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strong>만뜨라 14</strong>

Mantra Quatorze

원문

Texte

삼부띰 짜 비나샴 짜 sambhūtiṁ ca vināśaṁ ca
야스 딷 베도바얌 사하 yas tad vedobhayaṁ saha
비나세나 므리뜜 띠르뜨바 vināśena mṛtyuṁ tīrtvā
삼부띠암리땀 아스누떼sambhūtyāmṛtam aśnute
sambhūtiṁ ca vināśaṁ ca
yas tad vedobhayaḿ saha
vināśena mṛtyuṁ tīrtvā
sambhūtyāmṛtam aśnute

동의어

Synonyms

삼부띰(sambhūtim): 영원한 최고인격신과 당신의 초월적 이름, 형상, 유희, 자질과 비품들, 그리고 당신의 보금자리가 지닌 다양성 등, 짜(ca): 그리고, 비나샴(vināśam): 거짓 이름과 명성 등을 가진 일시적인 데바들과 인간, 동물 등의 물질적 발현, 짜(ca): 또한, 야하(yaḥ): ~하는 자, 땃(tat): 그, 베다(veda): 알다, 우바얌(ubhayam): 둘 다, 사하(saha): ~와 함께, 비나세나(vināśena): 패배하게 마련인 모든 것들과, 므리뜜(mṛtyum): 죽음, 띠르뜨바(tīrtvā): 넘어서는, 삼-부땨(sam-bhūtyā): 영원한 신(神)의 왕국에서, 암리땀(amṛtam): 불사(不死), 아스누떼(aśnute): 즐긴다.

sambhūtim : l’éternelle Personne Divine, Son nom, Sa forme, Ses divertissements, Ses attributs, Son entourage et Son royaume absolus ; ca : et ; vināśam : la manifestation matérielle temporaire, avec ses devas, ses hommes, ses animaux… et leurs noms, leurs gloires et tant d’autres attributs illusoires ; ca : ainsi que ; yaḥ : celui qui ; tat :cela ; veda : sait ; ubhayam : les deux ; saha : avec ; vināśena : toute chose sujette à la destruction ; mṛtyum : la mort ; tīrtvā : surmontant ; sambhūtyā : dans le royaume éternel de Dieu ; amṛtam : l’immortalité ; aśnute : jouit de.

번역

Translation

인간은 최고인격신 스리 끄리쉬나와 당신의 초월적 이름, 형상, 자질과 유희를 완벽히 알아야 하며 일시적인 데바, 인간 그리고 동물로 이루어진 일시적 물질계의 창조 또한 알아야 한다. 이 모든 것을 알 때, 죽음과 덧없는 우주적 발현을 넘어 절대신의 영원한 보금자리에서 축복과 지식으로 가득한 영원한 삶을 누리게 된다.

Il faut connaître parfaitement Dieu, Son nom, Sa forme, Ses qualités et Ses divertissements absolus, ainsi que la création matérielle éphémère et ses habitants — devas, hommes et bêtes. Alors on transcendera la mort, et avec elle, la manifestation cosmique temporaire. Dans le royaume de Dieu, on jouira de la vie éternelle, faite de félicité et de connaissance.

주석

Purport

소위 지식의 진보로 인류 문명은 우주선과 원자력 에너지를 포함한 여러 물질적인 것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죽지 않아도 되고 다시 태어나지 않고, 늙거나 병으로 고통받지 않아도 되는 상황을 발명해내지는 못했다. 총명한 자가 소위 과학자라는 사람들에게 이런 불행에 대해 질문하면 과학자들은 물질과학은 발전하고 있고 결국 죽지 않고 늙지 않으며 질병 없는 인간을 만드는 게 가능하다고 매우 영리하게 대답한다. 그런 답이야말로 물질적 본성에 대한 과학자들의 철저한 무지를 증명한다. 물질적 본성 안에서 모든 이는 엄격한 물질의 법칙에 영향받고 여섯 단계의 존재, 즉 출생, 성장, 유지, 부산물의 생산, 쇠퇴, 마침내 죽음을 거쳐야 한다. 물질적 본성과 접촉하는 것 중 어떤 것도 이 여섯 전환의 법칙을 넘어설 수 없다. 그러므로 데바이든 인간이든 동물이든 식물이든 물질계에서 영원히 살아남을 수 없다.

La civilisation moderne, qui se dit en progrès, a su inventer les vaisseaux spatiaux et découvrir l’énergie atomique, mais elle demeure impuissante face à la naissance, la maladie, la vieillesse et la mort. Lorsque, faisant preuve d’intelligence, on questionne les savants sur ces problèmes, ceux-ci répondent très habilement que la science est en plein essor et qu’elle saura, dans l’avenir, y trouver une solution. De telles réponses prouvent qu’ils ne savent rien des lois de la nature. Dans la nature, tout être est soumis à des lois sévères et doit passer par les six étapes de la vie : la naissance, la croissance, la maturité, la reproduction, la vieillesse et la mort. Personne n’échappe à ces lois immuables et aucun être, qu’il soit deva, homme, bête ou plante, ne peut prolonger indéfiniment son existence en ce monde.

수명은 종에 따라 다양하다. 이 물질적 우주 안에서 최고의 생명체인 브라흐마는 수백만 년을 살지만 작은 균은 오직 몇 시간만을 살 뿐이다. 그러나 물질계에 있는 누구라도 영원히 살아남을 수는 없다. 특정 조건으로 태어나거나 창조되고, 얼마간을 머무르며 계속 산다면 성장하고 생식하고 점점 쇠퇴하여 마침내 사라지고 만다. 이 법칙에 따라 수백만의 다른 우주에 거주하는 브라흐마들조차 오늘이나 내일 죽어야 할 운명에 있다. 그러므로 전 물질 우주는 마르땨로까(Martyaloka), 즉 죽음의 장소라 불린다.

Bien entendu, la durée de la vie varie selon les espèces. Brahmā, le plus important des êtres vivants, vit des millions d’années, quand certains microbes n’existent que pour quelques heures. Cependant, quelle que soit la durée de la vie, la mort demeure inévitable ici-bas. Tout est sujet, après la naissance ou la création, à survivre un certain temps pour finalement dépérir et être anéanti. Sous le joug de cette loi, tous les êtres doivent tôt ou tard payer leur tribut à la mort, qui n’épargne pas même les Brahmās. C’est pourquoi on désigne l’univers matériel sous le nom de Martyaloka, le domaine de la mort.

물질 과학주의자들과 정치인들은 불멸의 영적 본성에 관한 정보가 없기에 이곳을 불멸의 장소로 만들려고 애쓰고 있다. 이는 성숙한 초월적 경험을 통해 확증된 완전한 지식을 담고 있는 베다 문헌에 관해 무지한 탓이다. 불행히도 현대 인간은 베다, 뿌라나, 그리고 다른 경전들로부터 지식을 받기 싫어한다.

Savants et politiciens matérialistes, parce qu’ils n’ont aucune connaissance des Écritures védiques et ne savent pas que la vie éternelle appartient au monde spirituel, cherchent à vaincre la mort en ce monde. Les Écritures regorgent pourtant d’une connaissance confirmée par l’expérience transcendantale ; hélas, l’homme d’aujourd’hui répugne à accepter la connaissance que contiennent les Vedas, les Purāṇas et les autres Écritures sacrées.

비쉬누 뿌라나(6.7.61)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는다.

Nous trouvons dans le Viṣṇu Purāṇa (6.7.61) l’information suivante :

비쉬누-샥띠 빠라 쁘록따 viṣṇu-śaktiḥ parā proktā
끄쉐뜨라-갸키아 따타 빠라 kṣetra-jñākhyā tathā parā
아비댜-까르마-삼갸니아 avidyā-karma-saṁjñānyā
뜨리띠야 샥띠르 이샤떼 tṛtīyā śaktir iṣyate
viṣṇu-śaktiḥ parā proktā
kṣetrajñākhyā tathā parā
avidyā-karma-saṁjñānyā
tṛtīyā śaktir iṣyate

최고인격신, 주 비쉬누는 빠라(parā: 상위)와 아빠라(aparā: 하위)라고 하는 다른 에너지를 소유하신다. 생명체는 상위 에너지에 속한다. 우리가 현재 얽혀있는 물질적 에너지는 하위 에너지이다. 물질적 창조는 이 에너지에 의해 생겨났고 생명체를 무지(아비댜)로 덮어 인과응보를 낳는 행위를 하도록 한다. 하지만 물질적 하위 에너지와 상위 에너지인 생명체와는 다른 주의 또 다른 상위 에너지 부분이 있다. 그 상위 에너지는 영원하고 불멸하는 주의 거처이다. 이것이 바가바드 기따(8.20)에서 확인된다.

Le Seigneur possède deux énergies principales : la puissance supérieure (parā-śakti) et la puissance inférieure (aparā-śakti). Les êtres vivants appartiennent à l’énergie supérieure, alors que la nature matérielle dont ils sont captifs constitue l’énergie inférieure. C’est de cette énergie, qui recouvre les êtres du voile de l’ignorance et les pousse aux actes fondés sur l’intérêt personnel, qu’est issue la création matérielle. Mais au-delà de ces deux énergies existe une énergie encore supérieure, qui est le royaume éternel et immortel du Seigneur dont parle la Bhagavad-gītā (8.20) :

빠라스 따스맛 뚜 바보 ‘뇨 paras tasmāt tu bhāvo 'nyo
’비약또 ‘비약땃 사나따나하 'vyakto 'vyaktāt sanātanaḥ
야하 사 사르베슈 부떼슈 yaḥ sa sarveṣu bhūteṣu
나샷수 나 비나샤띠 naśyatsu na vinaśyati
paras tasmāt tu bhāvo ’nyo
’vyakto ’vyaktāt sanātanaḥ
yaḥ sa sarveṣu bhūteṣu
naśyatsu na vinaśyati

태양과 달, 금성을 포함해 높거나 낮거나 중간에 위치한 모든 물질적 행성은 우주 전역에 흩어져 있다. 이 행성들은 브라흐마의 생존 기간에만 존재한다. 그러나 어떤 낮은 행성은 브라흐마의 하루가 끝나면 파괴되고 브라흐마의 다음 날 동안 다시 창조된다. 더 높은 행성에서 시간은 다르게 측정된다. 우리의 일 년이 여러 상위 행성의 24시간, 즉 하루 밤낮과 일치한다. 지구의 네 시대(사땨, 뜨레따, 드바빠라, 깔리)는 상위 행성의 시간으로 오직 12,000년간만 지속된다. 여기에 1000을 곱하면 브라흐마의 하루가 되고 브라흐마의 밤은 이것과 같은 길이다. 그런 낮과 밤이 달과 해가 되고, 브라흐마는 그런 시간으로 100년을 산다. 브라흐마의 삶이 끝날 때 완전한 우주의 발현은 소멸한다.

Les planètes matérielles dont l’univers est parsemé — des plus hautes, aux intermédiaires et aux plus basses — n’existent que durant la vie de Brahmā. Certaines planètes inférieures sont même anéanties après chaque jour de Brahmā, et recréées au début du jour suivant. La notion de temps diffère sur les planètes supérieures et sur la nôtre. L’une de nos années, par exemple, équivaut à seulement vingt-quatre heures, ou un jour et une nuit, sur beaucoup de ces planètes. Le cycle des quatre âges, (Satya, Tretā, Dvāpara et Kali) qui sur terre dure 4 320 000 ans, n’y dure que 12 000 ans. Mille de ces cycles font une journée de Brahmā, et sa nuit dure autant. Brahmā vit ainsi pendant cent ans, et à la fin de sa vie, la manifestation cosmique tout entière est détruite.

태양과 달 같이 더 높은 행성들과 마르땨로까를 비롯해 이 지구, 더 낮은 행성에 사는 생명체는 모두 브라흐마의 밤 동안 황폐의 물속에 잠긴다. 이때 생명체는 비록 영적으로 계속 존재하지만 발현하지는 않는다. 이 비발현의 상태를 아뱍따(avyakta)라고 한다. 브라흐마의 삶이 다할 때 전 우주는 다시 소멸하고 이것이 또 다른 아뱍따 상태이다. 그러나 이 두 종류의 비발현 상태를 넘어서 또 하나의 비발현 상태, 영적 대기권 혹은 영적 본성이 있다. 이 대기권 안에는 엄청난 수의 영적 행성이 있고, 브라흐마의 삶이 다 해 이 물질적 우주 안에 있는 모든 행성이 소멸할 때조차 이 행성들은 영원히 존재한다. 물질적 우주의 수는 많고, 각 우주는 각각의 브라흐마가 관할하며 이렇게 다양한 브라흐마의 관할 안에 있는 전 우주의 발현은 주(主, 에까빠드-비부띠; ekapād-vibhūti)가 가진 에너지의 1/4만을 보여줄 뿐이다. 이것이 상위 에너지, 빠라-쁘라끄리띠(parā-prakṛti)이다.

Durant la nuit de Brahmā, tous les habitants des systèmes planétaires supérieurs (comme le soleil et la lune), intermédiaires (comme la terre) et inférieurs, sont submergés par les eaux de la dévastation. Durant cette longue nuit, tous les êtres continuent d’exister spirituellement, mais dans un état non manifesté, que l’on appelle avyakta,et que l’on retrouve également à la fin de la vie de Brahmā. Il existe cependant, au-delà de ces deux états de non-manifestation, un troisième état où la matière n’est pas manifestée : c’est le monde spirituel, avec ses innombrables planètes éternelles, qui continue d’exister même après l’anéantissement des planètes matérielles.

La manifestation cosmique constituant l’énergie inférieure du Seigneur et dont chaque univers est régi par un Brahmā particulier déploie seulement un quart de la puissance du Seigneur (ekapād-vibhūti). Le monde spirituel échappe, quant à lui, à la juridiction des divers Brahmās. Déployant les trois quarts de la puissance du Seigneur, il est appelé tri-pāda-vibhūti, et il constitue l’énergie supérieure du Seigneur, la parā-prakṛti.

영적 본성 안에 거주하며 직접 지배하는 최고 인간은 주 스리 끄리쉬나이다. 바가바드 기따(8.22)에서 확증되었듯이 갸나(철학), 요가(신비주의), 혹은 까르마(인과응보적 일)의 과정이 아닌 순수한 봉헌으로만 당신께 다가갈 수 있다. 결실을 바라고 일하는 까르미들은 태양과 달을 포함하는 스바르가로까(Svargaloka) 행성으로 올라갈 수 있다. 갸니들과 요기들은 마하르로까(Maharloka), 따뽀로까(Tapoloka), 브라흐마로까(Brahmalok) 같이 더 높은 행성으로 올라갈 수 있고 봉헌을 통해 더 높은 자격을 갖추면 그 자격에 따라 무한한 영적 하늘의 빛나는 대기권(브라흐만)이나 바이꾼타 행성이 있는 영적 본성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중 그 누구도 봉헌하는 훈련을 받지 않고 영적 바이꾼타에 들어 갈 수 없다.

C’est là, dans le monde spirituel, que règne Śrī Kṛṣṇa, la Personne Suprême. Ainsi que l’indique la Bhagavad-gītā (8.22), le seul moyen de L’approcher est le pur service de dévotion. Ni le jñāna (la recherche philosophique), ni le yoga (la recherche des pouvoirs surnaturels), et encore bien moins le karma (l’action intéressée) ne permettent de le faire. Les karmīs peuvent s’élever jusqu’aux Svargalokas (planètes supérieures, comme le soleil et la lune). Les jñānīs et les yogīs, eux, peuvent atteindre des planètes plus élevées encore, comme Brahmaloka, Maharloka ou Tapoloka, d’où ils peuvent continuer à progresser en pratiquant le service de dévotion jusqu’à entrer dans le monde spirituel, soit dans la lumière du Brahman irradiant du royaume de Dieu, soit sur les planètes spirituelles, selon leur mérite. Une chose est certaine cependant, personne ne peut entrer dans les planètes spirituelles, les Vaikuṇṭhalokas, s’il n’a pratiqué le service de dévotion.

물질적 행성에서는 브라흐마에서 개미에 이르기까지 모두 물질적 본성을 지배하려 하고 이것이 물질적 질병이다. 이 물질적 질병이 계속되는 한 생명체는 육신의 변화 과정을 겪어야 한다. 인간의 모습을 받든, 데바든 동물이든 결국 두 종류의 황폐기, 즉 브라흐마의 밤과 브라흐마의 삶이 끝나는 때 비발현의 상태를 겪어야 한다. 우리가 이 반복되는 생과 사, 그리고 이와 수반되어 일어나는 노화와 질병의 과정을 끝내고 싶다면 주 끄리쉬나 혹은 당신의 전체적 확장인 나라야나 형상과 함께 영원히 살 수 있는 영적 행성에 들어가려고 반드시 노력해야 한다. 주 끄리쉬나 혹은 당신의 전체적 확장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이 모든 행성을 각각 지배하시고 이 사실은 스루띠 만뜨라들에서 확증되었다. 에꼬 바시 사르바-가 끄리쉬나 이댜하 / 에꼬 ‘삐 산 바후다 요 ‘바바띠(eko vaśī sarva-gaḥ kṛṣṇa īḍyaḥ/ eko 'pi san bahudhā yo 'vabhāti, 고빨라-따빠니 우빠니샤드 1.21). 

Tous les êtres en ce monde, de Brahmā jusqu’à la plus petite fourmi, veulent dominer la nature ; c’est ce qu’on appelle la fièvre matérielle. Tant que cette fièvre n’est pas tombée, l’être vivant reste assujetti au cycle de la transmigration, tantôt deva, tantôt homme ou animal…, et lors des grandes dévastations (à la fin de chaque jour de Brahmā et à la fin de sa vie) il sera plongé dans l’état non manifesté. Pour mettre fin à cette répétition de morts et de renaissances et à leurs corollaires, la vieillesse et la maladie, nous devons essayer d’atteindre les planètes spirituelles pour y vivre auprès de Śrī Kṛṣṇa ou de Ses innombrables émanations plénières, les Nārāyaṇas. La souveraineté de Kṛṣṇa et de Ses émanations sur ces planètes est confirmée par les śruti-mantras dans ces termes : eko vaśī sarva-gaḥ kṛṣṇa īḍyaḥ/ eko ’pi san bahudhā yo ’vabhāti. (Gopala-tāpanī Upaniṣad, 1.3.21)

아무도 끄리쉬나를 지배할 수 없다. 물질적 본성을 지배하려고 애쓰는 속박된 영혼들이 그렇게 하고 싶어 해도 오히려 물질적 본성의 법칙과 반복된 생과 사의 고통에 종속될 뿐이다. 주께서 종교 원칙을 재확립하시고자 이곳에 오시고, 그 기본 원칙은 당신께 항복하는 태도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바가바드 기따(18.66)의 마지막 가르침이다. 사르바-다르만 빠리땨쟈 맘 에깜 샤라남 브라자(sarva-dharmān parityajya mām ekaṁ śaraṇaṁ vraja). “모든 다른 과정을 버리고 그저 나에게만 항복하라.” 불행하게도 어리석은 자들은 이 중요한 가르침을 잘못 해석하고 대중을 다양한 방식으로 오도한다. 사람들은 병원을 열라는 재촉을 받지만 봉헌의 태도를 길러 스스로 영적 왕국에 들어갈 수 있게 교육하라는 재촉은 받지 않는다. 사람들은 생명체에게 진정한 행복을 결코 줄 수 없는 일시적 구제 사업에만 관심을 가지라고 배울 뿐이다. 이렇게 다양한 공공사업과 정부 관련 기관을 열어 자연의 파괴력에 맞서려고 하지만 이겨낼 수 없는 자연을 달래는 법을 알지 못한다. 많은 사람이 바가바드 기따의 위대한 학자라 광고하지만 물질적 본성을 평정할 수 있는 기따의 메시지를 못 보고 지나친다. 바가바드 기따(7.14)가 명백히 지적하듯이, 오직 신(神) 의식을 일깨움으로써만 강력한 자연을 평정할 수 있다.

Nul ne peut dominer Kṛṣṇa. L’âme conditionnée qui essaie d’asservir la nature matérielle doit au contraire en subir les lois implacables et souffrir dans le cycle des morts et des renaissances. Le Seigneur descend dans l’univers matériel afin de rétablir les principes de la religion, dont l’objet est de conduire les âmes conditionnées vers l’abandon à Lui. Cet abandon total est la dernière instruction de la Bhagavad-gītā (18.66) : sarva-dharmān parityaya mām ekaṁ śaraṇaṁ vraja — « Laisse là toute autre méthode, et abandonne-toi simplement à Moi. » Malheureusement des commentateurs peu scrupuleux ont trahi cet enseignement fondamental et ainsi trompé de nombreux innocents. Ceux-ci ont été incités à ouvrir des hôpitaux mais pas du tout à s’instruire du service de dévotion qui leur permettrait d’entrer dans le monde spirituel. Ils ont appris à ne s’intéresser qu’au soulagement temporaire au lieu du véritable bonheur de l’âme. Ils créent toutes sortes d’institutions nationales ou privées destinées à maîtriser le pouvoir dévastateur de la nature mais ils n’arrivent pas à apaiser cette insurmontable puissance. Beaucoup de théologiens, réputés pour être des spécialistes de la Bhagavad-gītā, dédaignent la méthode que donne la Bhagavad-gītā (7.14) afin de surmonter la nature matérielle ; cette méthode consiste à s’éveiller à la conscience de Dieu.

스리 이쇼빠니샤드의 이 만뜨라는 삼부띠(sambhūti: 최고인격신)와 비나샤(vināśa:일시적 물질의 발현) 둘 다 완벽히 알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자연의 흐름 속에는 매 순간 황폐가 발생하므로 물질적 발현을 아는 것만으로 구원받을 수 없다(아하니 아하니 부따니 갓찬띠하 야마-라얌: ahany ahani bhūtāni gacchantīha yamā-layam). 병원을 연다고 해서 이 황폐에서 구제되지도 않는다. 행복과 깨달음으로 가득한 영원한 삶에 관한 완전한 지식을 얻음으로써만 구원받을 수 있다. 모든 베다의 취지는 이 영원한 삶을 얻게 하는 방법을 교육하기 위함이다. 사람들은 종종 감각 만족에 기반을 둔 일시적으로 매력적인 것들에 이끌리지만 감각 대상에 하는 봉사는 오도적이며 타락적이다.

La Śrī Īśopaniṣad nous enseigne dans ce mantra qu’il faut connaître simultanément le sambhūti (la Personne Suprême) et le vināśa (la manifestation cosmique temporaire). La seule connaissance de la manifestation cosmique ne nous sera d’aucun secours car, dans l’univers matériel, on rencontre la destruction à chaque pas (ahany ahani bhūtāni gacchantīha yamālayam) et ce n’est pas en ouvrant des hôpitaux que l’on s’en préservera. Nous ne serons sauvés qu’en reprenant conscience de notre nature éternelle, toute de félicité et de connaissance, but auquel veut nous mener la culture védique. L’homme se laisse souvent détourner par des activités attirantes mais éphémères, orientées vers le plaisir des sens, qui toutes ne peuvent que l’égarer et le dégrader.

그러므로 반드시 우리 자신과 친구를 올바른 방식으로 구제해야 한다. 진실을 좋아하거나 좋아하지 않을 수 없다. 진실은 진실이다. 반복된 생과 사에서 구제받고 싶다면 주를 향한 봉헌을 반드시 시작해야 한다. 이것은 필수이므로 타협은 없다. 

Il est donc de notre devoir de sauver notre prochain ainsi que nous-mêmes, mais il faut savoir comment le faire correctement. Il n’est pas question d’aimer ou de ne pas aimer la vérité ; elle est là, immuable. Si nous voulons échapper au cycle des morts et des renaissances, il faut s’engager avec dévotion au service du Seigneur. Il ne s’agit pas de faire de compromis car c’est une question de nécessité abso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