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30절

TEXT 30

원문

Texte

요 맘 빠샤띠 사르바뜨라 yo māṁ paśyati sarvatra
사르밤 짜 마이 빠샤띠 sarvaṁ ca mayi paśyati
따샤함 나 쁘라나샤미 tasyāhaṁ na praṇ aśyāmi
사 짜 메 나 쁘라나샤띠 sa ca me na praṇaśyati
yo māṁ paśyati sarvatra
sarvaṁ ca mayi paśyati
tasyāhaṁ na praṇaśyāmi
sa ca me na praṇaśyati

동의어

Synonyms

야하: 누구든지, 맘: 나를, 빠샤띠: 보다, 사르바뜨라: 어디에서든, 사르밤: 모든 것, 짜: 그리고, 마이: 내 안에, 빠샤띠: 보다, 따샤: 그에게, 아함: 나, 나: 아닌, 쁘라나샤미: 사라진, 사하: 그는, 짜: 또한, 메: 나에게, 나: 아닌, 쁘라나샤띠: 사라진.

yaḥ: quiconque; mām: Moi; paśyati: voit; sarvatra: partout; sarvam: tout; ca: et; mayi: en Moi; paśyati: voit; tasya: pour lui; aham: Je; na: ne pas; praṇaśyāmi: suis perdu; saḥ: il; ca: aussi; me: pour Moi; na: non plus; praṇaśyati: est perdu.

번역

Translation

모든 곳에서 나를 보고 나 안에서 모든 것을 보는 자는 나를 절대 잃지 않으며, 나 또한 그를 잃지 않는다.

Qui Me voit partout et voit tout en Moi n’est jamais séparé de Moi, comme jamais non plus Je ne suis séparé de lui.

주석

Purport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분명 모든 곳에서 주 끄리쉬나를 보며, 또한 끄리쉬나 안에서 모든 것을 본다. 그는 물질적 본성의 갖가지 현상을 보고 있을지라도, 모든 것이 끄리쉬나의 에너지가 나타나는 것임을 알기에 항상 끄리쉬나를 생각한다. 끄리쉬나 없이는 어떠한 것도 존재할 수 없으며 끄리쉬나가 모든 것의 주인이다. 이것이 끄리쉬나 의식의 기본 원칙이다. 끄리쉬나 의식은 끄리쉬나를 향한 사랑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물질적 해방을 넘어서는 위치이다. 자아 인식을 넘어선 이러한 끄리쉬나 의식으로 헌애자는 끄리쉬나와 하나가 되는데, 이것은 끄리쉬나가 헌애자에게 전부이며 헌애자가 끄리쉬나를 완전히 사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주와 헌애자의 친밀한 관계가 형성된다. 그 상태에서 생명체는 절대 멸하지 않으며, 최고인격신은 헌애자의 눈에서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끄리쉬나와 합쳐지는 것은 영적 전멸이다. 헌애자는 그러한 위험을 무릅쓰지 않는다. 브라흐마 삼히따(5.38)가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

Le dévot voit Kṛṣṇa en tout, mais il voit également tout en Kṛṣṇa. De prime abord, il peut sembler que le dévot observe simplement diverses manifestations matérielles, mais en vérité il est en leur présence toujours conscient de Kṛṣṇa, car il sait que tout est la manifestation de Son énergie. Le principe fondamental de la conscience de Kṛṣṇa est que Kṛṣṇa est le Seigneur de tout ce qui est, et que rien ne peut exister sans Lui. Être conscient de Kṛṣṇa, c’est développer l’amour divin en soi, c’est connaître cet état de conscience qui transcende même la libération. À ce stade, qui dépasse la simple prise de conscience du soi, le dévot ne fait plus qu’un avec Kṛṣṇa, en ce sens que le Seigneur est devenu tout pour lui et qu’il ressent la plénitude de l’amour de Dieu. Une relation intime s’établit ainsi entre le Seigneur et Son dévot. Ce niveau atteint, il ne va ni se fondre en Dieu, ni perdre de vue la Personne Suprême. En effet, fusionner avec Dieu équivaut à anéantir sa personnalité spirituelle, ce que le dévot ne veut pas. La Brahma-saṁhitā (5.38) enseigne à ce propos:

쁘레만자나-추리따-박띠-빌로짜네나 premāñjana-cchurita-bhakti-vilocanena
산따 사다이바 흐리다예슈 빌로까얀띠 santaḥ sadaiva hṛdayeṣu vilokayanti
얌 샤마순다람 아찐땨-구나-스바루빰 yaṁ śyāmasundaram acintya-guṇa-svarūpaṁ
고빈담 아디-뿌루샴 땀 아함 바자미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premāñjana-cchurita-bhakti-vilocanena
santaḥ sadaiva hṛdayeṣu vilokayanti
yaṁ śyāmasundaram acintya-guṇa-svarūpaṁ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저는 원초적 주, 고빈다를 숭배합니다. 사랑의 연고가 발린 눈을 가진 헌애자는 항상 당신을 바라봅니다. 헌애자의 가슴에 계신 당신은 영원한 형상 샤마순다라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 J’adore Govinda, le Seigneur originel. C’est Lui, dans Sa forme éternelle de Śyāmasundara, que voient au fond de leur cœur les dévots dont les yeux sont empreints du baume de l’amour. »

이러한 경지에 있는 헌애자의 눈에서 주 끄리쉬나는 절대 사라지지 않으며 한순간의 놓침도 없이 주를 본다. 가슴속에서 주를 빠람아뜨마로 보는 요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요기는 순수한 헌애자로 변모해 단 한시라도 자기 안에서 주를 보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Une fois ce stade atteint, Kṛṣṇa ne Se dérobe jamais à la vue de Son dévot, pas plus que ce dernier ne Le quitte des yeux. Il en est de même pour le yogī qui s’attache, par sa vision interne, à la forme du Paramātmā. Il devient un pur dévot et ne peut supporter de vivre un seul instant sans voir Dieu dans son cœ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