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31절

TEXT 31

원문

Tekstas

야다 부따-쁘리탁-바밤 yadā bhūta-pṛthag-bhāvam
에까-스탐 아누빠샤띠 eka-stham anupaśyati
따따 에바 짜 비스따람 tata eva ca vistāraṁ
브라흐마 삼빠댜떼 따다 brahma sampadyate tadā
yadā bhūta-pṛthag-bhāvam
eka-stham anupaśyati
tata eva ca vistāraṁ
brahma sampadyate tadā

동의어

Synonyms

야다: 때, 부따: 생명체의, 쁘리탁-바밤: 분리된 정체성들, 에까-스탐: 하나에 위치한, 아누빠샤띠: 권위 있는 출처를 통해 보다, 따따하 에바: 그 이후에, 짜: 또한, 비스따람: 확장, 브라흐마: 절대자, 삼빠댜떼: 그는 달성한다, 따다: 그때.

yadā — kai; bhūta — gyvųjų esybių; pṛthak-bhāvam — atskiras esybes; eka- stham — esančias vienoje vietoje; anupaśyati — kas stengiasi pamatyti autoriteto dėka; tataḥ eva — nuo to laiko; ca — taip pat; vistāram — ekspansiją; brahma — Absoliutą; sampadyate — jis pasiekia; tadā — tada.

번역

Translation

현명한 자가 서로 다른 물질적 육신 때문에 생긴 서로 다른 정체성을 보는 것을 멈출 때, 그리고 모든 존재가 어떻게 세상 모든 곳으로 뻗어 나갔는지를 이해할 때, 브라흐만 개념에 이른다.

Kai išmintingasis nebemato tarp būtybių jokių skirtumų, kuriuos sąlygoja skirtingi materialūs kūnai, ir regi, kaip būtybės yra pasklidusios visur, jis suvokia Brahmaną.

주석

Purport

생명체의 여러 다른 몸이 개별 영혼의 서로 다른 욕망 때문에 생긴 것이며, 이것이 실제로 자아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을 볼 수 있을 때 진정으로 보는 것이다. 물질적 개념의 삶 속에서 누구는 데바이고, 누구는 인간이며, 누구는 개, 고양이 등으로 보인다. 이것은 물질적 시각이지, 진정한 시각이 아니다. 이 물질적으로 다름은 삶에 대한 물질적 개념에서 비롯된다. 물질적 육신이 소멸하고 난 다음, 영혼은 하나다. 이 영혼이 물질적 본성과의 접촉 때문에 또 다른 형태의 몸을 받게 된다. 우리가 이것을 볼 수 있을 때 영적 시각을 얻게 된다. 그러면 인간, 동물, 크고 작음 등의 다름에서 벗어나 우리 의식이 정화되고, 영적 동일성 속에서 끄리쉬나 의식을 발전시키게 된다. 그 후 우리가 사물을 어떻게 보게 되는지는 다음 절이 설명한다.

KOMENTARAS: Žmogus, matantis, kad skirtingus gyvųjų esybių kūnus sukuria įvairūs individualios sielos norai, ir kad kūnai iš tikrųjų nesusiję su siela, regi tiesą. Vadovaudamiesi materialia būties samprata, kažką mes laikome pusdieviu, žmogumi, šunimi, kate etc. Toks regėjimas – materialus ir nėra teisingas, jį gimdo materiali būties samprata. Žuvus materialiam kūnui, dvasinė siela nepakinta. Įvairių tipų kūnus ji gauna dėl sąlyčio su materialia gamta. Pajėgus tai pamatyti įgyja dvasinį regėjimą. Nieko neskirstydamas pagal principą „žmogus“, „gyvūnas“, „aukštas“, „žemas“ etc., žmogus apvalys sąmonę ir išsiugdys Kṛṣṇos sąmonę, kuri atitinka jo dvasinį identiškumą. Kaip jis tuomet suvokia pasaulį, paaiškins kitas posm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