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13

제13절

Texte

원문

jñeyaṁ yat tat pravakṣyāmi
yaj jñātvāmṛtam aśnute
anādi mat-paraṁ brahma
na sat tan nāsad ucyate
계얌 얏 땃 쁘라박샤미 jñeyaṁ yat tat pravakṣyāmi
얏 갸뜨밤리땀 아스누떼 yaj jñātvāmṛtam aśnute
아나디 맛-빠람 브라흐마 anādi mat-paraṁ brahma
나 삿 딴 나삳 우쨔떼 na sat tan nāsad ucyate

Synonyms

동의어

jñeyam: connaissable; yat: ce; tat: que; pravakṣyāmi: J’expliquerai maintenant; yat: ce que; jñātvā: sachant; amṛtam: le nectar; aśnute: on goûte; anādi: sans commencement; mat-param: subordonné à Moi; brahma: l’Esprit; na: ne pas; sat: cause; tat: que; na: non plus; asat: effet; ucyate: est dit être.

계얌: 알아야 하는 것, 얏: 그것, 땃: 저것, 쁘라박샤미: 내가 이제 설명할 것이다, 얏: 그것, 갸뜨바: 아는, 암리땀: 감로수, 아스누떼: 맛보다, 아나디: 시작 없는, 맛-빠람: 내게 종속된, 브라흐마: 영혼, 나: 아니다, 삿: 원인, 땃: 저것, 나: 아니다, 아삿: 결과, 우쨔떼: 라고 하다.

Translation

번역

Je vais maintenant t’instruire de l’objet du savoir, lequel te permettra de goûter l’éternité. Le Brahman, l’Esprit, est sans commencement, à Moi subordonné, et se situe au-delà des causes et des effets du monde matériel.

이제 내가 알아야 할 것을 설명할 것인데, 이를 알면 영원함을 맛볼 것이니라. 혼이며 시작이 없고 내게 종속된 브라흐만은 이 물질계의 인과를 넘어 존재한다.

Purport

주석

Le Seigneur a décrit le champ d’action, le connaissant de ce champ, de même que le moyen d’appréhender ce connaissant. Il commence maintenant à décrire l’objet du savoir: l’âme distincte et l’Âme Suprême. Connaître ces deux connaissants, l’âme et l’Âme Suprême, permet de goûter le nectar de l’existence. L’âme, comme on l’a vu au second chapitre, est éternelle, ce que confirme ce verset. Les jīvas ne sont pas nés à un moment précis. Nul, en effet, ne saurait déterminer le temps où ils auraient émané du Seigneur Suprême. Ils sont sans commencement. Ce que corroborent les Textes védiques (Kaṭha Upaniṣad 1.2.18): na jāyate mriyate vā vipaścit – « Jamais le connaissant du corps ne naît ni ne meurt et il a connaissance de tout. »

주께서 행위의 장과 그것을 아는 자를 설명하셨다. 그리고 행위의 장을 아는 자를 알아가는 과정 또한 설명하셨다. 이제 주는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 먼저 영혼과 그다음 초영혼을 설명하신다. 영혼과 초영혼을 아는 자에 관한 지식으로 우리는 삶의 감로수를 맛볼 수 있다. 제2장에서 설명했듯이 생명체는 영원하다. 이것 역시 여기에서 확증되었다. 지바가 태어난 특정 시점이라는 것은 없다. 또한 그 누구도 지바뜨마가 지고한 주에게서 발현된 역사를 추적할 수도 없다. 따라서 영혼은 시작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베다의 문헌은 이것을 확증한다. “나 자야떼 므리야떼 바 비빠스찟(na jāyate mriyate vā vipaścit《까타 우빠니샤드 1.2.18》).” 육신을 아는 자는 절대 태어나지도 죽지도 않으며, 지식으로 가득하다.

Ces mêmes textes (Śvetāśvatara Upaniṣad 6.16) décrivent également le Seigneur en tant qu’Âme Suprême: pradhāna-kṣetrajña-patir guṇeśaḥ – le Seigneur est le principal connaissant du corps et le maître des trois modes d’influence de la nature matérielle. Et la smṛti ajoute: dāsa-bhūto harer eva nānyasyaiva kadācana – les êtres distincts sont éternellement au service du Seigneur Suprême. Ce que confirme par ailleurs Śrī Caitanya dans Ses enseignements. Par suite, la description du Brahman, telle qu’elle est donnée dans ce verset, s’applique à l’âme infinitésimale. Lorsque, comme ici, le mot Brahman est utilisé pour désigner l’être distinct, c’est du vijñāna-brahma qu’il s’agit, par opposition à l’ānanda-brahma, qui désigne le Brahman, le Seigneur Suprême.

초영혼으로서 지고한 주는 베다 문헌에서 “쁘라다나 끄쉐뜨라갸 빠띠르 구네샤하(pradhāna-kṣetrajña-patir guṇeśaḥ 《스베따스바따라 우빠니샤드》)”, 즉 육신을 아는 자 중 최고이며 물질적 본성의 세 가지 양태의 주인으로 언급된다. 스므리띠에서 말하기를, “다사-부또 하레르 에바 나냐스바이바 까다짜나(dāsa-bhūto harer eva nānyasvaiva kadācana)”, 즉 생명체는 지고한 주께 영원히 봉사하는 존재이다. 이것은 주 짜이따냐의 가르침에서도 확인된다. 따라서 이 절에서 언급된 브라흐만에 대한 설명은 개별 영혼에 관한 것이며, 이렇게 브라흐만이라는 말이 생명체에 적용될 때, 이것은 아난다-브라흐마와 상반되는 비갸나-브라흐마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난다-브라흐마란 최고 브라흐만 인격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