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3~4절

TEXTS 3-4

원문

Tekst

나 루빰 아셰하 따토빨라뱌떼 na rūpam asyeha tathopalabhyate
난또 나 짜디르 나 짜 삼쁘라띠쉬타 nānto na cādir na ca sampratiṣṭhā
아스밧탐 에남 수-비루다-물람 aśvattham enaṁ su-virūḍha-mūlam
아상가-샤스뜨레나 드리데나 칫뜨바 asaṅga-śastreṇa dṛḍhena chittvā
na rūpam asyeha tathopalabhyate
nānto na cādir na ca sampratiṣṭhā
aśvattham enaṁ su-virūḍha-mūlam
asaṅga-śastreṇa dṛḍhena chittvā
따따 빠담 땃 빠리마르기따뱜 tataḥ padaṁ tat parimārgitavyaṁ
야스민 가따 나 니바르딴띠 부야하 yasmin gatā na nivartanti bhūyaḥ
땀 에바 짜댬 뿌루샴 쁘라빠뎨 tam eva cādyaṁ puruṣaṁ prapadye
야따 쁘라브릿띠 쁘라스리따 뿌라니 yataḥ pravṛttiḥ prasṛtā purāṇī
tataḥ padaṁ tat parimārgitavyaṁ
yasmin gatā na nivartanti bhūyaḥ
tam eva cādyaṁ puruṣaṁ prapadye
yataḥ pravṛttiḥ prasṛtā purāṇī

동의어

Synonyms

나: 아니다, 루빰: 형상, 아샤: 이 나무의, 이하: 이 세상에, 따타: 또한, 우빨라뱌떼: 인지될 수 있는, 나: 결코, 안따하: 끝, 나: 결코, 짜: 또한, 아디히: 시작, 나: 결코, 짜 :또한, 삼쁘라띠쉬타: 근본, 아스밧탐: 반얀나무, 에남: 이것, 수-비루다: 강하게, 물람: 뿌리내린, 아상가-샤스뜨레나: 초연함의 무기로, 드리데나: 강한, 칫뜨바: 자르는, 따따하: 그 이후로, 빠담: 상황, 땃: 그것, 빠리마르기따뱜: 찾아내야만 하는, 야스민: 장소, 가따하: 가는, 나: 결코, 니바르딴띠: 그들은 돌아오다, 부야하: 다시, 땀: 그에게, 에바: 분명히, 짜 :또한, 아댬: 원래, 뿌루샴: 최고인격신, 쁘라빠뎨: 항복하다, 야따하: 그로부터, 쁘라브릿띠히: 시작, 쁘라스리따: 연장된, 뿌라니: 아주 오래된.

na — ei; rūpam — kuju; asya — selle puu; iha — selles maailmas; tathā — samuti; upalabhyate — on võimalik tajuda; na — mitte kunagi; antaḥ — lõpp; na — mitte kunagi; ca — samuti; ādiḥ — algus; na — mitte kunagi; ca — samuti; sampratiṣṭhā — alus; aśvattham — bengali viigipuu; enam — see; su-virūḍha — tugevalt; mūlam — juurdunud; asaṅga-śastreṇa — loobumuse relvaga; dṛḍhena — tugeva; chittvā — lõigates; tataḥ — seejärel; padam — olukorda; tat — see; parimārgitavyam — tuleb üles otsida; yasmin — kuhu; gatāḥ — minnes; na — mitte kunagi; nivartanti — nad tulevad tagasi; bhūyaḥ — taas; tam — Temale; eva — kindlasti; ca — samuti; ādyam — algsele; puruṣam — Jumala Isiksusele; prapadye — alistuma; yataḥ — kellest; pravṛttiḥ — algus; prasṛtā — laienenud; purāṇī — väga vana.

번역

Translation

이 나무의 진정한 형상은 이 세상에서 찾아볼 수 없다. 그것이 어디에서 시작되고, 어디에서 끝나며, 또한 그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누구도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굳은 결심으로, 초연함이라는 무기로 강하게 뿌리 내린 이 나무를 잘라야 한다. 그다음, 한번 가면 절대 다시 돌아오지 않는 곳을 찾아 가, 그곳에 계시며 태곳적부터 모든 것을 시작하게 하시고, 확장하게 하시는 최고인격신에게 항복해야 하느니라.

Selles maailmas pole selle puu tegelikku kuju võimalik tajuda. Keegi ei suuda mõista, kus see lõpeb, kust algab, või kus on selle alus. Kuid see tugevalt juurdunud puu tuleb loobumuste relva abil täie sihikindlusega maha raiuda. Seejärel peab otsija leidma paiga, milleni jõudes pole vaja kunagi tagasi pöörduda, ning alistuma seal Jumala Kõrgeimale Isiksusele, kellest kõik on alguse saanud ning hargnenud mäletamatutest aegadest alates.

주석

Purport

이제 여기에서 분명히 말하기를, 이 반얀나무의 진정한 형상은 이 물질계에서는 이해될 수 없다고 한다. 그 뿌리가 위에 있기 때문에, 이 나무는 반대 방향으로 뻗는다. 나무의 물질적 확장에 얽힌 우리는 나무가 얼마만큼이나 뻗어 나갔는지 또한 이 나무의 시작점이 어디인지 볼 수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원인을 찾아야만 한다. “나는 내 아버지의 아들이다, 내 아버지는 어떤 사람의 아들이다 등등.” 이런 식으로 찾아 올라가면, 우리는 가르보다까샤이 비쉬누에서 탄생한 브라흐마에 이르게 된다. 이런 식으로 마침내 최고인격신에 이르면 탐색 작업은 끝난다. 우리는 최고인격신에 관한 지식이 있는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이 나무의 기원인 최고인격신을 찾아야만 한다. 그러한 이해로 우리는 점차 현실의 헛된 투영에 초연하게 되며 지식으로 그 관계를 끊고 진정한 나무에 실제로 위치하게 될 수 있다.

Siin öeldakse selgelt, et selles maailmas pole selle viigipuu tegelikku kuju võimalik mõista. Kuna selle puu juured kasvavad ülespoole, algab tegelik puu teiselt poolt. Kuna me oleme seotud selle puu materiaalsete ekspansioonidega, ei suuda me näha, kui kaugele see puu ulatub või kus on selle algus. Sellegipoolest peame me leidma selle puu kasvamise algse põhjuse. „Mina olen oma isa poeg, minu isa on sellise ja sellise isiku poeg, jne." Sedasi otsides jõuame me esmalt välja Brahmāni, kes on sündinud Garbhodakaśāyī Viṣṇust, ning oma otsingu lõpptulemusena jõuame Jumala Kõrgeima Isiksuseni. Inimene peab leidma selle puu alge, Jumala Kõrgeima Isiksuse, suheldes inimestega, kes omavad teadmisi sellest Jumala Kõrgeimast Isiksusest. Mõistes Jumala Kõrgeimat Isiksust, vabaneb inimene aegamööda kiindumusest selle tegelikkuse võltsi peegelduse vastu ning suudab teadmiste abil läbi lõigata oma seosed selle puuga. Sedasi jõuab ta tõelise puu juurde.

아상가(asaṅga)라는 말이 이 점에서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감각의 즐거움과 물질적 본성을 지배하고자 하는 집착은 몹시 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권위 있는 경전들에 근거하여 영적 과학을 토론함으로써 초연함을 배워야 하며, 실제로 지식을 갖추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들어야 한다. 헌애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이루어진 토론으로 우리는 최고인격신에 다가가게 된다. 그러면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당신께 항복하는 것이다. 한 번 가면 다시는 이 헛된 투영의 나무로 돌아오지 않는 곳에 관한 묘사가 여기에 제공되었다. 최고인격신 끄리쉬나는 모든 것이 발산된 근본 뿌리다. 그 최고인격신의 호의를 얻으려면 오직 항복해야 하며, 이것이 듣고, 구송하는 등의 봉헌을 행한 결과이다. 끄리쉬나는 물질계 확장의 원인이시다. 주께서 직접 이것을 이미 설명하셨다. “아함 사르바샤 쁘라바바하(Ahaṁ sarvasya prabhavaḥ), 나는 모든 것의 기원이다.” 그러므로 이 반얀나무라는 강한 물질적 삶의 얽힘에서 벗어나려면 끄리쉬나께 항복해야만 한다. 끄리쉬나께 항복하는 즉시, 우리는 이 물질적 확장에서 저절로 초연해진다.

Sõna asaṅga on antud värsis väga oluline, sest kiindumus meelelistesse naudingutesse ning materiaalse looduse üle valitsemisse on väga tugev. Seepärast peab inimene õppima elama loobumuslikku elu, arutledes autoriteetsetele pühakirjadele tuginedes vaimse teaduse teemadel ning kuulates vaimsest teadusest inimestelt, kes omavad tõepoolest teadmisi. Sellise arutluse tulemusena, pühendunute seltskonnas, jõuab inimene Jumala Kõrgeima Isiksuse juurde. Esimene, mida tuleb teha, on Talle alistuda. Siinkohal antakse kirjeldus paigast, kuhu jõudes ei pöörduta enam kunagi tagasi selle puu võltsi peegelduse juurde. Jumala Kõrgeim Isiksus, Kṛṣṇa, on algne juur, millest kõik on kasvanud. Et saavutada selle Jumala Isiksuse soosing, tuleb meil vaid Temale alistuda ning see on võimalik pühendunud teenimise näol – kuulates Jumalast, lauldes Talle ülistust jne. Tema on selle materiaalse maailma hargnemise algne põhjus. Jumal on seda juba Ise selgitanud: ahaṁ sarvasya prabhavaḥ. „Mina olen kõige alge." Seepärast tuleb inimesel selle tugeva materiaalse elu viigipuu köidikuist vabanemiseks alistuda Kṛṣṇale. Niipea kui inimene alistub Kṛṣṇale, vabaneb ta koheselt kiindumusest Tema energia laienduse – materiaalse maailma vas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