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8

제28절

Texte

원문

vedeṣu yajñeṣu tapaḥsu caiva
dāneṣu yat puṇya-phalaṁ pradiṣṭam
atyeti tat sarvam idaṁ viditvā
yogī paraṁ sthānam upaiti cādyam
베데슈 야계슈 따빠수 짜이바 vedeṣu yajñeṣu tapaḥsu caiva
다네슈 얏 뿐야-팔람 쁘라디쉬땀 dāneṣu yat puṇya-phalaṁ pradiṣṭam
아뗴띠 땃 사르밤 이담 비디뜨바 atyeti tat sarvam idaṁ viditvā
요기 빠람 스타남 우빠이띠 짜댬 yogī paraṁ sthānam upaiti cādyam

Synonyms

동의어

vedeṣu: par l’étude des Védas; yajñeṣu: par les sacrifices (yajñas); tapaḥsu: en se soumettant à différents types d’austérités; ca: aussi; eva: certes; dāneṣu: en donnant en charité; yat: ce qui; puṇya-phalam: le résultat des actes pieux; pradiṣṭam: indiqués; atyeti: surpasse; tat sarvam: tous ceux-là; idam: cela; viditvā: sachant; yogī: le dévot; param: suprême; sthānam: la demeure; upaiti: atteint; ca: aussi; ādyam: originelle.

베데슈: 베다를 공부하는 데에서, 야계슈: 야갸(제사)를 수행하는 데에서, 따빠수: 여러 종류의 고행을 하는 데에서, 짜: 또한, 에바: 분명히, 다네슈: 자선을 하는 데에서, 얏: 그것, 뿐야-팔람: 선한 일의 결과, 쁘라디쉬땀: 가리키는, 아뗴띠: 초월하다, 땃 사르밤: 그러한 모든 것, 이담: 이것, 비디뜨바: 아는, 요기: 헌애자, 빠람: 최상의, 스타남: 보금자리, 우빠이띠: 달성하다, 짜: 또한, 아댬: 원래의.

Translation

번역

Celui qui emprunte la voie du service de dévotion n’est en rien privé des fruits que confèrent l’étude des Védas, les sacrifices, les austérités, les actes charitables, la recherche philosophique et l’action intéressée. Par sa seule pratique dévotionnelle, il les obtient tous et atteint à la fin le royaume suprême et éternel.

봉헌의 길을 받아들인 자가 베다를 공부하고, 어려운 제사를 거행하고, 고행하고, 자선하고 또는 철학적이거나 결실적 행위를 추구하는 데에서 오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봉헌을 행함으로써 그는 이 모든 것을 달성하게 되고, 결국 최상의 영원한 보금자리에 이르게 되느니라.

Purport

주석

Ce verset résume les septième et huitième chapitres, qui traitent tout particulièrement de la conscience de Kṛṣṇa et du service de dévotion. Il est essentiel d’étudier les Védas sous la direction d’un maître spirituel et d’accepter de vivre auprès de lui une vie de grande austérité. Le brahmacārī doit vivre sous le toit du maître spirituel, en humble serviteur, et demander l’aumône de maison en maison pour la lui rapporter. Il ne doit prendre son repas que sur son ordre, et, si un jour cet ordre ne vient pas, il jeûne. Ce sont là quelques-uns des principes védiques du brahmacarya.

이 절은 제7장과 제8장의 요약으로, 특히 끄리쉬나 의식과 봉헌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영적 스승의 지도에 따라 베다를 공부해야 하고, 그의 보살핌 속에서 사는 동안 여러 가지 금욕과 고행을 해야한다. 브라흐마짜리는 영적 스승의 집에서 종처럼 살아야 하고, 집집마다 구걸하여 얻은 것을 스승에게 바쳐야 한다. 스승의 허락 후에만 음식을 먹고, 만약 스승이 음식을 먹으라고 제자를 부르지 않으면 제자는 그날 굶어야 한다. 이것이 브라흐마짜리아의 맹세를 지키는 베다 원칙의 일부이다.

Après avoir étudié les Védas, de l’âge de cinq ans jusqu’à sa vingtième année, sous la conduite de son maître spirituel, le brahmacārī pourra devenir un homme de parfait caractère. L’étude des Védas, en effet, n’est pas un passe-temps pour des penseurs occupés à spéculer au fond de leur fauteuil, mais sert à former des hommes parfaits. Après avoir reçu cette formation, le brahmacārī peut se marier et fonder un foyer. Il effectue dès lors toutes sortes d’oblations afin de poursuivre son cheminement spirituel. Il donne en charité en tenant compte du temps et des circonstances, ainsi que de la nature de la personne à qui s’adressent les dons. Il sait discerner, à la lumière de la Bhagavad-gītā, la charité relevant de la vertu, de la passion ou de l’ignorance. Enfin, en temps opportun, il quitte la vie familiale et sociale pour embrasser le vānaprastha, où il entreprend une ascèse sévère: il habite la forêt, s’habille avec l’écorce des arbres, ne se rase plus, etc. L’homme passant ainsi du brahmacārya au gṛhastha-āśrama, puis du vānaprastha-āśrama au sannyāsa, s’élève jusqu’au stade le plus parfait de l’existence. Parmi les hommes qui suivent ce processus certains iront sur les planètes édéniques, et ceux qui progresseront encore davantage atteindront une destination purement spirituelle: soit le brahmajyoti, soit les planètes Vaikuṇṭhas, soit Kṛṣṇaloka. Telle est la voie tracée par les Écritures védiques.

적어도 다섯 살에서 스무 살까지 스승 밑에서 베다를 공부한 다음, 제자는 온전한 인성을 갖춘 사람이 될 수 있다. 베다를 공부하는 것은 탁상공론하는 사상가들의 오락을 위해서가 아니라 인격 형성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훈련 후에 브라흐마짜리는 결혼해서 가정을 갖도록 허락된다. 가장이 되면 여러 제사를 거행해야 하며 그렇게 하여 더 많은 깨달음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바가바드 기따에 설명된 대로, 선성(善性), 동성(動性), 암성(暗性)의 양태에 있는 자선을 구분해 때와 장소, 사람에 맞게 기부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가정생활에서 은퇴한 다음, 바나쁘라스타의 질서를 받아들인 즉시, 숲에 살고, 나무껍질로 옷을 입고, 면도하지 않는 등 엄격한 고행을 해야 한다. 인간은 브라흐마짜리아, 가정인의 삶, 바나쁘라스타, 그리고 마침내 산냐사의 질서를 따름으로써 삶의 완성에 오르게 된다. 그래서 일부는 천상의 왕국들로 올라가고, 그들이 더 나아가게 될 때, 비인성적 브라흐마죠띠 또는 바이꾼타 행성이나 끄리쉬나로까의 영적 세계에서 해방을 이룬다.

La remarquable particularité de la conscience de Kṛṣṇa, toutefois, est qu’elle permet de dépasser d’un coup, par la pratique du service de dévotion, tous les rites propres aux quatre ordres mentionnés.

그러나 끄리쉬나 의식의 아름다움은 봉헌에 종사함으로써, 단번에 다른 여러 질서의 삶에서 해야 할 희생 절차를 모두 초월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Les mots idaṁ viditvā indiquent qu’il faut chercher à comprendre l’enseignement dispensé par Kṛṣṇa dans les septième et huitième chapitres de la Bhagavad-gītā. Et cela en les étudiant avec des dévots, et non pas en comptant sur notre érudition ou nos spéculations intellectuelles. Les chapitres sept à douze forment l’essence de la Bhagavad-gītā. Particulièrement chers au Seigneur, ils sont étayés par les six premiers et les six derniers chapitres de l’ouvrage. Si une personne a le bonheur de comprendre la Bhagavad-gītā en la compagnie de dévots, et plus particulièrement les six chapitres du milieu, sa vie devient plus glorieuse que si elle avait fait tous les sacrifices, austérités, aumônes et spéculations possible; elle obtient tous les bénéfices de ces différentes pratiques par la seule conscience de Kṛṣṇa.

이담 비디뜨바(idaṁ viditvā)라는 말은 바가바드 기따의 제7장과 이 장에서 스리 끄리쉬나께서 주신 지시 사항을 이해해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이러한 장들을 학문적으로나 정신적 사색이 아닌 헌애자들과의 교제를 통해 들어야만 한다. 제7장에서 제12장에 이르는 장들은 바가바드 기따의 핵심이다. 전반의 여섯 장과 후반의 여섯 장은 특별히 주의 보호를 받는 중반의 여섯 장을 위한 덮개와 같다. 우리가 헌애자와의 교제 속에서 바가바드 기따를, 특히 이 중반의 여섯 장을 다행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의 삶은 모든 고행, 제사, 자선, 사색 등을 넘어선 영예로운 삶이 되는데, 그 이유는 단지 끄리쉬나 의식으로만 이 모든 활동의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Si l’on a la moindre foi en la Bhagavad-gītā, il faut en étudier les enseignements auprès d’un dévot, car il est le seul, comme le confirme le début du quatrième chapitre, qui en saisisse parfaitement le sens et l’objet. La foi nous incite à recevoir de lui la Bhagavad-gītā, plutôt que de n’importe quel spéculateur. En recherchant et en gardant la compagnie des dévots, on en vient à étudier puis à comprendre la Bhagavad-gītā. On entame alors la pratique du service de dévotion, lequel dissipe tous nos doutes, toutes nos erreurs sur Kṛṣṇa, Sa forme, Son nom, Ses divertissements, Ses activités, etc. Dès lors, on se fixe dans son étude. On en retire une grande joie et en fin de compte, on parvient au stade où l’on demeure toujours conscient de Kṛṣṇa. Au stade le plus élevé, l’amour de Kṛṣṇa submerge le dévot. Ce niveau de perfection le conduit jusqu’à Goloka Vṛndāvana, demeure de Kṛṣṇa dans le monde spirituel, où il goûte le bonheur éternel.

바가바드 기따에 약간의 믿음이라도 있는 자는 헌애자에게서 기따를 배워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제4장의 서두에서  바가바드 기따는 오직 헌애자들에 의해서만 이해될 수 있으며, 그 누구도 바가바드 기따의 취지를 완벽히 이해할 수 없다고 분명히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정신적 사색가들이 아닌 끄리쉬나의 헌애자에게서 바가바드 기따를 배워야 한다. 이것은 믿음의 표시이다. 우리가 헌애자를 찾아서 마침내 그 헌애자와 교류하게 될 때, 실제로 바가바드 기따의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고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헌애자와의 교류 속에서 나아감으로써 봉헌을 하게 되고, 이러한 봉헌은 끄리쉬나, 즉 절대신과 끄리쉬나의 활약, 형상, 유희, 이름, 그리고 다른 특징들에 대한 의구심을 없애버린다. 이러한 의구심이 완전히 사라진 후에야 공부에 전념하게 된다. 그러면 바가바드 기따 공부를 만끽하고 항상 끄리쉬나 의식 상태에 있는 느낌을 얻는다. 진보한 단계에서 우리는 끄리쉬나와 완전한 사랑에 빠진다. 이러한 삶의 가장 높은 완성의 경지에 이르면 헌애자가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곳, 골로까 브린다반, 즉 영적 하늘에 있는 끄리쉬나의 보금자리로 갈 수 있게 된다.

Ainsi s’achèvent les teneurs et portées de Bhaktivedanta sur le huitième chapitre de la Śrīmad Bhagavad-gītā traitant de la voie menant au Suprême.

이로써 스리마드 바가바드 기따의 제8장, 절대자에게 이르기에 대한 박띠베단따 주석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