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6절

TEXT 6

원문

Texto

나 짜이딷 비드마 까따란노 가리요 na caitad vidmaḥ kataran no garīyo
야드 바 자예마 야디 바 노 자예유후 yad vā jayema yadi vā no jayeyuḥ
야네바 하뜨바 나 지지비샤마스 yān eva hatvā na jijīviṣāmas
떼바스티따하 쁘라무케 다르따라쉬뜨라하 te ’vasthitāḥ pramukhe dhārtarāṣṭrāḥ
na caitad vidmaḥ kataran no garīyo
yad vā jayema yadi vā no jayeyuḥ
yān eva hatvā na jijīviṣāmas
te ’vasthitāḥ pramukhe dhārtarāṣṭrāḥ

동의어

Palabra por palabra

나: 아닌, 짜: 또한, 에땃: 이것, 비드마하: 우리는 안다, 까따랏: 어느 것, 나하: 우리를 위해, 가리야하: 더 낫다, 야뜨 바: 어느, 자예마: 우리는 정복할 것이다, 야디: 만약, 바: 또는, 나하: 우리를, 자예유: 그들이 정복하다, 얀: 그러한 자들, 에바: 확실히, 하뜨바: 죽임으로써, 나: 결코, 지지비샤마하: 우리가 살고자 하는, 떼: 그들 모두, 아바스티따하: 위치한, 쁘라무케: 전면에, 다르따라쉬뜨라하, 드리따라쉬뜨라의 아들들.

na — ni; ca — también; etat — esto; vidmaḥ — sabemos; katarat — lo cual; naḥ — para nosotros; garīyaḥ — mejor; yat — si; jayema — conquistemos; yadi — si; — o; naḥ — nosotros; jayeyuḥ — ellos conquisten; yān — aquellos que; eva — ciertamente; hatvā — matando; na — nunca; jijīviṣāmaḥ — querríamos vivir; te — todos ellos; avasthitāḥ — están ubicados; pramukhe — en el frente; dhārtarāṣṭrāḥ — los hijos de Dhṛtarāṣṭra.

번역

Traducción

그들을 정복하는 것과 그들에게 정복당하는 것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나은지 우리는 알지 못합니다. 우리가 드리따라쉬뜨라의 아들을 모두 죽인다면 우리 또한 살기를 바라면 안 됩니다. 그런데 이들이 지금 전쟁터에서 바로 우리 앞에 서 있습니다.

No sabemos qué es mejor para nosotros: si conquistarlos o ser conquistados por ellos. Si matáramos a los hijos de Dhṛtarāṣṭra no nos importaría seguir viviendo, pero ahora ellos están ante nosotros en este campo de batalla.

주석

Significado

비록 싸우는 것이 끄샤뜨리야의 의무임에도 불구하고, 아르주나는 그 전쟁으로 생기는 불필요한 폭력을 무릅써야 하는지, 아니면 싸움을 포기하고 구걸로 살아가는 게 더 나은지 알지 못했다. 그가 만약 적을 무찌르지 않으면 구걸만이 유일한 생계 수단이 될 것이다. 양쪽 모두 승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승리 또한 보장할 수 없다. 비록 승리할지라도 (그리고 전쟁의 명분 또한 정당화되더라도), 드리따라쉬뜨라의 아들들이 전쟁에서 죽으면 아르주나로서는 그들의 부재를 견디며 살아가기 매우 힘들 것이다. 그러한 상황은 또 다른 패배일 수도 있다. 아르주나가 고려한 이 모든 점은 그가 주의 위대한 헌애자일 뿐만 아니라, 마음과 감각을 완전히 통제하여 높은 깨달음을 성취했다는 사실을 명백히 증명한다. 그가 왕가에 태어났으나 구걸로 살아가겠다는 것은 또 다른 초연함의 표시이다. 스리 끄리쉬나(아르주나의 영적 스승)의 가르침에 대한 믿음과 이러한 자질들이 어우러져 아르주나가 진실로 덕망 있는 자였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따라서 아르주나는 해방을 이루기에 아주 적합한 사람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감각을 통제하지 않는 한, 지식을 배양할 수 없고, 지식과 헌신 없이 해방은 있을 수 없다. 아르주나는 엄청난 물질적 자질을 넘어 이 모든 영적 자질 또한 확실히 갖추고 있었다.

Aunque los kṣatriyas tienen el deber de pelear, Arjuna no sabía si debía hacerlo y provocar con ello una violencia innecesaria, o si debía abstenerse y vivir de la mendicidad. Si él no vencía al enemigo, mendigar sería su único medio de subsistencia. Y tampoco había certeza del triunfo, porque cualquiera de los dos bandos podía lograr la victoria. Aun cuando les aguardara la victoria (y su causa estaba justificada), no obstante, si los hijos de Dhṛtarāṣṭra morían en la batalla, sería muy difícil vivir en su ausencia. Ante tales circunstancias, eso sería para ellos otra clase de derrota. Todas estas consideraciones que hace Arjuna prueban de un modo definitivo que él no solo era un gran devoto del Señor, sino que, además, estaba sumamente iluminado y tenía pleno control de la mente y los sentidos. Su deseo de vivir de la mendicidad, pese a haber nacido en la familia real, es otro signo de desapego. Él era verdaderamente virtuoso, tal como lo indican estas cualidades, unidas a su fe en las palabras de instrucción de Śrī Kṛṣṇa (su maestro espiritual). Se concluye, pues, que Arjuna era muy digno de liberarse. A menos que los sentidos se hallen bajo control, no hay ninguna posibilidad de elevarse al plano del conocimiento, y sin conocimiento y devoción no hay ninguna posibilidad de lograr la liberación. Arjuna era un dechado de todos estos atributos, además de los enormes atributos que poseía en sus relaciones materi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