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26절

TEXT 26

원문

Tekst

빠뜨람 뿌쉬빰 팔람 또얌 patraṁ puṣpaṁ phalaṁ toyaṁ
요 메 박땨 쁘라얏차띠 yo me bhaktyā prayacchati
딷 아함 박뜌빠흐릿땀 tad ahaṁ bhakty-upahṛtam
아스나미 쁘라야따뜨마나하 aśnāmi prayatātmanaḥ
patraṁ puṣpaṁ phalaṁ toyaṁ
yo me bhaktyā prayacchati
tad ahaṁ bhakty-upahṛtam
aśnāmi prayatātmanaḥ

동의어

Synonyms

빠뜨람: 잎 하나, 뿌쉬빰: 꽃 한 송이, 팔람: 과일 하나, 또얌: 물, 야하: 누구나, 메: 나에게, 박땨: 봉헌으로, 쁘라얏차띠: 바치다, 땃: 그것, 아함: 나는, 박띠-우빠흐릿땀: 봉헌으로 바친, 아스나미: 받다, 쁘라야따-아뜨마나하: 순수한 의식을 가진 사람으로부터.

patram — lehte; puṣpam — lille; phalam — puuvilja; toyam — vett; yaḥ — igaüks; me — Mulle; bhaktyā — pühendumusega; prayacchati — pakub; tat — seda; aham — Mina; bhakti-upahṛtam — pühendumusega pakutud; aśnāmi — võtan vastu; prayata-ātmanaḥ — sellelt, kelle teadvus on puhas.

번역

Translation

나에게 사랑과 헌신으로 잎 하나, 꽃 한 송이, 과일 하나 또는 물을 바치면 나는 그것을 받아들이노라.

Kui keegi pakub Mulle armastuse ja pühendumusega lehte, lilleõiet, puuvilja või vett, siis võtan Ma selle vastu.

주석

Purport

지적인 자라면 영원한 행복을 위해 영구하고 축복으로 가득한 보금자리에 이르게 하는 끄리쉬나 의식이 되어, 주를 향한 초월적 사랑의 봉사에 종사하는 것은 필수이다. 그러한 놀라운 결과를 얻는 과정은 무척 쉬워서 어떠한 자격도 필요 없고, 불행한 자 중 가장 불행한 자조차 실천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필요한 것은 단 한 가지, 주의 순수한 헌애자가 되는 것이다. 우리가 누구든, 어떤 상황에 있든 문제 되지 않는다. 이 과정은 너무나 쉬워서 잎 하나, 과일 하나 또는 약간의 물이라도 진정한 사랑으로 지고한 주께 바칠 수 있고, 주께서는 그것을 기꺼이 받아들일 것이다. 이것은 너무나 쉽고 보편적이어서 그 누구도 끄리쉬나 의식이 되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 이렇게 쉬운 방법으로 끄리쉬나 의식이 될 수 있는데, 바로 이 영원함과 축복 그리고 지식으로 가득한 가장 높은 완성의 삶을 원치 않는 바보는 도대체 어떠한 자인가? 끄리쉬나는 오직 사랑의 봉사만을 원할 뿐 그 무엇도 원하지 않으신다. 끄리쉬나는 당신의 순수한 헌애자가 가져온 작은 꽃 한 송이조차 받아들이신다. 당신은 비헌애자가 바치는 어떠한 것도 원치 않으신다. 당신은 스스로 충만하시기에 그 누구에게서 어떠한 것도 받을 필요가 없지만 헌애자가 바치는 것은 사랑과 애정의 교환으로 받아들이신다. 끄리쉬나 의식을 발전시키는 것은 삶의 가장 높은 완성이다. 박띠, 즉 봉헌이 끄리쉬나께 다가가는 유일한 수단이라는 것을 더 강조하고자 이 구절에서 박띠가 두 번이나 언급되었다. 브라흐마나나 뛰어난 학자, 부자, 또는 위대한 철학자가 되는 등의 다른 어떠한 조건이 끄리쉬나께서 우리가 바치는 것을 더 잘 받아주시게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박띠라는 기본 원칙 없이는, 끄리쉬나께서는 그 누구에게서 어떠한 것도 받지 않으신다. 박띠는 절대 어떤 원인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다. 이 과정은 영원하다. 이것은 절대적 완전체를 섬기는 직접적 행위이다.

Arukate inimeste jaoks on äärmiselt oluline viibida Kṛṣṇa teadvuses ning teenida Jumalat transtsendentaalses armastuses, et jõuda püsivasse, õndsust täis elupaika ja elada seal igavesti ja õnnelikult. Meetod sellise imepärase tulemuse saavutamiseks on väga lihtne ning selleni jõudmist võivad üritada isegi vaesemad vaeseimatest, kellel pole mingisuguseid erilisi võimeid. Ainsaks eelduseks on Jumala puhtaks pühendunuks saamine. Ei oma mingit tähtsust, milline on inimese positsioon või millises olukorras ta viibib. See protsess on sedavõrd lihtne, et kui seda järgida siira armastusega, võib Kõigekõrgemale Jumalale pakkuda kasvõi lehte või pisut vett või puuvilja ning Jumal võtab selle rõõmuga vastu. Seega ei saa midagi takistada ükskõik kellel Kṛṣṇa teadvust arendamast, sest see protsess on sedavõrd lihtne ning universaalne. Kes oleks nii rumal, et ei tahaks jõuda Kṛṣṇa teadvuseni, järgides seda lihtsat meetodit, saavutades sedasi kõige täiuslikuma ja igavese elu täis õndsust ja teadmisi? Kṛṣṇa soovib vaid, et Teda armastusega teenitaks ja ei midagi muud. Kṛṣṇa võtab Oma puhtalt pühendunult vastu kasvõi väikese lilleõie. Mittepühendunutelt ei taha Ta ühtegi ohvrit. Kuna Ta on Iseenesest täiuslik, ei vaja Ta kelleltki midagi, kuid ometigi võtab Ta vastu ohverduse Oma pühendunult vastastikuse armastuse ja kiindumuse märgina. Kṛṣṇa teadvuse arendamine on elu ülim täiuslikkus. Selles värsis esineb sõna bhakti kahel korral, rõhutamaks, et bhakti ehk pühendunud teenimine on ainus viis Kṛṣṇale läheneda. Brāhmaṇaks, haritud õpetlaseks, äärmiselt rikkaks või suureks filosoofiks saamine ei pane Kṛṣṇat ohverdust vastu võtma. Ilma seda keskset bhakti põhimõtet järgimata pole võimalik Kṛṣṇat panna midagi vastu võtma. Bhakti ei kanna kunagi mingit tagamõtet. Bhakti protsess on igavene. See on otsene tegevus absoluutse terviku teenimiseks.

여기에서 주 끄리쉬나께서 당신이 유일한 향유자이고, 원초적 주이며 모든 희생의 진정한 대상임을 확립하시고서, 어떤 종류의 희생을 원하는지 밝히고 계신다. 자기 자신을 정화하고 삶의 궁극적 목적인 절대신을 향한 초월적 사랑의 섬김에 이르고자 주께 봉헌하기를 소망한다면 주께서 무엇을 바라시는지 알아야 한다. 우리가 진정으로 끄리쉬나를 사랑하면 당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든 바칠 것이며, 그가 원치 않는 것은 피할 것이다. 따라서 고기, 생선 그리고 알 종류는 끄리쉬나께 바쳐서는 안 된다. 만약 당신이 이러한 것을 봉헌물로 원하셨다면 그렇다고 말씀하셨을 것이다. 그러나 끄리쉬나는 분명히 잎, 과일, 꽃 그리고 물을 바쳐야 한다고 요구하시며, “내가 그것을 받아들이겠노라.”라고 하셨다. 따라서 우리는 끄리쉬나께서는 고기, 생선, 알 종류는 받아들이시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채소, 곡물, 과일, 우유와 물은 인간에게 올바른 음식이라고 끄리쉬나께서 직접 규정하셨다. 이것들 외에 우리가 먹는 것은 끄리쉬나께서 받아들이시지 않을 것이므로 바쳐서는 안 된다. 따라서 우리가 그런 음식을 바친다면 사랑과 헌신으로 행동한다고 할 수 없다.

Olles esmalt selgitanud, et Tema on kõige ainus nautija, algallikaline Jumal ning kõikide ohverduste tegelik objekt, paljastab Kṛṣṇa käesolevas värsis, milliseid ohvreid tuleb Talle tuua. Kui keegi soovib rakendada end Kõigekõrgema pühendunud teenimisse, et puhastuda ja jõuda elu eesmärgini – Jumala teenimiseni transtsendentaalses armastuses – peab ta selgeks tegema, mida Jumal temalt soovib. See, kes armastab Kṛṣṇat, annab Talle kõik, mida Kṛṣṇa tahab ning väldib millegi soovimatu või ebavajaliku ohverdamist. Seetõttu liha, kala või muna Kṛṣṇale ohverdada ei tohi. Kui Ta oleks soovinud selliseid ohverdusi, oleks Ta seda ka öelnud. Kuid Kṛṣṇa ütleb selgelt, et Ta soovib, et Talle pakutaks lehte, puuvilja, lilli ja vett, ning sellise ohvri kohta ütleb Ta: „Ma võtan selle vastu." Seetõttu peame me mõistma, et liha, kala ega mune Ta vastu ei võta. Juur-, tera-, puuviljad, piim ja vesi on inimesele sobiv toit. Jumal Kṛṣṇa on Ise inimesele sellise toitumise ette kirjutanud. Kõike muud, mida me sööme, Kṛṣṇale pakkuda ei saa, sest Ta ei võta seda vastu. Teisi toite pakkudes ei saa me seetõttu toimida armastuse ja pühendumuse tasandil.

제3장 제13절에서 스리 끄리쉬나께서 오직 제사를 거행하고 남은 음식만이 정화된 것이며, 삶의 발전을 추구하며 물질적 얽힘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들이 먹기에 적합한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바로 그 구절에서 음식을 바치지 않고 먹는 자는 단지 죄를 먹는 것이라고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신다. 다른 말로 하면, 그들이 먹는 것은 물질적 본성의 복잡함에 더 깊이 얽매이게 할 뿐이다. 그러나 간소하고 좋은 채식을 준비해 주 끄리쉬나의 사진이나 신상에 올리고, 절하고 기도하면 그러한 음식 자체가 우리 삶을 꾸준히 진보하게 하고, 몸을 정화하며 명철한 생각을 하게 하는 미세한 두뇌 조직을 생성한다. 무엇보다도, 바치는 행위는 사랑의 태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끄리쉬나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소유하시므로 어떠한 음식도 필요 없지만 이런 식으로 당신을 기쁘게 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봉헌물을 받아들이신다. 음식을 요리하고 바치고 나누어 주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끄리쉬나를 향한 사랑이다.

Kolmanda peatüki kolmeteistkümnendas värsis selgitab Śrī Kṛṣṇa, et ainult ohvrijäänused on puhastatud ning kui inimene soovib elus areneda ning vabaneda materiaalse maailma küüniste vahelt, siis on vaid see toit söömiseks kõlbulik. Samas värsis ütleb Kṛṣṇa ka seda, et need, kes toitu eelnevalt Talle ei paku, söövad üksnes pattu. Teisisõnu öeldes seob iga nende suutäis neid vaid üha tugevamalt materiaalse maailma võrku. Kuid valmistades lihtsaid ja häid taimseid toite, pakkudes neid esmalt Jumal Kṛṣṇa pildi või altari ees Kõigekõrgemale, kummardades Tema ees ja paludes Tal see tagasihoidlik ohverdus vastu võtta, areneb inimene pidevalt edasi, puhastades sedasi oma keha ning tootes aju peenkudesid, mis juhivad teda selgele mõtlemisele. Olulisim on see, et ohverdus tuleb teha armastusega. Kṛṣṇa ei vaja meie toitu, kuna kõik eksisteeriv kuulub niigi Talle, kuid ometigi võtab Ta vastu ohverduse sellelt, kes soovib Talle oma ohverdusega rõõmu valmistada. Olulisim toidu valmistamise, serveerimise ja ohverdamise juures on teha seda kõike armastusega Kṛṣṇa vastu.

절대 진리란 감각이 없다고 주장하는 비인성주의 철학자들은 바가바드 기따의 이 구절을 이해할 수 없다. 실제로, 최고인격신, 끄리쉬나는 감각을 가지고 계시며 당신의 감각 기관들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다른 말로 하면, 특정 감각이 다른 기관의 감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끄리쉬나가 절대적이라고 말하는 의미이다. 그의 감각이 절대적이 아니라면 그는 모든 면에서 전적으로 풍요롭다고 할 수 없다. 제7장에서 끄리쉬나께서는 생명체를 물질적 본성 속에 잉태시킨다고 설명하셨다. 이것은 물질적 본성을 바라보심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래서 헌애자가 음식을 바치면서 하는 사랑의 말을 끄리쉬나께서 들으시는 것은 당신이 음식을 맛보고 실제로 드시는 것과 완전히 같다. 이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당신의 절대적 위치로 당신의 청각은 당신의 미각과 완전히 일치한다. 끄리쉬나께서 당신을 묘사하시는 바대로, 곡해 없이 끄리쉬나를 받아들이는 헌애자만이 지고의 절대 진리가 음식을 먹고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Impersonalistidest filosoofid, kes püüavad väita, et Absoluutne Tõde on ilma meelteta, ei suuda seda „Bhagavad-gītā" värssi mõista. Nende jaoks on see kõik vaid kas metafoor või tõendus „Bhagavad-gītā" jutustaja, Kṛṣṇa, ilmalikust loomusest. Kuid tegelikult on ka Kṛṣṇal, Kõigekõrgemal Jumalal, meeled, ning kinnitatakse, et Tema meeled võivad oma funktsioone omavahel vahetada, ehk teisisõnu öeldes võib iga Tema meeleorgan täita ükskõik millise teise meeleorgani funktsiooni. Seda tähendab Kṛṣṇa absoluutsus. Kui Ta ei omaks meeli, oleks väga raske väita, et Ta omab täielikult kõiki jumalikke omadusi. Seitsmendas peatükis selgitab Kṛṣṇa, et Tema viljastab materiaalse maailma elusolenditega ning Ta teeb seda lihtsalt materiaalse maailma peale vaadates. Ning kui Kṛṣṇa kuuleb pühendunu armastusest lausutud ohverduspalvet, on see samamoodi täiesti võrdne sellega, kui Ta tõepoolest maitseks ja sööks pakutavat toitu. Seda seika tuleb eriti rõhutada: kui Jumala positsioon on absoluutne, siis on see, kui Ta kuuleb ohverduspalvet, täiesti samaväärne sellega kui Ta maitseks ja sööks toitu. Ainult pühendunu, kes aktsepteerib Kṛṣṇat sellisena nagu Kṛṣṇa Ise End kirjeldab, ilma igasuguste omapoolsete tõlgendusteta, suudab mõista, et Kõrgeim Absoluutne Tõde võib toitu süüa ning seda nauti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