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12절

TEXT 12

원문

Texte

스레요 히 갸남 아뱌사즈 śreyo hi jñānam abhyāsāj
갸낟 댜남 비시샤떼 jñānād dhyānaṁ viśiṣyate
댜낫 까르마-팔라-띠아가스 dhyānāt karma-phala-tyāgas
띠아갓 찬띠라난따람 tyāgāc chāntir anantaram
śreyo hi jñānam abhyāsāj
jñānād dhyānaṁ viśiṣyate
dhyānāt karma-phala-tyāgas
tyāgāc chāntir anantaram

동의어

Synonyms

스레야하: 보다 좋은, 히: 확실히, 갸남: 지식, 아뱌삿: 수행보다, 갸낫: 지식 보다, 댜남: 명상, 비시샤떼: 보다 나은 것으로 여겨지는, 댜낫: 명상보다, 까르마-팔라-띠아가하: 일의 결과를 버리는 것, 띠아갓: 그러한 버림으로, 샨띠히: 평화, 아난따람: 그 이후에.

śreyaḥ: mieux; hi: certes; jñānam: la connaissance; abhyāsāt: la pratique; jñānāt: que la connaissance; dhyānam: la méditation; viśiṣyate: est considérée meilleure; dhyānāt: que la méditation; karma-phala-tyāgaḥ: le renoncement aux fruits des actes; tyāgāt: par ce renoncement; śāntiḥ: la paix; anantaram: par la suite.

번역

Translation

이 실천을 할 수 없다면 지식의 배양에 힘써라. 그러나 지식보다 더 나은 것이 명상이며, 명상보다 나은 것은 일의 결과를 버리는 것이다. 그 이유는 그러한 버림으로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니라.

Si à la pratique de la conscience de Kṛṣṇa tu ne peux te plier, alors cultive la connaissance. La méditation est cependant bien supérieure et le renoncement aux fruits de l’acte plus élevé encore, car il confère la paix de l’esprit.

주석

Purport

앞 절에서 언급했듯이 두 종류의 봉헌이 있다. 규정 원칙을 따르는 길과 최고인격신을 향한 사랑에 전적으로 애착하는 길이 그것이다. 끄리쉬나 의식의 원칙을 실제로 따를 수 없는 자들은 지식을 배양하는 것이 더 나은데, 그 이유는 지식으로 자신의 진정한 처지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식을 점점 쌓으면 명상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명상을 통해 점차 최고인격신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지식을 배양하는 과정 중에 자기가 절대자와 다름없다고 이해하게 하는 과정이 있는데, 그러한 종류의 명상은 봉헌에 전념할 수 없는 자들이 선호한다. 이런 명상의 과정이 어려워 따를 수 없다면 베다 문헌이 명한 각 계층에게 규정된 의무를 따라야 하는데, 바가바드 기따의 마지막 장에 브라흐만, 끄샤뜨리야, 바이샤, 그리고 슈드라의 의무가 나와 있다. 그러나 어떠한 상황에서든, 우리는 노동의 결실이나 결과에 집착해서는 안 되며 이는 행위의 결과를 어떤 대의에 바쳐야 함을 의미한다.

Les versets précédents nous ont montré deux aspects du service de dévotion: la voie de l’attachement total au Seigneur Suprême, par amour pour Lui, et la voie des principes régulateurs. À celui qui se trouve dans l’impossibilité de suivre ces principes de la conscience de Kṛṣṇa, il est conseillé de cultiver la connaissance, laquelle lui permettra de comprendre sa nature véritable. Cette connaissance, en se développant, mènera à la méditation, laquelle, en se développant à son tour, permettra graduellement de comprendre Dieu, la Personne Suprême.

Certaines pratiques conduisent leurs adeptes à se prendre pour Dieu, et cette forme de méditation est préférée de ceux qui sont incapables de se dédier au service de dévotion. Si l’on ne peut méditer, on peut au moins se conformer aux devoirs prescrits dans les Écritures védiques, lesquels concernent les brāhmaṇas, les kṣatriyas, les vaiśyas et les śūdras, dont nous trouverons la liste au dernier chapitre. Mais quel que soit ce devoir, il faut toujours renoncer au fruit de son labeur, c’est-à-dire employer le résultat de ses actes (karma) au service d’une bonne cause.

간단히 말하면, 최상의 목표, 최고인격신께 도달하기 위한 두 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점진적 발전의 과정이고 다른 하나는 직접적인 과정이다. 끄리쉬나 의식으로 하는 봉헌은 직접적 방법이고 다른 길은 행위의 결과를 버리는 것이다. 그러면 지식의 단계에 이르고, 그다음 명상의 단계, 그다음에는 초영혼을 이해하는 단계, 그리고 최고인격신을 이해하는 단계에 이른다. 우리는 이러한 점진적 과정을 택할 수도 있고 직접적인 길을 택할 수도 있다. 모든 사람이 직접적 길을 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간접적 과정 역시 좋다. 그러나 이 간접적 과정은 아르주나에게 권고되지 않는데, 그 까닭은 그가 이미 지고한 주를 향한 사랑의 봉헌 경지에 있기 때문이다. 간접적 과정은 이러한 경지에 오르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그들은 버림, 지식, 명상, 초영혼, 그리고 브라흐만의 깨달음을 이루는 점진적 과정을 따라야 한다. 그렇지만 바가바드 기따는 직접적 길을 강조한다. 누구나 직접적 길을 택해 최고인격신 끄리쉬나께 항복하라고 권장된다.

On voit donc, en résumé, que deux voies mènent au but suprême, à Dieu: l’une est directe, l’autre graduelle. La voie directe consiste à pratiquer le service de dévotion dans la conscience de Kṛṣṇa, et la voie indirecte à renoncer aux fruits de ses actes pour arriver à la connaissance, puis à la méditation, puis à la réalisation du Paramātmā et, finalement, à Dieu, la Personne Suprême. On peut donc prendre soit la voie rapide, soit la voie qui oblige à avancer pas à pas. Et parce que tous ne sont pas capables de suivre la première méthode, la seconde est également valable. Toutefois, comprenons bien que Kṛṣṇa ne recommande pas la voie indirecte à Arjuna, car celui-ci a déjà atteint l’étape du service d’amour et de dévotion à Dieu. La voie indirecte ne concerne que ceux qui n’ont pas encore atteint ce niveau. Ils doivent s’élever graduellement du renoncement à la connaissance, puis de la connaissance à la méditation et enfin réaliser l’Âme Suprême et le Brahman. La Bhagavad-gītā, quant à elle, souligne la voie directe, et conseille à tous de s’abandonner directement à Dieu, la Personne Suprême, Kṛṣṇ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