 충고를 듣지 않은 탓이다. 현대 자본주의자들은 필요 이상의 부를 축적하고, 그들의 번영을 시기하는 공산주의자들은 모든 부와 번영을 국영화하고 싶어 한다. 불행히도 공산주의자들은 부와 부의 분배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따라서 자본주의자들의 부가 공산주의자들의 손에 들어왔을 때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았다. 이 두 철학과 반대로 끄리쉬나 의식 사상은 모든 부는 끄리쉬나께 속한다고 분명히 말한다. 따라서 모든 부가 끄리쉬나의 행정권 안에 있지 않은 한 인간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다. 공산주의자나 자본주의자의 손에 부를 쥐여줌으로써 전혀 해결할 수 없다. 백 달러짜리 지폐가 길에 놓여 있으면 누군가가 주워 자기 호주머니 속에 얼른 집어넣을 것이다. 그런 자는 정직한 자가 아니다. 다른 사람은 그 돈을 보고 다른 자의 재산을 건드려서는 안 된다 생각하며 그 자리에 그대로 두기로 할 것이다. 비록 두 번째 사람은 자기를 위한 목적으로 그 돈을 훔치지 않았지만 그것의 올바른 사용법에 관한 인식이 없다. 세 번째 사람은 백 달러 지폐를 주워 주인을 찾아 준다. 이 사람은 자신을 위해서 그 돈을 훔치지 않았을뿐더러 무시하고 그저 길에 그대로 두지도 않았다. 주워서 주인에게 갖다 주었으므로 정직하고 현명하다.

Modern warfare waged between capitalists and communists is due to their avoiding the advice of Śrīla Rūpa Gosvāmī regarding atyāhāra. Modern capitalists accumulate more wealth than necessary, and the communists, envious of their prosperity, want to nationalize all wealth and property. Unfortunately the communists do not know how to solve the problem of wealth and its distribution. Consequently when the wealth of the capitalists falls into the hands of the communists, no solution results. Opposed to these two philosophies, the Kṛṣṇa conscious ideology states that all wealth belongs to Kṛṣṇa. Thus unless all wealth comes under the administration of Kṛṣṇa, there can be no solution to the economic problem of mankind. Nothing can be solved by placing wealth in the hands of the communists or the capitalists. If a hundred-dollar bill is lying on the street, someone may pick it up and put it in his pocket. Such a man is not honest. Another man may see the money and decide to let it remain there, thinking that he should not touch another’s property. Although this second man does not steal the money for his own purposes, he is unaware of its proper use. The third man who sees the hundred-dollar bill may pick it up, find the man who lost it and deliver it to him. This man does not steal the money to spend for himself, nor does he neglect it and let it lie in the street. By taking it and delivering it to the man who has lost it, this man is both honest and wise.

공산주의자가 돈을 갖게 될 때 자기 감각 만족을 위해 쓰는 것이 증명되었으므로 자본주의자에게서 공산주의자로 부를 넘겨주는 것만으로 현대 정치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세상의 부는 실제로 끄리쉬나께 속하고 인간과 동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는 존재의 유지를 위해 절대신의 재산을 쓸 생득권이 있다. 자신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보다 더 취할 때, 그게 자본주의자이든 공산주의자이든 그는 도둑이며 그런 자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 벌을 면하기 어렵다.  

Simply transferring wealth from capitalists to communists cannot solve the problem of modern politics, for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when a communist gets money, he uses it for his own sense gratification. The wealth of the world actually belongs to Kṛṣṇa, and every living entity, man and animal, has the birthright to use God’s property for his maintenance. When one takes more than his maintenance requires – be he a capitalist or a communist – he is a thief, and as such he is liable to be punished by the laws of nature.

대자연의 계획이 그러하므로 세상의 부는 모든 생명체의 복지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모든 생명체는 주의 부를 활용하여 살 권리가 있다. 절대자의 재산을 과학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배울 때 서로의 권리를 더는 침해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이상적인 사회가 형성된다. 그런 영적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기본적 원칙은 스리 이쇼빠니샤드의 첫 진언에 명시되어 있다.

The wealth of the world should be used for the welfare of all living entities, for that is the plan of Mother Nature. Everyone has the right to live by utilizing the wealth of the Lord. When people learn the art of scientifically utilizing the Lord’s property, they will no longer encroach upon one another’s rights. Then an ideal society can be formed. The basic principle for such a spiritual society is stated in the first mantra of Śrī Īśopaniṣad:

이샤바샴 이담 사르밤 īśāvāsyam idaṁ sarvaṁ
얏낀짜 자가땸 자갓 yat kiñca jagatyāṁ jagat
떼나 땩떼나 분지타 tena tyaktena bhuñjīthā
마 그리다 까샤 스빗 다남 mā gṛdhaḥ kasya svid dhanam
īśāvāsyam idaṁ sarvaṁ
yat kiñca jagatyāṁ jagat
tena tyaktena bhuñjīthā
mā gṛdhaḥ kasya svid dhanam

“우주 안에 존재하는 움직이고 움직이지 않는 모든 것은 주께서 통제하고 소유하신다. 그러므로 자신에게 할당된 필요한 양만큼만 수용해야 하고, 그 외의 것은 누구에게 속하는지 잘 이해하여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Everything animate or inanimate that is within the universe is controlled and owned by the Lord. One should therefore accept only those things necessary for himself, which are set aside as his quota, and should not accept other things, knowing well to whom they belong.”

끄리쉬나 의식의 헌애자들은 이 물질계는 절대자께서 완전히 마련해 주신 덕분에 모든 생명체가 삶에 필요한 것이 서로 다른 생명체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고도 얻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사실을 잘 안다. 자신들의 진정한 필요에 따라 모두가 적절한 양의 부를 얻을 만하도록 완전히 갖추어져 있고, 따라서 모든 이가 간소하고 높은 사고라는 원칙에 따라 평화롭게 살 수 있다. 불행히도, 절대신의 계획에 아무런 믿음도, 더 높은 영적 발전을 향한 아무런 열망도 없는 물질주의자들은 절대신께서 주신 지성을 물질적 소유를 늘리는 데에만 잘못 사용한다. 그들은 자신의 물질적 위치를 향상시키려고 자본주의와 물질주의적 공산주의같이 많은 제도를 궁리해 낸다. 그들은 절대신의 법이나 더 높은 목적에는 관심이 없다. 감각 만족이라는 한정 없는 욕망을 성취하고자 항상 노심초사하며 다른 생명체를 착취하는 데 자기 능력을 사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Kṛṣṇa conscious devotees know very well that this material world is designed by the complete arrangement of the Lord to fulfill all the necessities of life for all living beings, without their having to encroach upon the life or rights of one another. This complete arrangement affords the proper quota of wealth for everyone according to his real needs, and thus everyone may live peacefull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lain living and high thinking. Unfortunately, materialists who have neither faith in the plan of God nor any aspiration for higher spiritual development misuse their God-given intelligence only to augment their material possessions. They devise many systems – such as capitalism and materialistic communism – to advance their material position.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 laws of God or in a higher goal. Always anxious to fulfill their unlimited desires for sense gratification, they are conspicuous by their ability to exploit their fellow living beings.

인류 사회가 스릴라 루빠 고스와미께서 열거하신 이 기본적 결함(아땨하라 등)을 포기한다면 인간과 동물, 자본주의자와 공산주의자, 그 밖의 다른 관계 간에 존재하는 모든 적대감은 중지될 것이다. 덧붙여 경제적 혹은 정치적 불균형으로 생겨나는 모든 문제와 불안정 역시 해결될 것이다. 이 순수한 의식은 올바른 영적 교육과 끄리쉬나 의식 운동이 과학적으로 제공하는 실천에 의해 일깨워진다.

When human society gives up these elementary faults enumerated by Śrīla Rūpa Gosvāmī (atyāhāra, etc.), all enmity will cease between men and animals, capitalists and communists, and so forth. In addition, all problems of economic or political maladjustment and instability will be solved. This pure consciousness is awakened by the proper spiritual education and practice offered scientifically by the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

끄리쉬나 의식 운동은 세상에 평화를 가져올 영적 공산주의를 제공한다. 지성을 갖춘 사람이면 누구나 자신의 의식을 정화하고, 전심전력을 다 해 이 끄리쉬나 의식 운동을 은신처로 삼아 위에 언급된 봉헌에 방해가 되는 여섯 장애물을 제거해야 한다.

This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 offers a spiritual community that can bring about a peaceful condition in the world. Every intelligent man should purify his consciousness and rid himself of the above-mentioned six hindrances to devotional service by taking wholehearted shelter of this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