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35절

TEXT 35

원문

Tekstas

끄쉐뜨라-끄쉐뜨라갸요르 에밤 kṣetra-kṣetrajñayor evam
안따람 갸나-짝수샤 antaraṁ jñāna-cakṣuṣā
부따-쁘라끄리띠-목샴 짜 bhūta-prakṛti-mokṣaṁ ca
예 비두르 얀띠 떼 빠람 ye vidur yānti te param
kṣetra-kṣetrajñayor evam
antaraṁ jñāna-cakṣuṣā
bhūta-prakṛti-mokṣaṁ ca
ye vidur yānti te param

동의어

Synonyms

끄쉐뜨라: 육신의, 끄쉐뜨라-갸요호: 육신의 주인, 에밤: 따라서, 안따람: 차이, 갸나-짝슈샤: 지식의 시각으로, 부따: 생명체의, 쁘라끄리띠: 물질적 본성으로부터, 목샴: 해방, 짜: 또한, 예: 하는 자들, 비두후: 알다, 얀띠: 접근하다, 떼: 그들, 빠람: 절대자.

kṣetra — kūno; kṣetra-jñayoḥ — kūno savininko; evam — taip; antaram — skirtumą; jñāna-cakṣuṣā — žinojimo apšviestomis akimis; bhūta — gyvosios esybės; prakṛti — iš materialios gamtos; mokṣam — išsivadavimą; ca — taip pat; ye — tie, kurie; viduḥ — žino; yānti — eina; te — jie; param — į Aukščiausiąjį.

번역

Translation

지식의 눈으로 육신과 육신을 아는 자 사이의 차이점을 보고, 물질적 본성의 속박에서 해방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자는 최상의 목표를 달성한다.

Tie, kurie žinojimo apšviestomis akimis regi skirtumą tarp kūno ir jį pažįstančio subjekto, o taip pat žino, kaip išsivaduoti iš materialios gamtos vergijos, pasiekia aukščiausią tikslą.

주석

Purport

제13장의 취지는 육신과 육신의 소유자, 그리고 초영혼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제8절에서 12절에까지 설명된 해방의 과정도 이해해야 한다. 그러면 우리는 최상의 목적지에 갈 수 있다.

KOMENTARAS: Reikia suprasti, kuo skiriasi kūnas, jo savininkas ir Supersiela – tokia trylikto skyriaus esmė. Išsivadavimo kelią, kuris nusakomas posmuose nuo aštunto iki dvylikto, reikėtų pripažinti kaip tikrą kelią ir eiti juo į aukščiausią tikslą.

믿음 있는 사람은 우선 절대신에 관해 듣기 위해 좋은 교류를 해야 하고, 이로써 점점 계몽된다. 영적 스승을 받아들이면 우리는 물질과 영혼의 구분을 배울 수 있고, 그것이 더욱더 깊은 영적 깨달음을 위한 디딤돌이 된다. 영적 스승은 여러 가르침으로 제자를 물질적 개념의 삶에서 벗어나게 한다. 예를 들어, 바가바드 기따에서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가 물질적 고려에서 벗어나게 가르치시는 것을 볼 수 있다.

Tikintysis visų pirma turėtų stengtis bendrauti su tais, iš kurių girdėtų tiesą apie Dievą ir šitaip nuosekliai šviestųsi. Kas kreipiasi į dvasinį mokytoją, tas išmoks skirti materiją nuo dvasios. Tai taps jo tolimesnio dvasinio tobulėjimo pagrindu. Duodamas įvairius nurodymus, dvasinis mokytojas moko savo mokinius atsikratyti materialios būties sampratos. Pavyzdžiui, „Bhagavad-gītoje“ Kṛṣṇa moko Arjuną atsisakyti materialistinių motyvų.

우리는 이 육신이 물질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육신은 스물네 요소로 분석될 수 있다. 육신은 거시적 발현이다. 그리고 미시적 발현은 마음과 심리적 영향이다. 그리고 생명의 징후는 이러한 요소 간의 상호작용이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을 초월해 영혼이 있으며 초영혼도 있다. 영혼과 초영혼은 둘이다. 이 물질계는 영혼과 스물네 개의 물질 요소가 결합하여 작용하고 있다. 모든 물질적 발현의 구성이 이렇게 영혼과 물질 요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고 초영혼의 존재를 볼 수 있는 자는 영계에 들어갈 자격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명상과 깨달음의 대상이고, 우리는 영적 스승의 도움을 받아 이 장을 완벽히 이해해야 한다.

Kiekvienas supras, jog kūnas – materija, ir jį galima suskaidyti į dvidešimt keturis pradmenis. Kūnas – grubi apraiška, o protas ir psichinė veikla – subtili apraiška. Sąveikaujant grubiai ir subtiliai apraiškoms atsiranda gyvybės požymiai. Be to, dar egzistuoja siela ir Supersiela. Jos – dvi. Materialaus pasaulio judėjimui pradžią duoda sielos ir dvidešimt keturių materijos pradmenų jungtis. Tas, kuris materialų pasaulį mato kaip sielos ir materijos pradmenų jungtį ir supranta Aukščiausiosios Sielos padėtį, vertas dvasinio pasaulio. Šiuos klausimus reikia apmąstyti ir suvokti, todėl, padedant dvasiniam mokytojui, derėtų šį skyrių labai gerai išsiaiškinti.

이로써 스리마드 바가바드 기따의 제13장, 물질과 향유자, 그리고 의식에 대한 박띠베단따 주석을 마칩니다.

Taip Bhaktivedanta baigia komentuoti tryliktąjį „Śrīmad Bhagavad-gītos“ skyrių, pavadintą „Gamta, besimėgaujantis subjektas ir sąmon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