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strong>만뜨라 15</strong>

Mantra Fifteen

원문

Text

히란마예나 빠뜨레나 hiraṇmayena pātreṇa
사땨샤삐히땀 무캄 satyasyāpihitaṁ mukham
땃 뜨밤 뿌샨 아빠브리누 tat tvaṁ pūṣann apāvṛṇu
사땨-다르마야 드리쉬따예 satya-dharmāya dṛṣṭaye
hiraṇmayena pātreṇa
satyasyāpihitaṁ mukham
tat tvaṁ pūṣann apāvṛṇu
satya-dharmāya dṛṣṭaye

동의어

Synonyms

히란마예나(hiraṇmayena): 황금빛에 의해, 빠뜨레나(pātreṇa): 눈부신 덮개로, 사땨샤(satyasya): 최고 진리의, 아삐히땀(apihitam): 가려진, 무캄(mukham): 얼굴, 땃(tat): 그런 가려짐, 뜨밤(tvam): 당신, 뿌샨(pūṣan): 오, 유지자여!, 아빠브리누(apāvṛṇu): 친절히 제거하다, 사땨(satya): 순수한, 다르마야(dharmāya): 헌애자에게, 드리쉬따예(dṛṣṭaye): 전시를 위해.

hiraṇmayena — by a golden effulgence; pātreṇa — by a dazzling covering; satyasya — of the Supreme Truth; apihitam — covered; mukham — the face; tat — that covering; tvam — Yourself; pūṣan — O sustainer; apāvṛṇu — kindly remove; satya — pure; dharmāya — unto the devotee; dṛṣṭaye — for exhibiting.

번역

Translation

오, 주여! 살아있는 모든 것의 유지자, 당신의 진정한 얼굴은 찬란한 빛으로 가려져 있습니다. 부디 그 가리개를 걷어내시어 당신의 순수한 헌애자에게 당신을 드러내 주소서.

O my Lord, sustainer of all that lives, Your real face is covered by Your dazzling effulgence. Kindly remove that covering and exhibit Yourself to Your pure devotee.

주석

Purport

바가바드 기따(14.27)에서 주께서는 당신의 형상에서 발하는 찬란한 빛(브라흐마죠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신다.

In the Bhagavad-gītā (14.27), the Lord explains His personal rays (brahma-jyotir), the dazzling effulgence of His personal form, in this way:

브라흐마노 히 쁘라띠쉬타함 brahmaṇo hi pratiṣṭhāham
암리따시아뱌야샤 짜 amṛtasyāvyayasya ca
샤스바따샤 짜 다르마샤 śāśvatasya ca dharmasya
수카샤이깐띠까샤 짜 sukhasyaikāntikasya ca
brahmaṇo hi pratiṣṭhāham
amṛtasyāvyayasya ca
śāśvatasya ca dharmasya
sukhasyaikāntikasya ca

“내가 불후, 불사하는 영원하고 본원적인 최고 행복의 근원, 비인성적 브라흐만의 토대이다.” 브라흐만, 빠람아뜨마, 그리고 바가반은 똑같은 절대 진리의 세 가지 다른 측면이다. 브라흐만은 초심자가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측면이고 빠람아뜨마, 즉 초영혼은 영적으로 좀 더 앞선 자들이 깨달으며 바가반 깨달음은 절대 진리의 최종적 깨달음이다.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7.7)에서 주 끄리쉬나께서 당신이 절대 진리의 궁극적 개념이라고 말씀하시는 부분에서 확인된다. 맛따하 빠라따람 난얏(mattaḥ parataraṁ nānyat). 그러므로 끄리쉬나가 모든 곳에 존재하는 빠람아뜨마일 뿐만 아니라 브라흐마-죠띠의 근원이다. 나중에 바가바드 기따(10.42)에서 이에 관해 더욱 설명하신다.

“I am the basis of the impersonal Brahman, which is immortal, imperishable and eternal and is the constitutional position of ultimate happiness.” Brahman, Paramātmā and Bhagavān are three aspects of the same Absolute Truth. Brahman is the aspect most easily perceived by the beginner; Paramātmā, the Supersoul, is realized by those who have further progressed; and Bhagavān realization is the ultimate realization of the Absolute Truth. This is confirmed in the Bhagavad-gītā (7.7), where Lord Kṛṣṇa says that He is the ultimate concept of the Absolute Truth: mattaḥ parataraṁ nānyat. Therefore Kṛṣṇa is the source of the brahma-jyotir as well as the all-pervading Paramātmā. Later in the Bhagavad-gītā (10.42) Kṛṣṇa further explains:

아타 바 바후나이떼나 atha vā bahunaitena
낌 갸떼나 따바르주나 kiṁ jñātena tavārjuna
비쉬따비아함 이담 끄릿스남 viṣṭabhyāham idaṁ kṛtsnam
에깜세나 스티또 자갓 ekāṁśena sthito jagat
atha vā bahunaitena
kiṁ jñātena tavārjuna
viṣṭabhyāham idaṁ kṛtsnam
ekāṁśena sthito jagat

“아르주나여, 그러나 이 모든 구체적인 지식이 무슨 필요가 있겠느냐? 내 작은 단편이 모든 곳에 스며들어 이 전 우주를 지탱한다.” 따라서 당신의 전체적 확장인 모든 곳에 존재하는 빠람아뜨마 측면이 완전한 물질 우주의 창조를 유지한다. 당신은 또한 영계에 발현된 모든 것을 유지하신다. 그러므로 스리 이쇼빠니샤드의 이 스루띠 만뜨라에서 당신을 뿌샤나(pūṣan), 즉 궁극적 유지자로 지칭하고 있다.

“But what need is there, Arjuna, for all this detailed knowledge? With a single fragment of Myself I pervade and support this entire universe.” Thus by His one plenary expansion, the all-pervading Paramātmā, the Lord maintains the complete material cosmic creation. He also maintains all manifestations in the spiritual world. Therefore in this śruti-mantra of Śrī Īśopaniṣad, the Lord is addressed as pūṣan, the ultimate maintainer.

최고인격신, 스리 끄리쉬나는 항상 초월적 행복으로 가득하다(아난다-마요 ‘비아삿: ānanda-mayo 'bhyāsāt). 오천 년 전 인도의 브린다반에 계셨을 때도 당신은 어린 시절 유희를 시작으로 항상 초월적 행복으로 가득 차 계셨다. 아가, 바까, 뿌따나 그리고 쁘랄람바 같은 다양한 악마를 죽인 것은 즐거운 소풍 같았다. 당신의 마을 브린다반에서 어머니와 형, 그리고 친구들과 즐겁게 지냈으며 당신이 짓궂은 버터 도둑처럼 굴었을 때도 모든 동무들은 천상의 행복을 즐겼다. 주는 버터를 훔침으로써 당신의 순수한 헌애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셨기에 당신을 버터 도둑이라고 나무랄 수 없다. 주께서 브린다반에서 하신 모든 행위는 그곳의 당신 동반자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서였다. 주는 절대 진리를 찾으려고 하는 메마른 철학자들과 소위 하타-요가(haṭha-yoga) 곡예사들을 사로잡기 위해 이와 같은 유희를 벌이셨다.

The Personality of Godhead, Śrī Kṛṣṇa, is always filled with transcendental bliss (ānanda-mayo ’bhyāsāt). When He was present at Vṛndāvana in India five thousand years ago, He always remained in transcendental bliss, even from the beginning of His childhood pastimes. The killings of various demons – such as Agha, Baka, Pūtanā and Pralamba – were but pleasure excursions for Him. In His village of Vṛndāvana He enjoyed Himself with His mother, brother and friends, and when He played the role of a naughty butter thief, all His associates enjoyed celestial bliss by His stealing. The Lord’s fame as a butter thief is not reproachable, for by stealing butter the Lord gave pleasure to His pure devotees. Everything the Lord did in Vṛndāvana was for the pleasure of His associates there. The Lord created these pastimes to attract the dry speculators and the acrobats of the so-called haṭha-yoga system who wish to find the Absolute Truth.

슈까데바 고스와미(Śukadeva Gosvāmī)가 스리마드 바가바땀(10.12.11)에서 주와 당신의 목동 친구들 사이에 벌어진 어린 시절 유희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Of the childhood play between the Lord and His playmates, the cowherd boys, Śukadeva Gosvāmī says in Śrīmad-Bhāgavatam (10.12.11):

잇탐 사땀 브라흐마-수카누부땨 itthaṁ satāṁ brahma-sukhānubhūtyā
다샴 가따남 빠라-다이바떼나 dāsyaṁ gatānāṁ para-daivatena
마야스릿따남 나라-다라께나 māyāśritānāṁ nara-dārakeṇa
사깜 비자흐루 끄리따-뿐야-뿐자하 sākaṁ vijahruḥ kṛta-puṇya-puñjāḥ
itthaṁ satāṁ brahma-sukhānubhūtyā
dāsyaṁ gatānāṁ para-daivatena
māyāśritānāṁ nara-dārakeṇa
sākaṁ vijahruḥ kṛta-puṇya-puñjāḥ

“최고인격신은 갸니들에게는 비인성적이며 행복에 가득 찬 브라흐만으로 인식되고, 종의 감정을 가지는 헌애자들에게는 절대신으로 숭배되며, 세속적 인간들에게는 여러 생에 걸쳐 경건한 행위의 덕을 쌓은 후에야 비로소 그 위치를 얻게 된 목동들과 그저 함께 노는 평범한 인간으로 여겨진다.”

“The Personality of Godhead, who is perceived as the impersonal, blissful Brahman by the jñānīs, who is worshiped as the Supreme Lord by devotees in the mood of servitorship, and who is considered an ordinary human being by mundane people, played with the cowherd boys, who had attained their position after accumulating many pious activities.”

그러므로 주께서는 당신의 영적 동반자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시어 항상 초월적이며 애정 어린 행위를 하시며 이러한 관계는 샨따(śānta, 중립적 관계), 다샤(dāsya, 종의 관계), 사캬(sakhya, 우정), 밧살랴(vātsalya, 부모애), 그리고 마두랴(mādhurya, 부부애)이다.

Thus the Lord is always engaged in transcendental loving activities with His spiritual associates in the various relationships of śānta (neutrality), dāsya (servitorship), sakhya (friendship), vātsalya (parental affection) and mādhurya (conjugal love).

주 끄리쉬나는 브린다반을 절대 떠나지 않는다고 하는데, 어떻게 당신이 창조에 관여할 수 있는지 물을 수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바가바드 기따(13.14~18)에 나와 있다. 주는 빠람아뜨마, 즉 당신의 전체적 부분인 초영혼으로서 전 물질적 창조 안에 존재하신다. 비록 당신이 물질적 창조와 유지, 파괴에 직접 아무 관여를 하지 않으시지만 이 모든 것을 당신의 전체적 확장인 빠람아뜨마로 하여금 일어나게 하신다. 모든 생명체는 아뜨마(ātmā), 즉 영혼이고 이들 모두를 통제하는 주된 아뜨마가 빠람아뜨마, 즉 초영혼이다.

Since it is said that Lord Kṛṣṇa never leaves Vṛndāvana-dhāma, one may ask how He manages the affairs of the creation. This is answered in the Bhagavad-gītā (13.14–18): The Lord pervades the entire material creation by His plenary part known as the Paramātmā, or Supersoul. Although the Lord personally has nothing to do with material creation, maintenance and destruction, He causes all these things to be done by His plenary expansion, the Paramātmā. Every living entity is known as ātmā, soul, and the principal ātmā who controls them all is Paramātmā, the Supersoul.

신(神)에 관한 이러한 깨달음의 체계는 위대한 과학이다. 물질주의적 상캬-요기(sāṅkhya-yogī)들은 뿌루샤(puruṣa), 즉 주에 관한 지식이 없기 때문에 물질적 창조의 24요소에 관해 분석, 명상할 뿐이다. 그리고 비인성적 초월주의자들은 단지 브라흐마-죠띠의 광채(光彩)에 사로잡혀 혼란에 빠진다. 절대 진리를 완전히 이해하고자 한다면 24개의 물질적 요소와 브라흐마-죠띠의 광채를 넘어서야 한다. 스리 이쇼빠니샤드는 주의 히란마야-빠뜨라(hiraṇmaya-pātra), 즉 눈부신 가리개를 제거해 달라고 기도할 것을 지적한다. 이 가리개가 제거되지 않는 한 최고인격신의 진정한 모습을 볼 수 없고 절대 진리의 실제적 깨달음 또한 결코 이룰 수 없다.

This system of God realization is a great science. The materialistic sāṅkhya-yogīs can only analyze and meditate on the twenty-four factors of the material creation, for they have very little information of the puruṣa, the Lord. And the impersonal transcendentalists are simply bewildered by the glaring effulgence of the brahma-jyotir. If one wants to see the Absolute Truth in full, one has to penetrate beyond the twenty-four material elements and the glaring effulgence as well. Śrī Īśopaniṣad points toward this direction, praying for the removal of the hiraṇmaya-pātra, the dazzling covering of the Lord. Unless this covering is removed so one can perceive the real face of the Personality of Godhead, factual realization of the Absolute Truth can never be achieved.

최고인격신의 빠람아뜨마 측면은 비쉬누-땃뜨바(viṣṇu-tattvas), 즉 세 가지 완전한 확장자 중 하나로, 일괄하여 뿌루샤-아바따라(puruṣa-avatāras)라고 한다. 이 비쉬누-땃뜨바 중에서 우주 안에 계시는 존재를 끄쉬로다까샤이 비쉬누(Kṣīrodakaśāyī Viṣṇu)라고 한다. 그가 바로 세 주요 신 브라흐마(Brahmā), 비쉬누(Viṣṇu), 그리고 시바(Śiva) 중 하나인 비쉬누이며 모든 개별 생명체 안에 두루 존재하는 빠람아뜨마이다. 우주 안에 있는 두 번째 비쉬누-땃뜨바는 가르보다까샤이 비쉬누(Kāraṇodakaśāyī Viṣṇu)로, 모든 생명체의 총체적 초영혼이다. 이 두 비쉬누를 넘어서 원인의 바다에 누워 계시는 분이 까라노다까샤이 비쉬누(Kāraṇodakaśāyī Viṣṇu)이다. 요가 체계는 진지한 학생들에게 우주 창조의 스물넷 물질 요소를 넘어선 다음 비쉬누-땃뜨바를 이해하도록 가르친다. 경험적 철학 풍토는 주 스리 끄리쉬나의 초월적 몸에서 빛나는 광채, 비인성적 브라흐마-죠띠를 깨닫는 데 도움을 준다. 그 브라흐마-죠띠가 끄리쉬나의 광채라는 사실은 바가바드 기따(14.27) 뿐만 아니라 브라흐마 삼히따(5.40)에서도 확인된다.

The Paramātmā feature of the Personality of Godhead is one of three plenary expansions, or viṣṇu-tattvas, collectively known as the puruṣa-avatāras. One of these viṣṇu-tattvas who is within the universe is known as Kṣīrodaka-śāyī Viṣṇu. He is the Viṣṇu among the three principal deities – Brahmā, Viṣṇu and Śiva – and He is the all-pervading Paramātmā in each and every individual living entity. The second viṣṇu-tattva within the universe is Garbhodaka-śāyī Viṣṇu, the collective Supersoul of all living entities. Beyond these two is Kāraṇodaka-śāyī Viṣṇu, who lies in the Causal Ocean. He is the creator of all universes. The yoga system teaches the serious student to meet the viṣṇu-tattvas after going beyond the twenty-four material elements of the cosmic creation. The culture of empiric philosophy helps one realize the impersonal brahma-jyotir, which is the glaring effulgence of the transcendental body of Lord Śrī Kṛṣṇa. That the brahma-jyotir is Kṛṣṇa’s effulgence is confirmed in the Bhagavad-gītā (14.27) as well as the Brahma-saṁhitā (5.40):

야샤 쁘라바-쁘라바바또 자갇-안다-꼬띠-
yasya prabhā-prabhavato jagad-aṇḍa-koṭi-
꼬띠쉬 바쉐샤-바수다디 비부띠-빈남
koṭiṣv aśeṣa-vasudhādi vibhūti-bhinnam
딷 브라흐마 니쉬깔람 아난땀 아쉐샤-부땀
tad brahma niṣkalam anantam aśeṣa-bhūtaṁ
고빈담 아디-뿌루샴 땀 아함 바자미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yasya prabhā prabhavato jagad-aṇḍa-koṭi-
koṭiṣv aśeṣa-vasudhādi vibhūti-bhinnam
tad brahma niṣkalam anantam aśeṣa-bhūtaṁ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수백 수천만 개의 우주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행성이 존재하고, 각각의 행성은 우주의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르다. 이 모든 행성은 브라흐마-죠띠의 한구석에 위치한다. 브라흐마-죠띠는 내가 숭배하는 최고인격신 고빈다(Govinda)의 몸에서 발하는 빛이다.” 브라흐마 삼히따의 이 만뜨라는 절대 진리의 실제적 깨달음의 단계에서 말한 것이며 우리가 논하고 있는 스리 이쇼빠니샤드의 스루띠 만뜨라는 이 만뜨라를 깨달음의 한 과정으로 입증한다. 스리 이쇼빠니샤드의 이 만뜨라는 주의 진정한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브라흐마-죠띠를 제거해 달라고 기원하는 단순한 기도이다. 이 브라흐마-죠띠 광채는 문다까 우빠니샤드(2.2.10~12)의 몇몇 만뜨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In the millions and millions of universes there are innumerable planets, and each and every one of them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by its cosmic constitution. All of these planets are situated in a corner of the brahma-jyotir. This brahma-jyotir is but the personal rays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Govinda, whom I worship.” This mantra from the Brahma-saṁhitā is spoken from the platform of factual realization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śruti-mantra of Śrī Īśopaniṣad under discussion confirms this mantra as a process of realization. The Īśopaniṣad mantra is a simple prayer to the Lord to remove the brahma-jyotir so that one can see His real face. This brahma-jyotir effulgence is described in detail in several mantras of the Muṇḍaka Upaniṣad (2.2.10–12):

히란마예 빠레 꼬세 hiraṇmaye pare kośe
비라잠 브라흐마 니쉬깔람 virajaṁ brahma niṣkalam
땃 추브람 죠띠쉬샴 죠띠스 tac chubhraṁ jyotiṣāṁ jyotis
딷 얃 아뜨마-비됴 비두후 tad yad ātma-vido viduḥ
hiraṇmaye pare kośe
virajaṁ brahma niṣkalam
tac chubhraṁ jyotiṣāṁ jyotis
tad yad ātma-vido viduḥ
나 따뜨라 수료 바띠 나 짠드라-따라깜 na tatra sūryo bhāti na candra-tārakaṁ
네마 비듀또 반띠 꾸또 ‘얌 아그니히 nemā vidyuto bhānti kuto 'yam agniḥ
땀 에바 반땀 아누 바띠 사르밤 tam eva bhāntam anu bhāti sarvaṁ
따샤 바사 사르밤 이담 비바띠 tasya bhāsā sarvam idaṁ vibhāti
na tatra sūryo bhāti na candra-tārakaṁ
nemā vidyuto bhānti kuto ’yam agniḥ
tam eva bhāntam anu bhāti sarvaṁ
tasya bhāsā sarvam idaṁ vibhāti
브라흐마이베담 암리땀 뿌라스딷 브라흐마 brahmaivedam amṛtaṁ purastād brahma
빠스짣 브라흐마 닥쉬나따스 쫏따레나 paścād brahma dakṣiṇataś cottareṇa
아다스 쪼르드밤 짜 쁘라스리땀 브라흐마이- adhaś cordhvaṁ ca prasṛtaṁ brahmai-
베담 비스밤 이담 바리쉬탐 vedaṁ viśvam idaṁ variṣṭham
brahmaivedam amṛtaṁ purastād brahma
paścād brahma dakṣiṇataś cottareṇa
adhaś cordhvaṁ ca prasṛtaṁ brahmai-
vedaṁ viśvam idaṁ variṣṭham

“물질적 가리개를 넘어서는 영계는 물질적 오염에서 벗어난 무한한 브라흐만 광채이다. 초월주의자들은 그 찬란한 흰빛이 모든 빛 중의 빛이라고 이해한다. 그 영역에서는 빛을 밝히기 위해 햇빛, 달빛, 불 또는 전기가 필요 없다. 실제로, 물질계에 나타나는 어떤 눈부심도 그 최고 조명의 반영일 뿐이다. 그 브라흐만이 앞과 뒤, 위와 아래, 그리고 동서남북에 존재한다. 다른 말로, 그 최고의 브라흐만 광채는 물질계와 영계를 통틀어 두루 존재한다.”     

“In the spiritual realm, beyond the material covering, is the unlimited Brahman effulgence, which is free from material contamination. That effulgent white light is understood by transcendentalists to be the light of all lights. In that realm there is no need of sunshine, moonshine, fire or electricity for illumination. Indeed, whatever illumination appears in the material world is only a reflection of that supreme illumination. That Brahman is in front and in back, in the north, south, east and west, and also overhead and below. In other words, that supreme Brahman effulgence spreads throughout both the material and spiritual skies.”

완전한 지식이란 끄리쉬나를 이 브라흐만 광채의 근원으로 이해함을 의미한다. 이 지식은 끄리쉬나의 과학을 완벽히 설명하는 스리마드 바가바땀과 같은 문헌에서 얻을 수 있다. 스리마드 바가바땀에서 저자, 스릴라 비아사데바는 깨달은 정도에 따라 최고의 진리를 브라흐만, 빠람아뜨마 또는 바가반으로 묘사할 것이라고 확증했다. 스릴라 비아사데바는 최고 진리가 지바(jīva), 즉 평범한 생명체라고 절대 말하지 않았다. 평범한 생명체를 전지전능한 최고의 진리로 절대 간주해서는 안 된다. 만약 생명체가 절대자라면 주께 당신의 실제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찬란한 가리개를 제거해 주십사하고 기도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Perfect knowledge means knowing Kṛṣṇa as the root of this Brahman effulgence. This knowledge can be gained from such scriptures as Śrīmad-Bhāgavatam, which perfectly elaborates the science of Kṛṣṇa. In Śrīmad-Bhāgavatam, the author, Śrīla Vyāsadeva, has established that one will describe the Supreme Truth as Brahman, Paramātmā or Bhagavān according to one’s realization of Him. Śrīla Vyāsadeva never states that the Supreme Truth is a jīva, an ordinary living entity. The living entity should never be considered the all-powerful Supreme Truth. If he were the Supreme, he would not need to pray to the Lord to remove His dazzling cover so that the living entity could see His real face.

결론은 최고 진리의 능력에 관해 아무런 지식이 없는 자는 비인성적 브라흐만을 깨달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주의 물질적 능력만을 깨닫고 당신의 영적 능력에는 무지한 자는 빠람아뜨마 깨달음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절대 진리의 브라흐만과 빠람아뜨마 깨달음은 부분적 깨달음이다. 그러나 주의 눈부신 가리개 히란마야-빠뜨라를 제거한 다음, 최고인격신 스리 끄리쉬나의 완전한 능력을 깨닫게 되면 ‘바아수데바 사르밤 이띠(vāsudevaḥ sarvam iti, 바가바드 기따 7.19), 즉 ‘끄리쉬나가 모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바아수데바로 알려진 스리 끄리쉬나가 브라흐만, 빠람아뜨마 그리고 바가반, 이 모든 것이다. 그가 바로 바가반, 근원이며 브라흐만과 빠람아뜨마는 그의 부분이다.

The conclusion is that one who has no knowledge of the potencies of the Supreme Truth will realize the impersonal Brahman. Similarly, when one realizes the material potencies of the Lord but has little or no information of the spiritual potencies, he attains Paramātmā realization. Thus both Brahman and Paramātmā realization of the Absolute Truth are partial realizations. However, when one realizes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Śrī Kṛṣṇa, in full potency after the removal of the hiraṇmaya-pātra, one realizes vāsudevaḥ sarvam iti: Lord Śrī Kṛṣṇa, who is known as Vāsudeva, is everything – Brahman, Paramātmā and Bhagavān. He is Bhagavān, the root, and Brahman and Paramātmā are His branches.

바가바드 기따(6.46~47)에 세 유형의 초월주의자에 관한 비교 분석이 있다. 비인성적 브라흐만의 숭배자(갸니, jñānīs), 빠람아뜨마 측면의 숭배자(요기, yogīs) 그리고 주 스리 끄리쉬나의 헌애자(박따, bhakta)가 그것이다. 베다 지식을 배양하는 갸니가 결실을 낳는 일을 하는 보통 사람보다 낫고, 그러한 갸니보다는 요기가 더 위대하며 모든 요기 중에서 온 힘을 다해 주를 쉼 없이 섬기는 자가 가장 위대하다고 바가바드 기따는 명시한다. 결론적으로, 노동자보다는 철학자가 낫고, 신비주의자가 철학자보다 뛰어나며 모든 신비주의적 요기 중에서 쉼 없이 주를 위한 봉사에 종사하는 박띠 요가의 길을 따르는 자가 가장 높다. 스리 이쇼빠니샤드는 이 완성의 길로 우리를 인도한다.

In the Bhagavad-gītā (6.46–47) there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types of transcendentalists – the worshipers of the impersonal Brahman (jñānīs), the worshipers of the Paramātmā feature (yogīs) and the devotees of Lord Śrī Kṛṣṇa (bhaktas). It is stated there that the jñānīs, those who have cultivated Vedic knowledge, are better than ordinary fruitive workers; that the yogīs are still greater than the jñānīs; and that among all yogīs, those who constantly serve the Lord with all their energies are the topmost. In summary, a philosopher is better than a laboring man, a mystic is superior to a philosopher, and of all the mystic yogīs, he who follows bhakti-yoga, constantly engaging in the service of the Lord, is the highest. Śrī Īśopaniṣad directs us toward this per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