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3절

TEXT 3

원문

Texte

아루룩쇼르 무네료감 ārurukṣor muner yogaṁ
까르마 까라남 우쨔떼 karma kāraṇam ucyate
요가루다샤 따샤이바 yogārūḍhasya tasyaiva
샤마 까라남 우쨔떼 śamaḥ kāraṇam ucyate
ārurukṣor muner yogaṁ
karma kāraṇam ucyate
yogārūḍhasya tasyaiva
śamaḥ kāraṇam ucyate

동의어

Synonyms

아루룩쇼호: 요가를 막 시작한, 무네: 성인의, 요감: 여덟 단계의 요가 체계, 까르마: 일, 까라남: 수단, 우쨔떼: 일컬어진다, 요가: 여덟 단계의 요가, 아루다샤: 달성한 사람의, 따샤: 그의, 에바: 분명히, 샤마하: 모든 물질적 행위의 중단, 까라남: 수단, 우쨔떼: 일컬어진다.

ārurukṣoḥ: pour qui vient tout juste d’adopter la pratique du yoga; muneḥ: pour le sage; yogam: le yoga en huit phases; karma: l’action; kāraṇam: le moyen; ucyate: est dit être; yoga: au yoga en huit phases; ārūḍhasya: pour celui qui est parvenu; tasya: sa; eva: certes; śamaḥ: la cessation des activités matérielles; kāraṇam: le moyen; ucyate: est dit être.

번역

Translation

여덟 단계 요가의 초심자에게는 행위가 그 수단이지만, 이미 요가의 높은 경지에 이른 자에게는 모든 물질적 행위의 중단이 그 수단이 되느니라.

C’est par l’action que progresse le néophyte qui emprunte la voie du yoga en huit phases, alors que c’est en renonçant aux actes matériels que s’élève le yogī avancé.

주석

Purport

자기를 절대자와 연결하는 과정을 요가라고 한다. 이는 최고의 영적 깨달음에 오르기 위한 사다리에 비유될 수 있다. 이 사다리는 생명체의 가장 낮은 물질적 상태에서 시작하여 순수한 영적 삶의 완벽한 깨달음에까지 이른다. 다양한 수준에 따라 사다리의 여러 부분을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사다리 전체를 요가라고 하고, 이것은 갸나 요가(jñāna-yoga), 댜나 요가(dhyāna-yoga), 그리고 박띠 요가(bhakti-yoga)의 세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사다리의 시작을 요가루룩슈(yogārurukṣu) 단계라고 하고, 가장 높은 단계는 요가루다(yogārūḍha)라고 한다.

Le mot yoga désigne le processus qui nous permet de nous unir au Suprême. Il consiste en une série de pratiques échelonnées menant à la plus haute réalisation spirituelle. Emprunter l’échelle du yoga, c’est aller de la condition matérielle la plus basse jusqu’à la plus parfaite réalisation de soi. Les diverses pratiques, qui correspondent à différents échelons, peuvent être classées en trois groupes: le jñāna-yoga, le dhyāna-yoga et le bhakti-yoga. L’échelle entière s’appelle yoga. Le bas de l’échelle est le niveau yogārurukṣu et son sommet le yogārūḍha.

여덟 단계의 요가 체계에 관해 보면, 시작 단계에는 삶의 규정 원칙과 여러 앉는 (체조와 다름없는) 자세를 수련함으로써 명상에 들어가려고 하는데, 이는 결과 지향적 물질적 행위로 여겨진다. 그러한 행위는 감각을 다스려서 완전한 정신적 평온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명상 수행의 완성을 이룬 사람은 방해하는 정신 활동을 모두 멈춘다.

Les premières étapes de l’aṣṭāṅga-yoga, où l’on médite en suivant des principes régulateurs et en pratiquant diverses postures (qui sont de simples exercices physiques), sont encore du domaine des activités intéressées. Ces pratiques donnent l’équilibre mental indispensable à la maîtrise des sens, et une fois que le yogī est fixe dans sa méditation, aucune pensée extérieure ne vient plus l’en détourner.

그러나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항상 끄리쉬나를 생각하므로 처음부터 바로 명상의 단계에 있다. 그리고 항상 끄리쉬나를 섬기므로 모든 물질적 행위를 그만둔 것으로 간주된다.

Toutefois, en vertu de son absorption en Dieu, une personne consciente de Kṛṣṇa se situe d’emblée au stade de la méditation. Ses actes ne sont pas matériels puisqu’ils sont toujours accomplis dans le cadre du service div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