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3절

TEXT 3

원문

Texte

스리-바가반 우바짜 śrī-bhagavān uvāca
악샤람 브라흐마 빠라맘 akṣaraṁ brahma paramaṁ
스바바보’댜뜨맘 우쨔떼 svabhāvo ’dhyātmam ucyate
부따-바볻바바-까로 bhūta-bhāvodbhava-karo
비사르가 까르마-삼기따하 visargaḥ karma-saṁjñitaḥ
śrī-bhagavān uvāca
akṣaraṁ brahma paramaṁ
svabhāvo ’dhyātmam ucyate
bhūta-bhāvodbhava-karo
visargaḥ karma-saṁjñitaḥ

동의어

Synonyms

스리-바가반 우바짜: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다, 악샤람: 파괴할 수 없는, 브라흐마: 브라흐만, 빠라맘: 초월적인, 스바바바하: 영원한 본성, 아댜뜨맘: 자아, 우쨔떼: 라고 하다, 부따-바바-욷바바-까라하: 생명체의 물질적 육신을 생성하는, 비사르가: 창조, 까르마: 결실적 행위, 삼기따하: 라고 하다.

śrī-bhagavān uvāca: Dieu, la Personne Suprême, dit; akṣaram: indestructible; brahma: Brahman; paramam: transcendantal; svabhāvaḥ: la nature éternelle; adhyātmam: le soi; ucyate: est appelé; bhūta-bhāva-udbhava-karaḥ: qui produit les corps matériels des êtres; visargaḥ: la création; karma: action intéressée; saṁjñitaḥ: est appelée.

번역

Translation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파괴될 수 없고 초월적인 생명체를 브라흐만이라고 하고, 그의 영원한 본성을 아디아뜨마(adhyātma), 자아라고 한다. 생명체가 물질적 육신을 발전시키는 데 관련된 행위를 까르마, 즉 결실적 행위라고 한다.

Le Seigneur Suprême répond: On appelle Brahman l’être spirituel impérissable et adhyātma, sa nature éternelle, le soi. On désigne par karma, ou action intéressée, les actes qui génèrent les corps successifs qu’il revêt.

주석

Purport

브라흐만은 파괴될 수 없고 영원히 존재하며 그 본질은 어떤 때에도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브라흐만을 넘어서 빠라브라흐만(Parabrahman)이 있다. 브라흐만은 생명체를 의미하고, 빠라브라흐만은 최고인격신을 의미한다. 생명체의 본원적 위치는 물질계에서 얻는 위치와 다르다. 물질적 의식 속에서 그의 본성은 사물의 주인이 되고자 하지만, 영적 의식, 즉 끄리쉬나 의식 속에서 그의 위치는 절대자를 섬기는 것이다. 생명체가 물질적 의식에 있을 때, 물질계 안에서 다양한 육신을 받아야 한다. 이것을 까르마(karma), 즉 물질적 의식의 강요로 형성된 다양한 창조라고 한다.

L’être distinct, le Brahman, est impérissable, éternel et immuable. Au-delà Se trouve le Para-brahman, Dieu, la Personne Suprême. La position fondamentale de l’être distinct diffère de celle qu’il occupe dans le monde matériel. Quand sa conscience est matérielle, sa nature le pousse à vouloir dominer la matière, mais quand sa conscience est spirituelle, fixée sur Kṛṣṇa, il retrouve sa vraie position, qui est de servir le Suprême. Quand l’être vivant est dans une conscience matérielle, il doit revêtir divers corps en ce monde. C’est ce qu’on appelle le karma, la création de toute une variété de formes par la puissance de la conscience matérielle.

베다 문헌에서 생명체는 지바뜨마(jīvātmā)와 브라흐만으로 불리지만, 빠라브라흐만으로는 절대 불리지 않는다. 생명체(지바뜨마)는 여러 위치에 있고, 때로는 어두운 물질의 본성과 하나가 되어 자기를 물질과 동일시하고, 때로는 자기를 상위의 영적 본성과 동일시한다. 그러므로 생명체를 지고한 주의 경계 에너지라고 한다. 물질적이거나 영적인 본성에 자기를 동일시함에 따라, 생명체는 물질적 또는 영적 몸을 받는다. 물질적 본성 안에 있을 때 생명체는 8,400,000종의 생명체 중 하나에서 몸을 받지만, 영적 본성 안에 있을 때는 오직 하나의 몸만을 가진다. 물질적 본성 속에서는 자기의 까르마에 따라 때로는 사람, 데바, 동물, 야수, 새 등으로 나타난다. 물질적으로 천국과 같은 행성에 이르러 그곳의 편의를 즐기고자 생명체는 때때로 제사(야갸)를 거행한다. 그러나 자기의 공덕이 다하면 인간의 형상으로 다시 지구에 돌아온다. 이 과정을 까르마라고 한다.

Les Textes védiques désignent l’être distinct sous le nom de jīvātmā ou de Brahman, mais jamais de Para-brahman. L’être distinct (jīvātmā) a la possibilité, soit de plonger au cœur de la sombre nature matérielle et de s’identifier à la matière, soit, au contraire, de s’identifier à l’énergie spirituelle supérieure. C’est pour cette raison qu’on le qualifie d’énergie marginale du Seigneur. Selon qu’il s’assimile à l’une ou l’autre de ces deux énergies, il acquiert un corps matériel ou spirituel. Dans le monde matériel, il revêt selon son karma un corps parmi les 8400000 espèces vivantes, tantôt celui d’un deva, tantôt celui d’un homme ou d’un animal – mammifère, oiseau, ou autre – alors que dans le monde spirituel, il conserve une forme unique.

L’homme peut, par des sacrifices (yajñas), atteindre les planètes édéniques et jouir des plaisirs qui y abondent, mais une fois ses mérites épuisés, il retrouvera sur terre un corps d’homme. C’est aussi ce qu’on appelle le karma.

찬도갸 우빠니샤드는 베다의 제사 절차를 설명한다. 제단의 다섯 가지 불 속에 다섯 가지 봉헌물을 바친다. 다섯 종류의 불은 천상의 행성들, 구름, 지구, 남자와 여자로 여겨지며 다섯 가지의 봉헌물은 믿음, 달의 향유자, 비, 곡식 그리고 정액이다.

La Chāndogya Upaniṣad décrit comment l’on procède à ces sacrifices. Les cinq feux de l’autel sacrificiel sont les planètes édéniques, les nuages, la terre, l’homme et la femme, et les cinq types d’offrandes qui leur sont faites à chacun sont respectivement la foi, les plaisirs que l’on goûte sur la lune, la pluie, les céréales et la semence de l’homme.

제사 과정에서 생명체는 특정한 천상의 행성에 이르고자 특정한 제사를 지내고, 결과적으로 그곳에 도달한다. 제사의 공덕이 다하면, 생명체는 비의 형태로 지상에 내려오고, 그다음 곡식의 형태를 갖고, 그 곡식이 인간에게 섭취되어 정액으로 변하며, 그 정액이 여자의 몸에 들어가고, 결국 생명체는 또다시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인간의 몸을 얻으며, 같은 순환을 반복한다. 이렇게 생명체는 영원히 물질적 과정에서 오고 간다. 그러나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그러한 제사를 피한다. 그는 바로 끄리쉬나 의식을 시작해서 절대신의 보금자리에 돌아갈 준비를 한다.

L’être vivant accomplit des sacrifices particuliers dans le but d’atteindre telle ou telle planète édénique. Une fois révolus les mérites ainsi acquis, il descend dans une goutte d’eau de pluie, puis est transféré dans une graine de céréale, laquelle, mangée par un homme, est transformée en sperme; cette semence féconde une femme, qui lui donne de nouveau un corps humain pour qu’il accomplisse des sacrifices, et le cycle recommence. L’être conditionné peut aller et venir ainsi perpétuellement. Le dévot, lui, évite de sacrifier aux devas; il adopte directement la conscience de Kṛṣṇa et prépare ainsi son retour à Dieu.

비인성주의자들의 바가바드 기따 논평은 브라흐만이 물질계에서 지바의 형태를 한다는 불합리한 추정을 하고 이것을 실증하려고 기따의 제15장 제7절을 인용한다. 그러나 이 절에서도 주께서는 역시 생명체를 “나의 영원한 입자”라고 말씀하신다. 절대신의 입자, 생명체는 물질계로 떨어지지만, 지고한 주(아쮸따 Acyuta)는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고의 브라흐만이 지바의 형태를 한다는 이러한 추정은 인정될 수 없다. 베다의 문헌에서 브라흐만(생명체)은 빠라브라흐만(지고한 주)과 구분된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Les commentateurs impersonnalistes de la Bhagavad-gītā présument fort déraisonnablement que le Brahman Suprême emprunte la forme d’un jīva lorsqu’Il descend dans l’univers matériel. Ils s’appuient, pour étayer leur thèse, sur le septième verset du chapitre quinze. Or, ce verset décrit bien au contraire les êtres distincts comme des fragments éternels du Seigneur; et s’ils peuvent en effet tomber dans l’univers matériel, jamais le Seigneur Suprême (Acyuta) ne choit. Leur assertion n’a donc aucun fondement. Il est important de garder à l’esprit la distinction que font les Écritures entre le Brahman (l’être distinct) et le Para-brahman (le Seigneur Suprê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