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2장

ANTRAS SKYRIUS

기따 내용의 요약

Gītos turinio apžvalga

제1절:
산자야가 말했다: 동정심에 마음이 비탄에 잠기고 눈에는 눈물이 가득 고인 아르주나를 보고서, 마두수다나 끄리쉬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TEXT 1:
Sañjaya tarė: Matydamas gailesčio apimtą, labai prislėgtą Arjuną, jo pilnas ašarų akis, Madhusūdana, Kṛṣṇa, ištarė tokius žodžius.
제2절: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내 소중한 아르주나여, 어떻게 이런 불순함이 너에게 깃들었는가? 삶의 가치를 아는 자에게 불순함은 전혀 어울리지 않느니라. 그런 것들이 너를 더 높은 행성이 아닌 불명예로 이끌 것이다.
TEXT 2:
Aukščiausiasis Dievo Asmuo tarė: Mano brangusis Arjuna, kaip galėjo tave apnikti tos nešvarios mintys? Nepritinka jos tam, kuris žino gyvenimo vertę. Ne į aukštesnes planetas, o į nešlovę jos veda.
 
제 3 절:
오 쁘리타의 아들이여, 이 저급한 무능함에 굴하지 말아라. 이것은 네게 어울리지 않는다. 그런 하찮은 심약함을 버리고 일어서라, 오 적을 벌하는 자여.
TEXT 3:
O Pṛthos sūnau, nepasiduoki žeminančiai negaliai. Ji tau nepritinka. Nugalėk šį širdies silpnumą ir pakilk, o priešų baudėjau.
제4절:
아르주나가 말했습니다: 오 적을 죽이는 분이시여, 오 마두를 죽인 분이시여, 제가 숭배해야 마땅할 비쉬마와 드로나 같은 분들을 어떻게 전쟁에서 활로 맞쏠수 있겠습니까?
TEXT 4:
Arjuna tarė: O priešų naikintojau, o Madhu žudike, kaip aš galiu mūšyje strėlėmis atsakyti Bhīṣmai ir Droṇai – tiems, kuriuos turėčiau garbinti?
제5절:
위대한 영혼인 제 스승들의 목숨을 대가로 살아가기보다는 차라리 구걸로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비록 그들이 세속적 이득을 보려 하더라도 그들은 제 윗사람들입니다. 그들이 살해되면 우리가 즐기는 모든 것이 피로 물들게 될 것입니다.
TEXT 5:
Geriau elgetaujant stumti dienas šiame pasaulyje, negu gyventi didžiųjų sielų – savo mokytojų gyvybės kaina. Nors juos užvaldęs žemiškas godulys, bet jie vyresnieji. Jeigu jie žus, viskas, kuo mėgausimės, bus sutepta krauju.
제6절:
그들을 정복하는 것과 그들에게 정복당하는 것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나은지 우리는 알지 못합니다. 우리가 드리따라쉬뜨라의 아들을 모두 죽인다면 우리 또한 살기를 바라면 안 됩니다. 그런데 이들이 지금 전쟁터에서 바로 우리 앞에 서 있습니다.
TEXT 6:
Dar nežinia, kas geriau: ar nugalėti juos, ar patiems pralaimėti. Jeigu išžudytume Dhṛtarāṣṭros sūnus, mūsų gyvenimas nebetektų prasmės. O juk tai jie dabar stovi prieš mus kautynių lauke.
제7절:
구두쇠 같은 나약함 때문에 이제 저는 제 의무에 관해 혼란스럽습니다. 이 상황에서 제가 어떻게 해야 가장 좋을지 말씀해 주시기를 당신께 간청합니다. 이제 저는 당신의 제자이며 당신께 완전히 항복한 영혼입니다. 제발 저를 가르쳐 주소서.
TEXT 7:
Dėl apgailėtino silpnumo visai praradęs savitvardą, aš nebesuprantu savo pareigos. Todėl aiškiai sakyk, kas man visų geriausia? Nuo šiol, aš – Tavo mokinys, Tau patikėjęs savo sielą. Malonėk pamokyti mane.
제8절:
제 감각을 타들어 가게 하는 이 비탄을 몰아낼 방도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천국의 신들이 가진 권력과 비교할 바 없이 번영하는 왕국을 지상에서 얻는다고 하더라도 저는 이 비탄을 없앨 수 없을 것입니다.
TEXT 8:
Neišmanau, kaip numaldyti jusles džiovinančią širdgėlą. Ji nenuslops, net jeigu laimėčiau klestinčią, žemėje neturinčią sau lygių karalystę su pačia aukščiausia valdžia, kokią pusdieviai turi danguje.
제9절:
산자야가 말했다: 이렇게 말한 후, 적을 벌하는 자, 아르주나가 끄리쉬나께 “고빈다여! 저는 싸우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한 다음 침묵했습니다.
TEXT 9:
Sañjaya tarė: Pasakęs šiuos žodžius, Arjuna, priešų baudėjas, tarė Kṛṣṇai – „Govinda, aš nesikausiu“, ir nutilo.
제10절: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바로 그때 끄리쉬나께서 양쪽 군대의 한 가운데에서 비탄에 빠진 아르주나에게 미소를 지으며 다음과 같은 말씀을 하셨습니다.
TEXT 10:
O Bharatos aini, tuomet Kṛṣṇa, stovėdamas abiejų kariuomenių viduryje, šypsodamasis taip tarė sielvarto palaužtam Arjunai.
제11절: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유식한 말을 하고 있지만 너는 비탄할 가치가 없는 것을 두고 애통해하고 있구나. 현명한 자는 산 자를 위해서도, 죽은 자를 위해서도 슬퍼하지 않는다.
TEXT 11:
Aukščiausiasis Dievo Asmuo tarė: Protingi tavo žodžiai, tiktai kremtiesi tu dėl to, dėl ko sielvartauti neverta. Išmintingieji neaprauda nei gyvųjų, nei mirusiųjų.
제12절:
나와 너, 그리고 여기 모인 모든 왕이 존재하지 않았던 때는 없었고 미래에 우리 중 그 누구도 존재가 멈추지 않을 것이다.
TEXT 12:
Niekada nebuvo taip, kad neegzistuočiau Aš, tu ir visi šie karaliai, ir niekad nebus taip, kad mes nustosime buvę.
제13절:
육체에 갇힌 영혼이 어린 시절에서 청년기, 노년기로 계속 지나는 것처럼 죽음의 순간, 영혼은 다른 육체로 옮겨간다. 분별 있는 자는 이러한 변화에 당황해하지 않는다.
TEXT 13:
Kaip įkūnytoji siela, būdama dar šiame kūne, visą laiką keliauja iš vaikystės į jaunystę ir senatvę, taip ir po mirties ji pereina į naują kūną. Tokie pokyčiai blaiviai mąstančio žmogaus neklaidina.
제14절:
오 꾼띠의 아들이여, 영원하지 않은 행복과 불행의 교차는 여름과 겨울의 계절이 오고 가는 것과 같다.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행복과 불행은 감각의 인식에서 생기므로 그에 좌우되지 말고 참는 법을 배워야 한다.
TEXT 14:
O Kuntī sūnau, laimė ir kančia, kaip žiema ir vasara, trumpam ateina ir vėl praeina. Šiuos pojūčius sukelia juslinis patyrimas, o Bharatos aini, ir reikia mokytis netrikdomam juos pakęsti.
제15절:
오 최고의 인간이여(아르주나), 행복과 불행에 흔들림 없이 한결같은 자는 분명 해방을 얻을 자격이 있다.
TEXT 15:
O geriausias tarp žmonių [Arjuna], tas, kurio netrikdo laimė ir kančia, kuris išlieka tvirtas jas patyręs – iš tikro vertas išsivaduoti.
제16절:
진리를 꿰뚫어 보는 사람들은 영원하지 않은 것(물질적 육신)은 내구성이 없고, 영원한 것(영혼)은 변화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그들은 이 둘의 본성을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결론을 내린 것이다.
TEXT 16:
Regintieji tiesą priėjo išvadą, kad tai, kas neegzistuoja [materialus kūnas] – nepastovu, o tai, kas amžina [siela] – nekinta. Šią išvadą jie padarė ištyrinėję abiejų reiškinių esmę.
제17절:
몸 전체에 퍼져 있는 이것은 결코 파괴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소멸하지 않는 영혼을 그 누구도 파괴할 수 없다.
TEXT 17:
Žinok, jog tai, kas persmelkia visą kūną – nesunaikinama. Niekas negali sunaikinti amžinosios sielos.
제18절:
파괴될 수 없고 측정 불가하며 영원한 생명체의 물질적 육신은 반드시 소멸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일어나 싸워라,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TEXT 18:
Nesunaikinamos, neišmatuojamos ir amžinos gyvosios esybės materialus kūnas pasmerktas žūti, todėl kovok, o Bharatos aini.
제19절:
생명은 죽일 수도 없고 죽지도 않기에 생명체를 죽인다고 생각하거나 생명체가 죽는다고 생각하는 자 모두 지식이 없는 자이다.
TEXT 19:
Žinojimo neturi nei tas, kuris mano, jog gyvoji esybė gali ką nors nužudyti, nei tas, kuris mano, kad ji pati gali būti nužudyta – nes „aš“ nei žudo, nei pats žūva.
제20절:
어느 때에도 영혼에게 생과 사란 존재하지 않는다. 영혼은 과거에 태어난 것이 아니며, 현재에 태어나는 것 또한 아니며, 미래에 태어나지도 않을 것이다. 그것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하고, 항상 존재하며 원초적이다. 육신이 살해될 때 영혼은 절대 살해되지 않는다.
TEXT 20:
Siela niekada negimsta ir nemiršta. Ji neatsirado praeityje, neatsiranda dabar ir neatsiras ateityje. Ji – negimusi, amžina, visad esanti, seniausia. Ji nežūva nužudžius kūną.
제21절:
오 빠르타여, 영혼은 파괴될 수 없고 영원하며 태어나지 않고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자가 어떻게 누구를 죽일 수 있으며, 또 누구를 죽게 할 수 있단 말인가?
TEXT 21:
O Pārtha, kaip gali žmogus, suprantantis, kad siela nesunaikinama, amžina, negimusi ir nekintama, ką nors nužudyti arba priversti žudyti?
제22절:
헌 옷을 버리고 새 옷을 입듯이 영혼은 늙고 쓸모없는 육신을 버리고 새로운 육신을 얻는다.
TEXT 22:
Kaip žmogus užsivelka naujus drabužius, nusimetęs sudėvėtus, taip ir siela gauna naujus materialius kūnus, palikusi senus ir nebenaudingus.
제23절:
영혼은 어떠한 무기로도 조각낼 수 없고 불에 타지도 않을뿐더러 물에 젖지도, 바람에 시들지도 않는다.
TEXT 23:
Sielos negali sukapoti į dalis joks ginklas, negali sudeginti ugnis, permerkti vanduo, išdžiovinti vėjas.
제24절:
이 개별 영혼은 부서지지 않고 녹지 않으며 타지도, 마르지도 않는다. 영혼은 영원하고 모든 곳에 존재하며 변하지 않고 움직이지 않으며 영원히 똑같다.
TEXT 24:
Ši individuali siela yra nedaloma ir netirpi, neįmanoma jos nei sudeginti, nei išdžiovinti. Ji amžina, visur esanti, pastovi, nepajudinama, amžinai ta pati.
제25절:
영혼은 보이지 않고 상상 불가하며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너는 이것을 잘 이해하여 육신을 두고 비통해하지 말아라.
TEXT 25:
Pasakyta, kad siela nematoma, nesuvokiama ir nekintama. Tai žinant, nederėtų sielotis dėl kūno.
제26절:
설령 영혼(생명의 징후)이 항상 태어나고 죽는다고 생각하더라도 네가 슬퍼할 이유는 없다. 오 강력히 무장한 자여.
TEXT 26:
Tačiau jeigu tu, o tvirtaranki, vis dėlto manai, kad siela [ar gyvybės požymiai] vis gims ir mirs amžiams, vis tiek nėra dėl ko sielvartauti.
제27절:
태어난 자는 반드시 죽기 마련이며 죽은 다음에는 분명 다시 태어난다. 그러므로 피할 수 없는 네 의무를 수행하는 것을 두고 슬퍼하지 말아라.
TEXT 27:
Kas gimė, tas tikrai numirs, o po mirties jis būtinai vėl atgims. Todėl nesielvartauk ir vykdyk savo pareigą – jos neišvengsi.
제28절:
창조된 모든 것은 태초에는 발현되지 않은 상태에 있었으나 중간에 발현했다가 소멸의 시기에 다시 비발현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비탄할 필요가 어디 있는가?
TEXT 28:
Pradžioje visos sukurtos būtybės esti neišreikštos, tarpiniame būvyje jos įgyja išreikštą pavidalą, o po naikinimo vėl tampa neišreikštos. Tad ar yra dėl ko sielotis?
제 29 절:
어떤 사람은 영혼을 경이롭게 바라보고 어떤 사람은 영혼을 경이롭게 묘사하며 어떤 사람은 영혼을 경이롭게 듣지만, 어떤 사람들은 영혼에 관해 듣고 난 후에도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TEXT 29:
Vieni į sielą žvelgia kaip į stebuklą, kiti kalba apie ją kaip apie stebuklą, treti girdi apie ją pasakojant kaip apie stebuklą, bet yra ir tokių, kurie net išgirdę niekaip nepajėgia jos suprasti.
제30절: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육신 안에 거주하고 있는 영혼은 결코 살해될 수 없기에 어떠한 생명체를 두고도 비탄할 필요가 없느니라.
TEXT 30:
O Bharatos aini, kūne esantysis – nenužudomas. Tad neverta sielotis dėl gyvųjų būtybių.
제31절:
끄샤뜨리야로서 네게 주어진 의무를 생각한다면 종교 원칙에 따른 전투보다 네게 더 나은 일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망설일 필요가 없느니라.
TEXT 31:
O dėl savo kṣatriyo pareigos, žinoki, nėra tau geresnio darbo už kovą ginant religijos principus. Todėl nedvejok.
제32절:
오 빠르타여, 청하지도 않은 싸움의 기회가 끄샤뜨리야에게 온 것은 천국의 문이 활짝 열린 것과 같은 행복이다.
TEXT 32:
O Pārtha, laimingi tie kṣatriyai, kuriems netikėtai pasitaiko tokios kautynės, atveriančios jiems dangaus planetų vartus.
제33절:
그러나 만약 종교적 의무인 싸움을 하지 않으면 너는 분명 의무를 소홀히 하는 죄를 짓는 것이며, 따라서 전사로서의 명성을 잃게 될 것이다.
TEXT 33:
O jeigu tu nevykdysi savo religinės pareigos – nesikausi, tuomet dėl pareigos nepaisymo tikrai užsitrauksi nuodėmę ir sutepsi kario garbę.
제34절:
사람들은 항상 너를 악평할 것이며 세간에 인정받을 만한 사람에게 불명예는 죽음보다 더 나쁜 것이다.
TEXT 34:
Žmonės nuolat minės tavo gėdą, o garbingam žmogui negarbė net už mirtį baisesnė.
제35절:
너의 이름과 명성을 높이 사던 장군들은 네가 오직 두려움으로 전장을 떠났다고 생각할 것이고, 따라서 그들은 너를 하찮은 자로 여길 것이다.
TEXT 35:
Didieji karvedžiai, labai vertinę tavo vardą ir šlovę, nutars, kad vien baimė paskatino tave pasitraukti iš mūšio lauko, ir laikys tave menkysta.
제36절:
적들이 여러 좋지 않은 말로 너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고 네 능력을 업신여길 것이다. 네게 이보다 더 고통스러운 것이 무엇이 있겠느냐?
TEXT 36:
Daug užgaulių žodžių svies tavo priešai, su panieka menkindami tavo sugebėjimus. Kas gali būti tau skaudžiau?
제37절:
오 꾼띠의 아들이여, 너는 이 전쟁에서 살해되어 천상의 행성으로 가거나, 그것이 아니면 적을 정복하고 지상의 왕국을 즐기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결심하고 일어나 싸워라.
TEXT 37:
O Kunti sūnau, arba tu žūsi mūšio lauke ir laimėsi dangaus planetas, arba nugalėsi ir džiaugsiesi žemės karalyste. Tad kelkis ir ryžtingai stok į kovą.
제38절:
행복과 불행, 이익과 손실, 승리와 패배를 생각하지 말고 싸움 그 자체를 위해서 싸워라. 그러면 너는 어떠한 죄도 짓지 않을 것이다.
TEXT 38:
Kovoki dėl pačios kovos ir nesirūpink nei laime, nei kančia, nei praradimu, nei įgijimu, nei pergale, nei pralaimėjimu. Šitaip niekada neužsitrauksi nuodėmės.
제39절:
지금까지 분석적 연구를 통해 이 지식을 네게 설명했다. 이제부터는 결과를 바라지 않고 일하는 것에 관해 설명할 테니 잘 들어라. 오 쁘리타의 아들이여, 그런 지식으로 일하면 너는 일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
TEXT 39:
Iki šiol aiškinau tau šį žinojimą pasitelkęs analitinio tyrinėjimo būdą. Dabar paklausyk, kaip jį paaiškinsiu veiklos be karminių rezultatų požiūriu. O Pṛthos sūnau, kai veiksi šitai išmanydamas, tu sutraukysi veiklos pančius.
제 40 절:
여기에 기울이는 노력으로 인해 어떠한 손실이나 감소도 없으며, 이 길에서 이룬 아주 작은 발전이 인간을 가장 위험한 종류의 두려움에서 보호할 수 있다.
TEXT 40:
Tos pastangos nieko neatima ir nesumažina, ir net mažas žingsnelis šiame kelyje apsaugos nuo pačios didžiausios baimės.
제41절:
이 길에 들어선 자들은 목표를 향해 굳은 결심을 하고 그들의 목표는 오직 하나이다. 오 소중한 꾸루 가문의 자손이여, 결단력 없는 자들의 지성은 여러 가지로 갈라지느니라.
TEXT 41:
Žengiančiųjų šiuo keliu ketinimai tvirti, jų tikslas vienas. O mylimasis Kuru aini, tuo tarpu neryžtingųjų intelektas plačiai išsišakojęs.
제42~43절:
지식이 부족한 자들은 천상의 행성들로 올라가는 것, 내생(來生)의 좋은 출생, 권력 등을 위해 다양한 결과를 낳는 행위를 추천하는 베다의 미사여구에 매우 집착한다. 감각 만족과 부유한 삶을 갈망하는 그들은 이것 이상의 것은 없다고 말한다.
TEXTS 42-43:
Menko išmanymo žmonės žavisi puošniais Vedų žodžiais, siūlančiais atlikti įvairią karminę veiklą, kad būtų galima pasikelti į dangaus planetas, užsitarnauti gerą gimimą, valdžią ar gauti kitokios materialios naudos. Geisdami juslinių malonumų bei prabangaus gyvenimo, jie teigia, kad už tai nėra nieko aukštesnio.
제44절:
감각 만족과 물질적 풍요에 지나치게 집착하고, 그것으로 당혹한 자의 마음에는 지고한 주를 향한 봉헌의 굳은 결심이 서지 않느니라.
TEXT 44:
Kas pernelyg prisirišęs prie juslinių malonumų bei materialių gėrybių ir dėl to pameta galvą, tam negimsta tvirtas pasiryžimas pasiaukojus tarnauti Aukščiausiajam Viešpačiui.
제45절:
베다는 물질적 본성의 세 가지 양태에 관한 주제를 주로 다룬다. 오 아르주나, 이 세 가지 양태를 초월하여라. 모든 이원성과 이득, 안위에 관한 근심에서 벗어나 자아를 확립하라.
TEXT 45:
Vedos daugiausiai kalba apie tris materialios gamtos guṇas. O Arjuna, tapk transcendentalus guṇų atžvilgiu, laisvas nuo visų priešybių, atsisakyk siekių kažką laimėti ar išsaugoti šiame pasaulyje ir susitelk savajame „aš“.
제46절:
작은 우물이 성취해야 하는 목적은 큰 저수지의 물로 단번에 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다의 근본 취지를 아는 자는 베다의 모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느니라.
TEXT 46:
Visas reikmes, kurias patenkina mažas šulinys, gali patenkinti ir didelis vandens telkinys. Taip ir žinantis galutinį Vedų tikslą pasiekia visus kitus jų tikslus.
제47절:
너는 네게 규정된 의무를 수행할 권리는 있지만 그 행위의 결과에 대한 권리는 없다. 너 자신을 네 행위가 낳는 결과의 원인이라 절대 생각지 말아라. 그렇다고 네 의무를 수행하지 않아서도 안 되느니라.
TEXT 47:
Tu gali vykdyti nurodytą pareigą, bet nesisavink tos veiklos vaisių. Niekada nelaikyk savęs veiklos rezultatų priežastimi ir neįprask neatlikti savo pareigos.
제48절:
오 아르주나여, 성공과 실패에 대한 모든 집착을 버리고 평정한 마음으로 네 의무를 다하여라. 그러한 평정을 요가라 하느니라.
TEXT 48:
Vykdyk savo pareigą, o Arjuna, išlaikydamas pusiausvyrą, neprisirišęs prie sėkmės ar nesėkmės. Tokia pusiausvyros būsena vadinasi yoga.
제49절:
오 다난자야, 봉헌을 통해 모든 끔찍한 행위를 멀리하고 그런 의식으로 주께 항복하라. 자기 일의 결과를 즐기고자 하는 자는 구두쇠이니라.
TEXT 49:
O Dhanañjaya, vykdydamas pasiaukojimo tarnystę apsisaugok nuo pasibjaurėtinos veiklos ir su tokia sąmone atsiduok Viešpačiui. Šykštuoliai tie, kurie nori mėgautis savo darbo vaisiais.
제50절:
봉헌에 종사하는 자는 현생에서조차 좋고 나쁜 반작용에서 벗어난다. 그러므로 모든 일의 기술인 요가를 위해 노력하라.
TEXT 50:
Žmogus, atsidėjęs pasiaukojimo tarnystei, dar šiame gyvenime atsikrato tiek gerų, tiek blogų pasekmių. Todėl siek yogos – meno tobulai veikti.
제51절:
그러므로 주를 향한 봉헌에 종사함으로써 위대한 현자들과 헌애자들은 물질계에서 생겨난 일의 결과에서 벗어난다. 이렇게 그들은 생사의 순환에서 벗어나 주의 왕국으로 들어감으로써 모든 불행을 초월한 경지에 이르느니라.
TEXT 51:
Didieji išminčiai, ar bhaktai, su pasiaukojimu tarnaudami Viešpačiui išsilaisvina iš veiklos materialiame pasaulyje pasekmių. Taip jie ištrūksta iš gimimo ir mirties rato ir pasiekia būvį be kančių [sugrįždami atgal pas Dievą].
제52절:
너의 지성이 깊은 환영의 숲에서 빠져나오면 지금까지 들은 모든 것과 앞으로 들을 모든 것에 무관심하게 될 것이다.
TEXT 52:
Kai tavo intelektas išsigaus iš iliuzijos tankynės, tapsi abejingu ir tam, ką jau girdėjai, ir tam, ką dar išgirsi.
제53절:
너의 마음이 베다의 미사여구에 더는 방해받지 않고, 자아 인식의 삼매경으로 확고할 때, 신성한 의식을 갖게 될 것이다.
TEXT 53:
Kai tavo proto daugiau nebetrikdys puošni Vedų kalba, kai jis nuolatos bus paniręs į savęs pažinimo transą, tada tu pasieksi dievišką sąmonę.
제54절:
아르주나가 말했습니다: 오 끄리쉬나, 의식이 초월성에 몰입한 사람은 어떠한 징후를 나타냅니까? 그는 어떻게 말하고 어떤 언어를 구사합니까? 그는 어떻게 앉고, 어떻게 걷습니까?
TEXT 54:
Arjuna tarė: O Kṛṣṇa, kaip atpažinti tą, kurio sąmonė panirusi į transcendenciją? Kaip jis šneka ir kokia jo kalba? Kaip jis sėdi ir kaip vaikšto?
제55절: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오 빠르타여, 마음에서 생겨나는 감각 만족을 위한 모든 욕망을 포기하여 정화된 마음으로 오직 자기 안에서 만족을 찾게 될 때, 순수한 초월적 의식에 이르렀다고 한다.
TEXT 55:
Aukščiausiasis Dievo Asmuo tarė: O Pārtha, kai žmogus atsisako visų troškimų jusliškai tenkintis, kuriuos prasimano protas, ir kai šitaip apsivalęs jo protas pasitenkina vien savuoju „aš“, sakoma, kad jo sąmonė tapo grynai transcendentinė.
제56절:
세 겹의 고통 속에서조차 마음의 동요가 없고 행복으로 들뜨지 않으며 집착과 두려움, 분노에서 벗어난 자를 한결같은 마음을 지닌 성인이라고 하느니라.
TEXT 56:
Kieno proto nesudrumsčia net trejopos kančios, kas nedžiūgauja laimėje, kas atsikratė prisirišimo, baimės bei pykčio, tas vadinamas tvirto proto išminčiumi.
제 57 절:
물질계에서 일어나는 어떠한 선과 악에도 좌우되지 않으며 선을 칭찬하지도 악을 경멸하지도 않는 자는 완벽한 지식으로 확고한 자이다.
TEXT 57:
Kas materialiame pasaulyje neprisiriša prie gėrio ar blogio, kas susidūręs su jais nei giria juos, nei peikia, to žinojimas yra tvirtas ir tobulas.
제58절:
거북이가 등딱지 안으로 사지를 오그려 넣듯이 감각의 대상으로부터 자기 감각을 거두어들일 수 있는 자는 완벽한 의식으로 확고한 자이다.
TEXT 58:
Kas sugeba savo jusles atitraukti nuo juslių objektų taip, kaip vėžlys įtraukia šarvan savo galūnes, tas yra tvirtos ir tobulos sąmonės.
제59절:
육체에 갇힌 영혼이 감각의 즐거움을 절제하더라도 감각 대상을 향한 맛은 남는다. 그러나 고차원적 맛을 경험함으로써 그러한 기호를 버린 자는 의식이 확고하게 된다.
TEXT 59:
Įkūnyta siela gali susilaikyti nuo juslinių malonumų, bet skonis juslių objektams išlieka. Tačiau patyrusi tobulesnį skonį ji pažaboja potraukį juslių objektams ir įgyja tvirtą sąmonę.
제60절:
감각은 너무도 강하고 충동적이기에 오 아르주나, 그것을 다스리려고 노력하는 분별 있는 자의 마음도 강제로 데려가 버린다.
TEXT 60:
Juslės tokios stiprios ir veržlios, o Arjuna, kad per prievartą užvaldo net įžvalgaus, besistengiančio jas valdyti žmogaus protą.
제61절:
감각을 절제하여 완전히 통제하고 의식을 나에게 전념하는 자를 일컬어 한결같은 지성을  지닌 자라고 하느니라. 
TEXT 61:
Tvirto intelekto žmogumi laikomas tas, kuris suturi savo jusles visiškai jas valdydamas, o sąmonę sutelkia į Mane.
제62절:
감각의 대상을 두고 곰곰이 생각하는 동안, 그것에 대한 집착이 생기고, 그 집착으로부터 욕망이 생기며, 그 욕망에서 분노가 일어난다.
TEXT 62:
Žmogui kontempliuojant į juslių objektus, išsivysto prisirišimas prie jų. Prisirišimas pagimdo geismą, o geismas sukelia pyktį.
제63절:
분노에서 완전한 망상이 일어나고, 망상에서 기억의 혼란이 생긴다. 기억이 혼란해지면 지성이 사라지고, 지성이 사라지면 물질계의 늪으로 다시 떨어진다.
TEXT 63:
Pyktis visiškai paklaidina, o paklydimas aptemdo atmintį. Kai atmintis aptemsta, dingsta intelektas, o dingus intelektui vėl puolama į materijos liūną.
제64절:
그러나 모든 집착과 혐오에서 벗어나 규정 원칙이라는 자유를 통해 자신의 감각을 통제할 수 있는 자는 주의 완전한 자비를 받을 수 있다.
TEXT 64:
O kas, nesaistomas potraukio ar pasibjaurėjimo, gali valdyti jusles, laikydamasis principų, reguliuojančių laisvę, tas gali pelnyti visišką Viešpaties malonę.
제65절:
따라서 (끄리쉬나 의식으로) 만족한 자에게 물질계의 세 가지 고통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한 만족한 의식 안에 지성은 곧 확립된다.
TEXT 65:
Kas patenkintas savo būviu [Kṛṣṇos sąmone], tam jau neegzistuoja trejopos materialios būties kančios. Intelektas to, kuris yra tokios džiugios sąmonės, netrukus įgyja pastovumą.
제66절:
(끄리쉬나 의식으로) 절대자와 연결되지 않은 자는 초월적 지성도, 꾸준한 마음도 가질 수 없으며 이러한 지성과 마음 없이 평온할 수 없다. 그리고 평온하지 않고 어떻게 행복할 수 있겠는가?
TEXT 66:
Kas [per Kṛṣṇos sąmonę] nesusijęs su Aukščiausiuoju, tas neturi nei transcendentinio intelekto, nei sutelkto proto – o be jų neįmanoma ramybė. O be ramybės ar galima laimė?
제67절:
강한 바람으로 수면에 떠 있는 배가 흔들리듯, 배회하는 감각 중 단 하나에도 마음을 뺏기면 지성은 멀리 사라지느니라.
TEXT 67:
Kaip stiprus vėjas nuneša vandenyje plūduriuojantį laivelį, taip ir viena nerimstanti juslė, užvaldžiusi protą, pasiglemžia intelektą.
제68절:
그러므로, 오 강력히 무장한 자여, 감각의 대상으로부터 감각을 억제하는 자는 분명 꾸준한 지성을 가진 자이다.
TEXT 68:
Todėl, o tvirtaranki, tas, kuris atitraukė jusles nuo jų objektų, turi tikrai tvirtą intelektą.
제69절:
절제하는 자에게 모든 생명이 잠든 밤은 깨어있는 시간이고 모든 존재가 깨어있는 시간은 자기 성찰의 성인에게는 밤이니라.
TEXT 69:
Tai, kas visoms būtybėms yra naktis, susitvardžiusiajam – būdravimo metas. O visų būtybių būdravimas yra naktis įsigilinusiam į save išminčiui.
제70절:
항상 채워져도 늘 그대로 있는 대양으로 흘러가는 강물처럼, 끊임없이 흘러드는 욕망에 동요하지 않는 자만이 평온을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욕망을 충족시키려 애쓰는 자는 평온하지 못하다.
TEXT 70:
Ramybę pasieks tik tas, kurio netrikdo troškimai, – be paliovos plūstantys lyg upės į vandenyną, nuolat pasipildantį vandenimis, bet išliekantį ramų, – o ne tas, kuris stengiasi patenkinti tokius troškimus.
 
제71절:
감각 만족을 위한 모든 소원을 버리고, 욕망 없이 생활하며, 모든 소유 의식을 버리고, 거짓 자아가 없는 자, 오직 그러한 자만이 진정한 평화를 얻을 수 있다.
TEXT 71:
Kas atsisakė noro tenkinti jusles, gyvena neturėdamas troškimų, visiškai atsikratė nuosavybės jausmo ir neturi klaidingos savimonės – tik tas pasieks tikrą ramybę.
제72절:
그것이 영적이고 신성한 삶의 길이며, 그 경지에 이른 다음에는 결코 당황하지 않는다. 이로써 죽음의 순간에 이르면 절대신의 왕국에 들어갈 수 있느니라.
TEXT 72:
Šitoks yra dvasinio ir dieviško gyvenimo kelias. Stojęs į tą kelią žmogus nepaklysta. Jeigu žmogus yra tame kelyje net mirties valandą, jis gali pasiekti Dievo karalyst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