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1절

TEXT 1

원문

Text

아르주나 우바짜 arjuna uvāca
에밤 사따따-육따 예 evaṁ satata-yuktā ye
박따스 뜨밤 빠류빠사떼 bhaktās tvāṁ paryupāsate
예 짜뺙샤람 아뱍땀 ye cāpy akṣaram avyaktaṁ
떼샴 께 요가-빗따마하 teṣāṁ ke yoga-vittamāḥ
arjuna uvāca
evaṁ satata-yuktā ye
bhaktās tvāṁ paryupāsate
ye cāpy akṣaram avyaktaṁ
teṣāṁ ke yoga-vittamāḥ

동의어

Synonyms

아르주나 우바짜: 아르주나가 말했다, 에밤: 따라서, 사따따: 항상, 육따하: 종사하는, 예: 하는 자들, 박따하: 헌애자들, 뜨밤: 당신, 빠류빠사떼: 올바로 숭배하다, 예: 하는 자들, 짜: 또는, 아삐: 다시, 악샤람: 감각을 초월하여, 아뱍땀: 발현되지 않은 것들, 떼샴: 그들의, 께: 그, 요가-빗-따마하: 요가에 관한 가장 완벽한 지식.

arjunaḥ uvāca — Arjuna said; evam — thus; satata — always; yuktāḥ — engaged; ye — those who; bhaktāḥ — devotees; tvām — You; paryupāsate — properly worship; ye — those who; ca — also; api — again; akṣaram — beyond the senses; avyaktam — the unmanifested; teṣām — of them; ke — who; yoga-vit-tamāḥ — the most perfect in knowledge of yoga.

번역

Translation

아르주나가 질문했습니다: 당신을 위한 봉헌에 항상 종사하는 자들과 발현하지 않은 비인성적 브라흐만을 숭배하는 자 중에서 누가 더 완벽하다고 여겨집니까?

Arjuna inquired: Which are considered to be more perfect, those who are always properly engaged in Your devotional service or those who worship the impersonal Brahman, the unmanifested?

주석

Purport

끄리쉬나께서 이제 인성과 비인성, 우주, 그리고 모든 종류의 헌애자와 요기를 설명하신다. 일반적으로, 초월주의자는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인성주의자들이고, 다른 하나는 비인성주의자들이다. 인성주의 헌애자들은 모든 힘을 지고한 주의 봉사에 쏟아붓는다. 비인성주의자들도 간접적으로 끄리쉬나의 봉사에 종사하는데, 그들은 발현하지 않은 비인성적 브라흐만에 대해 명상한다.

Kṛṣṇa has now explained about the personal, the impersonal and the universal and has described all kinds of devotees and yogīs. Generally, the transcendentalists can be divided into two classes. One is the impersonalist, and the other is the personalist. The personalist devotee engages himself with all energy in the service of the Supreme Lord. The impersonalist also engages himself, not directly in the service of Kṛṣṇa but in meditation on the impersonal Brahman, the unmanifested.

우리는 이 장에서 절대 진리를 깨닫는 여러 과정 중 박띠 요가, 즉 봉헌이 최상의 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최고인격신과 교류하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봉헌을 시작해야 한다.

We find in this chapter that of the different processes for realization of the Absolute Truth, bhakti-yoga, devotional service, is the highest. If one at all desires to have the association of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then he must take to devotional service.

봉헌으로 지고한 주를 직접 숭배하는 자들을 인성주의자라고 한다. 비인성적 브라흐만에 대해 명상만 하는 자들을 비인성주의자라고 한다. 아르주나는 여기에서 어느 것이 더 나은지 묻고 있다. 절대 진리를 깨닫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이 장에서 끄리쉬나께서는 박띠 요가, 즉 당신을 향한 봉헌이 최상이라고 말씀하신다. 이것은 가장 직접적이고 가장 쉽게 절대신을 만나는 방법이다.

Those who worship the Supreme Lord directly by devotional service are called personalists. Those who engage themselves in meditation on the impersonal Brahman are called impersonalists. Arjuna is here questioning which position is better. There are different ways to realize the Absolute Truth, but Kṛṣṇa indicates in this chapter that bhakti-yoga, or devotional service to Him, is the highest of all. It is the most direct, and it is the easiest means for association with the Godhead.

바가바드 기따 제2장에서 지고한 주께서 생명체는 물질적 육신이 아니라 영적 불꽃이라고 설명하셨다. 그리고 절대 진리는 영적 완전체이다. 제7장에서 당신은 생명체가 지고한 전체의 부분이라고 말씀하시고 우리의 관심을 이 완전체에 돌리도록 권고하셨다. 그리고 다시 제8장에서 죽음의 순간에 끄리쉬나를 생각하는 자는 누구나 곧 영계, 끄리쉬나의 보금자리로 돌아간다고 하셨다. 제6장의 끝에서 모든 요기 중에서 자기 안에서 항상 끄리쉬나를 생각하는 자가 가장 완벽하다고 주께서 분명하게 말씀하셨다. 따라서 사실상 모든 장에서 우리가 끄리쉬나의 인간적 형상에 애착을 가져야 한다고 결론 내렸고, 이것이 바로 가장 높은 영적 깨달음이다.

In the Second Chapter of Bhagavad-gītā, the Supreme Lord explained that a living entity is not the material body; he is a spiritual spark. And the Absolute Truth is the spiritual whole. In the Seventh Chapter He spoke of the living entity as being part and parcel of the supreme whole and recommended that he transfer his attention fully to the whole. Then again in the Eighth Chapter it was said that anyone who thinks of Kṛṣṇa at the time of quitting his body is at once transferred to the spiritual sky, to the abode of Kṛṣṇa. And at the end of the Sixth Chapter the Lord clearly said that of all yogīs, one who always thinks of Kṛṣṇa within himself is considered the most perfect. So in practically every chapter the conclusion has been that one should be attached to the personal form of Kṛṣṇa, for that is the highest spiritual realization.

그런데도, 끄리쉬나의 인간적 형상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 자들이 있다. 그들은 그것에 너무나 초연하여 바가바드 기따를 논평할 때도 끄리쉬나보다는 비인성적 브라흐마 죠띠에 봉헌하도록 사람들을 오도한다. 그들은 감각의 영역 밖에 있으며 발현하지 않은 비인성적 형태의 절대 진리에 대해 명상하는 것을 선호한다.

Nevertheless, there are those who are not attached to the personal form of Kṛṣṇa. They are so firmly detached that even in the preparation of commentaries to Bhagavad-gītā they want to distract other people from Kṛṣṇa and transfer all devotion to the impersonal brahma-jyotir. They prefer to meditate on the impersonal form of the Absolute Truth, which is beyond the reach of the senses and is not manifest.

이렇게 두 부류의 초월주의자가 실제로 있다. 이제 아르주나는 어느 과정이 더 쉽고, 누가 더 완벽한지 결론을 들으려 하고 있다. 다른 말로 하면, 그는 끄리쉬나의 인간적 형상에 애착을 가지고 있기에 자기 위치를 분명히 하고 있다. 그는 비인성적 브라흐만에 사로잡혀 있지 않다. 그는 자기 위치가 안전한지 알고 싶어 한다. 비인성적 현현은 물질계에서든, 지고한 주가 계시는 영계에서든 문제가 되는 명상이다. 실제로 우리는 절대 진리의 비인성적 특징을 완벽히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아르주나는 “그런 시간 낭비 같은 명상이 무슨 소용이 있는가?”라고 말하고자 한다. 제11장에서 아르주나는 다른 모든 형상도 이해하면서 동시에 끄리쉬나를 향한 사랑에도 흔들림이 없는 끄리쉬나의 인간적 형상에 애착을 갖는 것이 제일 좋다는 것을 경험했다. 아르주나가 끄리쉬나께 제기한 이 중요한 문제는 절대 진리의 인성적 개념과 비인성적 개념의 차이를 명백히 밝힐 것이다.

And so, factually, there are two classes of transcendentalists. Now Arjuna is trying to settle the question of which process is easier and which of the classes is most perfect. In other words, he is clarifying his own position because he is attached to the personal form of Kṛṣṇa. He is not attached to the impersonal Brahman. He wants to know whether his position is secure. The impersonal manifestation, either in this material world or in the spiritual world of the Supreme Lord, is a problem for meditation. Actually, one cannot perfectly conceive of the impersonal feature of the Absolute Truth. Therefore Arjuna wants to say, “What is the use of such a waste of time?” Arjuna experienced in the Eleventh Chapter that to be attached to the personal form of Kṛṣṇa is best because he could thus understand all other forms at the same time and there was no disturbance to his love for Kṛṣṇa. This important question asked of Kṛṣṇa by Arjuna will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mpersonal and personal conceptions of the Absolute Tr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