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2절

TEXT 2

원문

Text

아다스 쪼르드밤 쁘라스리따스 따샤 샤카 adhaś cordhvaṁ prasṛtās tasya śākhā
구나-쁘라브릳다 비샤야-쁘라발라하guṇa-pravṛddhā viṣaya-pravālāḥ
아다스 짜 물라뉴누산따따니 adhaś ca mūlāny anusantatāni
까르마누반디니 마누샤-로께 karmānubandhīni manuṣya-loke
adhaś cordhvaṁ prasṛtās tasya śākhā
guṇa-pravṛddhā viṣaya-pravālāḥ
adhaś ca mūlāny anusantatāni
karmānubandhīni manuṣya-loke

동의어

Synonyms

아다하: 아래로, 짜: 그리고, 우르드밤: 위로, 쁘라스리따하: 확장된, 따샤: 그것의, 샤카하: 가지들, 구나: 물질적 본성의 세 가지 양태로, 쁘라브릳다하: 자라난, 비샤야: 감각의 대상, 쁘라발라하: 잔가지, 아다하: 아래로, 짜: 그리고, 물라니: 뿌리들, 아누산따따니: 펼쳐진, 까르마: 일하다, 아누반디니: 구속된, 마누샤-로께: 인간 세상에서.

adhaḥ — downward; ca — and; ūrdhvam — upward; prasṛtāḥ — extended; tasya — its; śākhāḥ — branches; guṇa — by the modes of material nature; pravṛddhāḥ — developed; viṣaya — sense objects; pravālāḥ — twigs; adhaḥ — downward; ca — and; mūlāni — roots; anusantatāni — extended; karma — to work; anubandhīni — bound; manuṣya-loke — in the world of human society.

번역

Translation

이 나무의 가지는 물질적 본성의 세 가지 양태에 의해 영양을 공급받고, 위아래로 자란다. 잔가지들은 감각의 대상이다. 이 나무에는 아래로 자라는 뿌리도 있으며, 그 뿌리는 인간 사회의 결실적 행위로 얽혀 있다.

The branches of this tree extend downward and upward, nourished by the three modes of material nature. The twigs are the objects of the senses. This tree also has roots going down, and these are bound to the fruitive actions of human society.

주석

Purport

반얀나무에 대한 묘사가 여기에서 한층 더 설명되고 있다. 그 가지는 모든 방향으로 뻗어 나간다. 가지의 낮은 부위에 생명체의 다양한 모습, 즉 인간, 동물, 말, 소, 개, 고양이 등이 존재한다. 이들은 낮은 부위의 가지에 위치한 반면, 높은 부위에는 고등한 형태의 생명체가 존재한다. 그들은 데바와 간다르바, 그리고 다른 높은 종의 여러 생명체이다. 나무가 물로 영양을 공급받듯이, 이 나무는 물질의 세 가지 본성으로 비옥해진다. 때때로 우리는 물이 부족해서 황량한 땅과 이와는 반대로 아주 푸른 잔디를 보기도 한다. 이처럼 물질의 특정 양태가 어떠한 비율로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여러 다른 종의 생명체가 발현된다.

The description of the banyan tree is further explained here. Its branches spread in all directions. In the lower parts, there are variegated manifestations of living entities – human beings, animals, horses, cows, dogs, cats, etc. These are situated on the lower parts of the branches, whereas on the upper parts are higher forms of living entities: the demigods, Gandharvas and many other higher species of life. As a tree is nourished by water, so this tree is nourished by the three modes of material nature. Sometimes we find that a tract of land is barren for want of sufficient water, and sometimes a tract is very green; similarly, where particular modes of material nature are proportionately greater in quantity, the different species of life are manifested accordingly.

나무의 잔가지는 감각의 대상으로 여겨진다. 물질의 서로 다른 양태를 발전시킴에 따라 우리는 서로 다른 감각을 계발하고, 그 감각으로 다양한 감각 대상을 즐긴다. 이 잔가지의 끝은 귀, 코, 눈 등과 같은 감각 기관이다. 이들은 여러 감각 대상을 즐기는 데 집착한다. 잔가지, 즉 감각의 대상이란 소리, 형상, 촉감 등이다. 아래로 자라는 잔뿌리는 집착과 반감인데, 이것은 다양한 종류의 감각적 즐거움과 고통의 부산물이다. 경건하고 불경한 경향은 모든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이 잔뿌리에서 자란 것으로 여겨진다. 원 뿌리는 브라흐마로까에서 나오고, 다른 뿌리는 인간의 행성 체계 안에 존재한다. 더 높은 행성 체계에서 선행의 결과를 즐기고 난 다음, 이 지상에 내려와 새로운 까르마를 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사는 이 행성을 행위의 장이라고 한다.

The twigs of the tree are considered to be the sense objects. By development of the different modes of nature we develop different senses, and by the senses we enjoy different varieties of sense objects. The tips of the branches are the senses – the ears, nose, eyes, etc. – which are attached to the enjoyment of different sense objects. The twigs are sound, form, touch, and so on – the sense objects. The subsidiary roots are attachments and aversions, which are by-products of different varieties of suffering and sense enjoyment. The tendencies toward piety and impiety are considered to develop from these secondary roots, which spread in all directions. The real root is from Brahmaloka, and the other roots are in the human planetary systems. After one enjoys the results of virtuous activities in the upper planetary systems, he comes down to this earth and renews his karma, or fruitive activities for promotion. This planet of human beings is considered the field of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