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13~14절

TEXTS 13-14

원문

Text

사맘 까야-시로-그리밤 samaṁ kāya-śiro-grīvaṁ
다라얀 아짤람 스티라하dhārayann acalaṁ sthiraḥ
삼쁘렉샤 나시까그람 스밤 samprekṣya nāsikāgraṁ svaṁ
디샤스 짜나발로까얀diśaś cānavalokayan
samaṁ kāya-śiro-grīvaṁ
dhārayann acalaṁ sthiraḥ
samprekṣya nāsikāgraṁ svaṁ
diśaś cānavalokayan
쁘라샨따뜨마 비가따-비르 praśāntātmā vigata-bhīr
브라흐마짜리-브라떼 스티따하 brahmacāri-vrate sthitaḥ
마나 삼얌야 맛찟또 manaḥ saṁyamya mac-citto
육따 아시따 맛-빠라하 yukta āsīta mat-paraḥ
praśāntātmā vigata-bhīr
brahmacāri-vrate sthitaḥ
manaḥ saṁyamya mac-citto
yukta āsīta mat-paraḥ

동의어

Synonyms

사맘: 곧바른, 까야: 몸, 시라하: 머리, 그리밤: 그리고 목, 다라얀: 지탱하다, 아짤람: 움직이지 않고, 스티라하: 가만히, 삼쁘렉샤: 바라보는, 나시까: 코, 아그람: 끝에, 스밤: 자신의, 디샤하: 모든 면에서, 짜: 또한, 아나발로까얀: 보지 않고, 쁘라샨따: 동요 없이, 아뜨마: 마음, 비가따-비히: 두려움이 없는, 브라흐마짜리-브라떼: 독신의 맹세, 스티따하: 위치한, 마나하: 마음, 삼얌야: 완전히 억제하고, 맛: 나에게(끄리쉬나), 찟따하: 마음을 집중하는, 육따하: 실제 요기, 아시따: 앉아야 한다, 맛: 나에게, 빠라하: 궁극적 목표.

samam — straight; kāya — body; śiraḥ — head; grīvam — and neck; dhārayan — holding; acalam — unmoving; sthiraḥ — still; samprekṣya — looking; nāsikā — of the nose; agram — at the tip; svam — own; diśaḥ — on all sides; ca — also; anavalokayan — not looking; praśānta — unagitated; ātmā — mind; vigata-bhīḥ — devoid of fear; brahmacāri-vrate — in the vow of celibacy; sthitaḥ — situated; manaḥ — mind; saṁyamya — completely subduing; mat — upon Me (Kṛṣṇa); cittaḥ — concentrating the mind; yuktaḥ — the actual yogī; āsīta — should sit; mat — Me; paraḥ — the ultimate goal.

번역

Translation

몸과 목, 그리고 머리를 곧게 세우고 가만히 코끝을 바라보아야 한다. 그렇게 어떠한 동요 없이 가라앉은 마음으로 두려움을 없애고 성생활을 완전히 끊고, 네 가슴속에 있는 나를 명상하며, 나를 삶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아야 하느니라.

One should hold one’s body, neck and head erect in a straight line and stare steadily at the tip of the nose. Thus, with an unagitated, subdued mind, devoid of fear, completely free from sex life, one should meditate upon Me within the heart and make Me the ultimate goal of life.

주석

Purport

삶의 목적은 빠람아뜨마로 모든 생명체의 가슴속에 자리하고 있는, 네 팔을 한 비쉬누의 형상인 끄리쉬나를 아는 것이다. 요가 과정은 국부적 형상의 비쉬누를 찾기 위한 것이지 다른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다. 국부적 비쉬누 무르띠(viṣṇu-mūrti)는 우리 가슴속에 계시는 끄리쉬나의 완전한 모습이 표상화된 것이다. 이 비쉬누 무르띠를 깨달으려는 계획이 없는 자는 쓸데없이 가짜 요가 수행을 하는 것이며 분명 시간만 낭비하는 것이다. 끄리쉬나는 우리 삶의 궁극적 목적이며, 우리 가슴속에 계시는 비쉬누 무르띠는 요가 수행의 대상이다. 가슴속의 이 비쉬누 무르띠를 깨달으려면 성생활을 완전히 끊어야 한다. 집이나 다른 곳에서 성생활을 매일 즐기면서, 소위 요가 강좌에 참가한다고 요기가 되는 것이 아니다. 마음을 통제하고 모든 종류의 감각 만족에서 최고인 성생활을 비롯해 모든 감각 만족을 피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위대한 성인 야갸발꺄(Yājñavalkya)가 금욕의 규칙에 관해 다음과 같이 썼다.

The goal of life is to know Kṛṣṇa, who is situated within the heart of every living being as Paramātmā, the four-handed Viṣṇu form. The yoga process is practiced in order to discover and see this localized form of Viṣṇu, and not for any other purpose. The localized viṣṇu-mūrti is the plenary representation of Kṛṣṇa dwelling within one’s heart. One who has no program to realize this viṣṇu-mūrti is uselessly engaged in mock yoga practice and is certainly wasting his time. Kṛṣṇa is the ultimate goal of life, and the viṣṇu-mūrti situated in one’s heart is the object of yoga practice. To realize this viṣṇu-mūrti within the heart, one has to observe complete abstinence from sex life; therefore one has to leave home and live alone in a secluded place, remaining seated as mentioned above. One cannot enjoy sex life daily at home or elsewhere and attend a so-called yoga class and thus become a yogī. One has to practice controlling the mind and avoiding all kinds of sense gratification, of which sex life is the chief. In the rules of celibacy written by the great sage Yājñavalkya it is said:

까르마나 마나사 바짜 karmaṇā manasā vācā
사르바바스타수 사르바다 sarvāvasthāsu sarvadā
사르바뜨라 마이투나-띠아고 sarvatra maithuna-tyāgo
브라흐마짜리암 쁘라짝샤떼 brahmacaryaṁ pracakṣate
karmaṇā manasā vācā
sarvāvasthāsu sarvadā
sarvatra maithuna-tyāgo
brahmacaryaṁ pracakṣate

“브라흐마짜리아 맹세는 언제나, 어디서나, 어떠한 상황에서도 행위, 말, 그리고 마음으로 성생활에 탐닉하는 것을 완전히 끊는 데 도움이 되려고 하는 것이다.” 성생활에 탐닉하면 그 누구도 올바른 요가 수행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브라흐마짜리아는 성생활에 대한 개념이 없는 어린 시절에 가르쳐야 한다. 다섯 살에 아이들은 구루-꿀라(guru-kula)나 영적 스승의 집에 보내져 스승에게서 브라흐마짜리가 되는 엄격한 훈육을 받아야 한다. 그러한 수행 없이는 댜나, 갸나, 혹은 박띠 등 어떠한 요가에서도 발전할 수 없다. 그러나 결혼 생활의 규칙과 규정을 지키며 오직 자기 부인과만 성관계를 하면(이것 또한 규정에 따라) 이러한 사람들도 브라흐마짜리라고 부른다. 이렇게 절제된 가정인 브라흐마짜리들은 박띠 학파에서는 인정되지만, 갸나와 댜나 학파는 가정인 브라흐마짜리를 허락조차 하지 않는다. 그들은 어떠한 절충안도 없이 완전한 금기를 요구한다. 박띠 학파에서 가정인 브라흐마짜리들에게 절제된 성생활을 허락하는 이유는 박띠 요가의 과정은 너무나 강력해 성적 유혹을 자연스럽게 버리고 주를 향한 드높은 봉사에 종사하게 되기 때문이다. 바가바드 기따(2.59)에서 말하기를,

“The vow of brahmacarya is meant to help one completely abstain from sex indulgence in work, words and mind – at all times, under all circumstances and in all places.” No one can perform correct yoga practice through sex indulgence. Brahmacarya is taught, therefore, from childhood, when one has no knowledge of sex life. Children at the age of five are sent to the guru-kula, or the place of the spiritual master, and the master trains the young boys in the strict discipline of becoming brahmacārīs. Without such practice, no one can make advancement in any yoga, whether it be dhyāna, jñāna or bhakti. One who, however, follows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married life, having a sexual relationship only with his wife (and that also under regulation), is also called a brahmacārī. Such a restrained householder brahmacārī may be accepted in the bhakti school, but the jñāna and dhyāna schools do not even admit householder brahmacārīs. They require complete abstinence without compromise. In the bhakti school, a householder brahmacārī is allowed controlled sex life because the cult of bhakti-yoga is so powerful that one automatically loses sexual attraction, being engaged in the superior service of the Lord. In the Bhagavad-gītā (2.59) it is said:

비샤야 비니바르딴떼 viṣayā vinivartante
니라하라샤 데히나하 nirāhārasya dehinaḥ
라사-바르잠 라소’뺘샤 rasa-varjaṁ raso ’py asya 
빠람 드리쉬뜨바 니바르따떼 paraṁ dṛṣṭvā nivartate
viṣayā vinivartante
nirāhārasya dehinaḥ
rasa-varjaṁ raso ’py asya
paraṁ dṛṣṭvā nivartate

주의 헌애자들은 고차원의 맛을 알고 있어 저절로 감각 만족을 그만두지만, 다른 사람들은 강제로 억제해야만 한다. 헌애자를 제외한 그 누구도 고차원의 맛에 관한 정보가 없다.

Whereas others are forced to restrain themselves from sense gratification, a devotee of the Lord automatically refrains because of superior taste. Other than the devotee, no one has any information of that superior taste.

“비가따-비히(Vigata-bhīḥ).” 완전히 끄리쉬나 의식이 되지 않는 한 두려움을 없앨 수 없다. 속박된 영혼은 왜곡된 기억, 즉 자기와 끄리쉬나와의 영원한 관계를 망각함으로써 두려움을 갖게 된다. 바가바땀(11.2.37)에서 “바얌 드비띠야비니베샤따 샫 이샫 아뻬따샤 비빠랴요’스므리띠히(bhayaṁ dvitīyābhiniveśataḥ syād īśād apetasya viparyayo ’smṛtiḥ)”라고 말한다. 끄리쉬나 의식이야말로 두려움을 없애는 유일한 기반이다. 그러므로 완벽한 수행은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에게만 가능하다. 요가 수행의 궁극적 목적은 가슴속에 자리하신 끄리쉬나를 보는 것이므로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은 이미 모든 요기 중 최고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언급된 요가 체계의 원칙은 소위 인기 위주 요가 강좌와는 다른 것이다.

Vigata-bhīḥ. One cannot be fearless unless one is fully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 conditioned soul is fearful due to his perverted memory, his forgetfulness of his eternal relationship with Kṛṣṇa. The Bhāgavatam (11.2.37) says, bhayaṁ dvitīyābhiniveśataḥ syād īśād apetasya viparyayo ’smṛtiḥ.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the only basis for fearlessness. Therefore, perfect practice is possible for a person who is Kṛṣṇa conscious. And since the ultimate goal of yoga practice is to see the Lord within, a Kṛṣṇa conscious person is already the best of all yogīs. The principles of the yoga system mentioned herei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opular so-called yoga soc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