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제17 절

TEXT 17

원문

Tekst

까탐 비디암 아함 요김스 kathaṁ vidyām ahaṁ yogiṁs
뜨밤 사다 빠리찐따얀 tvāṁ sadā paricintayan
께슈 께슈 짜 바베슈 keṣu keṣu ca bhāveṣu
찐뚀’시 바가반 마야 cintyo ’si bhagavan mayā
kathaṁ vidyām ahaṁ yogiṁs
tvāṁ sadā paricintayan
keṣu keṣu ca bhāveṣu
cintyo ’si bhagavan mayā

동의어

Synonyms

까탐: 어떻게, 비댬 아함: 내가 알 것이다, 요긴: 오 최상의 신비주의자이시여, 뜨밤: 당신, 사다: 항상, 빠리찐따얀: 생각하는, 께슈: 그곳에, 께슈: 그곳에, 짜: 또한, 바베슈: 본성, 찐따야하 아시: 당신은 기억되어야 한다, 바가반: 오 절대자여, 마야: 나에 의해.

katham — kuidas; vidyām aham — saan Ma teada; yogin — oo, kõrgeim müstik; tvām — Sinust; sadā — alati; paricintayan — mõeldes; keṣu — millises; keṣu — millises; ca — samuti; bhāveṣu — loodustes; cintyaḥ asi — Sind tuleb meeles pidada; bhagavan — oo, Kõigekõrgem; mayā — minu poolt.

번역

Translation

오 끄리쉬나, 오 최상의 신비주의자이시여, 어떻게 하면 제가 항상 당신을 생각할 수 있고, 어떻게 하면 당신을 알 수 있습니까? 어떠한 형상으로 당신을 기억해야 합니까, 오 최고인격신이시여?

Oo, Kṛṣṇa, oo, kõrgeim müstik, kuidas saan ma mõelda alati Sinust, kuidas saan ma Sind tunda? Oo, Jumala Kõrgeim Isiksus! Millistel erinevatel kujudel tuleb Sind meeles pidada?

주석

Purport

앞 장에서 말한 것처럼, 최고인격신은 당신의 요가 마야로 가려져 있다. 오직 항복한 영혼과 헌애자들만 당신을 볼 수 있다. 이제 아르주나는 그의 친구, 끄리쉬나가 최고인격신이라는 것을 확신하고 있지만, 보통 사람들이 모든 곳에 편재하시는 주를 이해할 수 있는 일반적 과정을 알고자 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아르주나가 하는 이러한 질문은 바로 우리를 위한 것이다. 뛰어난 헌애자는 자신의 이해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의 이해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래서 아르주나는 바이쉬나바, 즉 헌애자이기에 자비를 베풀어 보통 사람을 위해 지고한 주의 편재하심에 관해 이해를 열어 주고 있다. 그는 끄리쉬나를 특히 신비주의자로 표현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스리 끄리쉬나께서 요가 마야 에너지의 주인이시며, 그것으로 보통 사람들을 가리거나 드러내시기 때문이다. 끄리쉬나를 향한 사랑이 없는 일반인들은 끄리쉬나를 항상 생각할 수 없다. 그러므로 그들은 물질적으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아르주나는 이 세상의 물질주의적 인간들의 사고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께슈 께슈 짜 바베슈(keṣu keṣu ca bhāveṣu)라는 말은 물질적 본성(“바바”란 말은 “물리적 본성”을 의미함)을 뜻한다. 물질주의자들은 끄리쉬나를 영적으로 이해할 수 없어서 그들에게는 물리적인 것들에 마음을 집중하면서, 끄리쉬나가 어떻게 물리적 현상으로 나타나는지 보는 노력을 하라고 조언한다.

Nagu öeldud eespool, on Jumala Kõrgeim Isiksus kaetud Oma yoga- māyāga. Ainult Temale alistunud pühendunud hinged suudavad Teda näha. Arjuna on nüüd veendunud, et tema sõber Kṛṣṇa on Kõigekõrgem Jumal, kuid ta tahab teada, milline on see protsess tavaliselt, mille kaudu ka lihtinimesed suudaksid kõikeläbivat Jumalat mõista. Tavalised inimesed, sealhulgas ka deemonid ja ateistid, ei saa Kṛṣṇat tunda, sest Kṛṣṇat kaitseb Tema yoga-māyā energia. Selles värsis esitab Arjuna küsimusi jällegi tavaliste inimeste jaoks. Kõrgelt arenenud pühendunu ei soovi mitte üksnes isiklikult Kõigekõrgemat teadvustada, vaid tahab, et kogu inimkond jõuaks selleni. Seetõttu avab Arjuna oma armust, kuna ta on vaiṣṇava (pühendunu), ukse Kõigekõrgema Jumala kõikeläbivuse mõistmiseks ka tavalistele inimestele. Ta ei pöördu Kṛṣṇa poole sõnaga yogin mitte juhuslikult, vaid rõhutab sellega, et yoga-māyā energia, mille läbi Śrī Kṛṣṇa on tavalisele inimesele kas nähtamatu või nähtav, valitsejaks on Kṛṣṇa Ise. Tavaline inimene, kes ei armasta Kṛṣṇat, ei saa pidevalt Kṛṣṇast mõtelda, ning seetõttu on ta sunnitud mõtlema materialistlikul moel. Arjuna võtab selle maailma materialistliku meelestatusega inimeste mõtteviisi arvesse. Sõnad keṣu keṣu ca bhāveṣu viitavad materiaalsele loodusele (sõna bhāva tähendab siin „füüsiliselt eksisteerivad asjad"). Kuna materialistid ei saa mõista Kṛṣṇat vaimselt, soovitatakse neile keskendada oma mõtted füüsiliselt eksisteerivatele asjadele ning püüda näha, kuidas Kṛṣṇa on füüsilistes avaldumistes esindat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