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1절

TEXT 1

원문

Tekst

스리-바가반 우바짜 śrī-bhagavān uvāca
우르드바-물람 아다-샤캄 ūrdhva-mūlam adhaḥ-śākham
아스밧탐 쁘라후라뱌얌 aśvatthaṁ prāhur avyayam
찬담시 야샤 빠르나니 chandāṁsi yasya parṇāni
야스 땀 베다 사 베다-빗 yas taṁ veda sa veda-vit
śrī-bhagavān uvāca
ūrdhva-mūlam adhaḥ-śākham
aśvatthaṁ prāhur avyayam
chandāṁsi yasya parṇāni
yas taṁ veda sa veda-vit

동의어

Synonyms

스리-바가반 우바짜: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우르드바-물람: 뿌리가 위로 올라가는, 아다하: 아래로, 샤캄: 가지들, 아스밧탐: 반얀(보리수)나무, 쁘라후: 라고 한다, 아뱌얌: 영원한, 찬담시: 베다의 구송, 야샤: 그것의, 빠르나니: 잎사귀들, 야하: 누구나, 땀: 그것, 베다: 알다, 사하: 그는, 베다-빗 :베다를 아는 자.

śrī-bhagavān uvāca — Jumala Kõrgeim Isiksus ütles; ūrdhva-mūlam — juured ülespidi; adhaḥ — allapoole; śākham — oksad; aśvattham — bengali viigipuu; prāhuḥ — öeldakse; avyayam — igavene; chandāṁsi — vedalikud hümnid; yasya — mille; parṇāni — lehed; yaḥ — igaüks, kes; tam — seda; veda — teab; saḥ — tema; veda-vit — „Vedade" tundja.

번역

Translation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뿌리는 위로 향하고, 가지는 아래로 뻗으며 잎은 베다 찬가인 불멸의 반얀나무가 있다고 일컬어진다. 이 나무를 아는 자가 베다를 아는 자이다.

Jumala Kõrgeim Isiksus ütles: Öeldakse, et on olemas hävimatu viigipuu, mille juured kasvavad ülespoole ning oksad allapoole ning mille lehtedeks on vedalikud hümnid. See, kes seda puud tunneb, tunneb „Vedasid".

주석

Purport

박띠 요가의 중요성을 논의한 다음, “그러면 베다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는가?” 라고 질문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 장에서 베다 연구의 목적은 끄리쉬나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끄리쉬나 의식으로 봉헌에 종사하고 있는 자는 이미 베다를 아는 것이다.

Pärast bhakti-jooga olulisuse selgitamist võib tekkida küsimus: „Aga „Vedad?" Selles peatükis selgitatakse, et „Vedade" uurimise eesmärgiks on mõista Kṛṣṇat. Kṛṣṇa teadvuses viibiv inimene, kes teenib pühendunult Jumalat, on seega juba „Vedade" tundja.

이 물질계의 얽힘은 여기에서 반얀나무로 비유되었다. 결실을 바라는 행위에 전념하는 자에게 반얀나무의 끝은 없다. 그는 이 가지에서 저 가지로 방황한다. 이 물질계의 나무는 끝이 없고, 이 나무에 집착하는 자는 해방을 얻을 수 없다. 우리를 고양하기 위한 베다의 찬가는 이 나무의 잎들이다. 이 나무의 뿌리는 이 우주의 가장 높은 행성인 브라흐마가 있는 곳에서 시작하므로 위로 자란다. 만약 이 불멸하는 환영의 나무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곳에서 벗어날 수 있다.

Materiaalse maailma köidikuid võrreldakse siin viigipuuga. Töö viljade nimel tegutseja jaoks on see puu lõputu. Ta rändab ühelt oksalt teisele, sealt järgmisele, ja sealt edasi järgmisele. See materiaalse maailma puu on lõputu ning sellesse puusse kiindunu ei suuda vabanemist saavutada. Vedalikke hümne, mille otstarbeks on aidata elusolendil kõrgemale tõusta, nimetatakse selle puu lehtedeks. Selle puu juured kasvavad ülespoole, kuna nad algavad sealt, kus elab Brahmā, s.t. selle universumi kõrgeimalt planeedilt. Kui inimene mõistab, milline on selle hävimatu illusiooni puu olemus, võib ta sellest vabaneda.

이 탈출의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이 앞 장에서 물질적 얽힘에서 벗어날 수 있는 많은 과정이 있다고 설명되었다. 그리고 제13장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지고한 주를 향한 봉헌이 최고의 방법이라는 것을 이해했다. 이제 봉헌의 근본 원칙은 물질적 행위에 초연하고 주를 향한 초월적 봉사에 애착하는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물질계에 대한 집착을 끊는 과정이 이 장의 서두에서 논의된다. 이 물질적 존재의 뿌리는 위로 자란다. 이 말은 뿌리가 전체 물질의 토대인 우주의 가장 높은 행성에서 시작된다는 뜻이다. 그곳에서 전 우주가 아주  많은 가지로 확장됐으며, 다양한 행성 체계로 나타난다. 그 나무의 열매는 생명체가 한 행위의 결과, 이를테면 종교, 경제 발전, 감각 만족, 해방을 나타낸다.

Me peame mõistma, kuidas sellest illusioonist vabaneda. Eelnevates peatükkides on selgitatud, et eksisteerib mitmeid protsesse, mille sihiks on materiaalse maailma köidikuist vabanemine. Ning kõigis kolmeteistkümnes peatükis on meile õpetatud, et parim meetod nende hulgas on Kõigekõrgema Jumala pühendunud teenimine. Pühendunud teenimise peamine põhimõte on materiaalsetest tegevustest eemaldumine ning Jumala transtsendentaalse teenimise poole pöördumine. Seda, kuidas murda kiindumus materiaalsesse maailma, selgitatakse käesoleva peatüki alguses. Materiaalse eksistentsi juured kasvavad ülespoole. See tähendab, et nad saavad alguse mateeria kogumist ning jätkuvad selle universumi kõrgeimalt planeedilt. Sealt avardub kogu universum oma paljude oksadega, mis avalduvad paljude erinevate planetaarsüsteemidena. Viljad esindavad elusolendite tegude resultaate, nimelt religiooni, majanduslikku arengut, meelelisi naudinguid ning vabanemist.

이 세상에서 가지가 아래로 자라고, 뿌리가 위로 자라는 나무를 실제로 경험할 수 없지만 그러한 나무가 있다. 그 나무는 호숫가에서 발견될 수 있다. 우리는 둑 위의 나무가 물에 투영되어 가지는 아래로 향하고 뿌리는 위로 뻗은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말로, 이 물질계의 나무는 영계에 있는 진짜 나무의 투영일 뿐이다. 영계의 이러한 투영은 나무의 투영이 물 위에 비치듯이, 우리의 욕망에 자리 잡는다. 욕망은 이 투영된 물질적 빛에 자리 잡은 것들의 원인이다. 이 물질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자는 분석적 연구를 통해 이 나무를 철저하게 알아야 한다. 그래야 그에 얽힌 관계를 끊을 수 있다.

Selles maailmas pole keegi kohanud puud, mille oksad kasvaksid allapoole, juured aga ülespoole. Kuid sellegipoolest on selline puu olemas. Selle puu võib leida veekogu äärest. Jõekaldalt võime näha, kuidas puud peegelduvad veepinnalt juured ülespidi ning oksad allapoole. Teisisõnu öeldes on selle materiaalse maailma puu üksnes tõelise vaimse maailma puu peegeldus. Samamoodi nagu puu peegeldus asub vees, asub vaimse maailma peegeldus ihas. Iha on põhjus kõigele, mida me selles vaimset reaalsust peegeldavas materiaalses maailmas näha võime. Inimene, kes tahab sellest materiaalsest eksistentsist vabaks pääseda, peab seda puud analüütilise uurimise läbi põhjalikult tundma õppima. Siis suudab ta oma suhted selle puuga katkestada.

진짜 나무의 투영인 이 나무는 완전한 모형이다. 모든 것은 영계에 존재한다. 비인성주의자들은 브라흐만이 이 물질적 나무의 뿌리로 간주하며, 상캬 철학에 따르면 그 뿌리에서 쁘라끄리띠, 뿌루샤, 그다음 세 가지 구나(guṇa), 그다음 다섯 가지 총체 요소(빤짜-마하-부따 pañca-mahā-bhūta), 그다음 열 가지 감각(다센드리야 daśendriya), 그리고 마음 등이 생겨났다. 이런 식으로 물질계 전체는 스물네 개의 구성요소로 분류된다. 브라흐만을 모든 발현의 중심으로 삼으면, 이 물질계는 그 중심에서 180도 회전한 모습이고, 그 맞은편 180도가 바로 영계이다. 물질계는 왜곡된 투영이고 영계에는 물질계와 똑같은 다양성이 존재하고 물질계의 실체이다. 쁘라끄리띠는 지고한 주의 외적 에너지이고, 뿌루샤는 지고한 주 당신이라고 바가바드 기따에서 설명되었다. 물질계의 발현은 물질이므로 일시적이다. 투영은 때로는 그 모습이 보이고, 때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일시적이다. 누군가 베다를 안다고 하면 이 물질계에 대한 집착을 어떻게 끊는지 안다고 여겨진다. 그 과정을 알면 사실상 베다를 아는 것이다. 베다의 의례적 형식에 매료되는 자는 이 나무의 아름다운 푸른 잎에 매료되는 것이다. 그는 베다의 진짜 목적을 모른다. 베다의 목적은 최고인격신께서 직접 밝히신 바와 같이, 투영된 나무를 없애고 영계의 진짜 나무를 얻는 것이다.

See puu, mis on peegeldus tõelisest puust, on viimase täpne koopia. Vaimses maailmas eksisteerib kõik. Impersonalistid peavad selle materiaalse puu juureks Brahmanit ning vastavalt sāṅkhya filosoofiale tõusevad sellest juurest prakṛti, puruṣa, seejärel kolm guṇat, viis jämedakoelist elementi (pañca-mahā-bhūta), kümme meelt (daśendriya), seejärel mõistus jne. Sedasi jagavad nad kogu materiaalse maailma kahekümne neljaks elemendiks. Kui Brahman on kõikide avaldumiste keskuseks, siis moodustab materiaalne maailm 180 kraadi sellest keskusest ning ülejäänud 180 kraadi moodustavad vaimse maailma. Materiaalne maailm on moondunud peegeldus ning seetõttu võime kinnitada, et kogu see mitmekesisus, mida näeme siin, eksisteerib ka vaimses maailmas, ainult et tõelisena. Prakṛti on Kõigekõrgema Jumala väline energia ning puruṣa on Kõigekõrgem Jumal Ise. Seda selgitatakse „Bhagavad-gītās". Kuna see avaldumine on materiaalne, on see ajalik. Peegeldus on ajalik – vahel on seda võimalik näha, vahel mitte. Kuid peegelduse allikas on igavene. Tegeliku puu materiaalne peegeldus tuleb purustada. Kui inimese kohta öeldakse, et ta tunneb „Vedasid", eeldatakse, et ta teab, kuidas lõigata läbi kiindumus sellesse materiaalsesse maailma. Kui inimene tunneb seda protsessi, tunneb ta „Vedasid" tõeliselt. See, keda huvitavad üksnes „Vedade" rituaalsed tseremooniad, on kiindunud selle puu ilusatesse rohelistesse lehtedesse. Ta ei tea, milline on „Vedade" tegelik eesmärk. Nagu Jumala Kõrgeim Isiksus aga kinnitab, on „Vedade" eesmärk raiuda see peegeldunud puu maha ning jõuda tõelise, vaimse puu juur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