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9

제29절

Tekst

원문

jarā-maraṇa-mokṣāya
mām āśritya yatanti ye
te brahma tad viduḥ kṛtsnam
adhyātmaṁ karma cākhilam
자라-마라나-목샤야 jarā-maraṇa-mokṣāya
맘 아스리땨 야딴띠 예 mām āśritya yatanti ye
떼 브라흐마 딷 비두후 끄릿스남 te brahma tad viduḥ kṛtsnam
아댜뜨맘 까르마 짜킬람 adhyātmaṁ karma cākhilam

Synonyms

동의어

jarā — vanadusest; maraṇa — ja surmast; mokṣāya — vabanemise eesmärgil; mām — Mind; āśritya — otsides varjupaika; yatanti — püüdlevad; ye — kõik need, kes; te — sellised inimesed; brahma — Brahman; tat — tegelikult see; viduḥ — nad teavad; kṛtsnam — kõike; adhyātmam — transtsendentaalsed; karma — tegevused; ca — samuti; akhilam — täielikult.

자라: 노년, 마라나: 그리고 죽음, 목샤야: 해방의 목적을 위해, 맘: 나에게, 아스리땨: 은신하는, 야딴띠: 노력하다, 예: 그러한 모든 자, 떼: 그런 사람들, 브라흐마: 브라흐만, 땃: 사실상, 비두후: 그들은 안다, 끄릿스남: 모든 것, 아댜뜨맘: 초월적, 까르마: 행위들, 짜: 또한, 아킬람: 전적으로.

Translation

번역

Arukad inimesed, kes püüdlevad vanadusest ja surmast vabanemise poole, otsivad varjupaika Minu pühendunud teenimises. Nad on tõesti Brahmani tasandil, sest nad teavad täielikult kõike transtsendentaalsetest tegevustest.

늙음과 죽음에서 해방되고자 노력하는 총명한 자들은 봉헌으로 나에게 은신하느니라. 그들은 초월적 행위에 관해 모든 것을 알기에 그들이 진실로 브라흐만이다.

Purport

주석

Sünnist, surmast, vanadusest ja haigustest saab rääkida vaid seoses materiaalse, mitte aga vaimse kehaga. Vaimse keha jaoks ei eksisteeri sündi, surma, vanadust ega haigusi. Seega saab vaimses kehas viibija üheks Jumala Kõrgeima Isiksuse kaaslastest, pühendudes igaveseks Jumala teenimisele ning saavutab tõelise vabanemise. Ahaṁ brahmāsmi: „Ma olen hing." Inimene peab mõistma, et ta on Brahman, vaimne hing. See, kes tegeleb pühendunud teenimisega, asub samuti sellest arusaamast lähtuva elukäsitluse tasandil, nagu kirjeldatakse käesolevas värsis. Puhtad pühendunud asetsevad transtsendentaalselt Brahmani tasandil ning nad teavad kõike transtsendentaalsetest tegevustest.

생로병사는 이 물질적 육신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영적 몸에는 그렇게 하지 못한다. 영적 몸에는 생로병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적 몸을 얻어서 최고인격신의 동반자 중 하나가 되어 영원한 봉헌에 종사하는 자가 진정 해방된 자이다. “아함 브라흐마스미(Ahaṁ brahmāsmi), 즉 나는 영혼이다.” 우리는 브라흐만, 영혼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절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삶에 관한 이 브라흐만 개념 역시 봉헌에 속한다. 순수한 헌애자들은 초월적인 브라흐만의 경지에 있으며, 그들은 초월적 행위에 관한 모든 것을 안다.

Neli kategooriat ebapuhtaid pühendunuid, kes rakendavad end Jumala transtsendentaalsesse teenimisse, saavutavad oma eesmärgi ning Kõigekõrgema Jumala armu läbi saavad nad täielikult Kṛṣṇa teadvuses viibides nautida Kõigekõrgema Jumalaga vaimset suhtlemist. Kuid need, kes kummardavad pooljumalaid, ei jõua kunagi Kõigekõrgema Jumalani Tema kõrgeimal planeedil. Ka vähem arukad Brahmanit teadvustanud inimesed ei jõua Goloka Vṛndāvana nime all tuntud kõrgeimale Kṛṣṇa planeedile. Ainult neid inimesi, kes tegutsevad Kṛṣṇa teadvuses viibides (mām āśritya), saab nimetada Brahmaniks, sest nemad püüdlevad tõepoolest Kṛṣṇa planeedile jõudmise poole. Sellistel inimestel pole Kṛṣṇa suhtes mingeid kahtlusi ning seega on nad tõepoolest Brahman.

주의 초월적 봉사에 종사하는 네 부류의 순수하지 않은 헌애자들은 각기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고, 지고한 주의 은총으로 그들이 완전한 끄리쉬나 의식이 될 때, 그들은 실제로 지고한 주와 영적 교류를 즐긴다. 그러나 데바들을 숭배하는 자들은 최상의 행성에 계시는 지고한 주께 절대 도달할 수 없다. 브라흐만 깨달음만을 얻은 자들은 지성이 모자라 골로까 브린다반으로 알려진 끄리쉬나의 가장 높은 행성에 이를 수 없다. 오직 끄리쉬나 의식으로 행동하는 사람들(맘 아스리땨 mām āśritya)만이 실제로 브라흐만이라 불릴 자격이 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은 끄리쉬나의 행성에 이르고자 실제로 노력하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은 끄리쉬나에 관해 어떠한 의심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이 사실 브라흐만이다.

Need, kes teenivad Jumala arcā kuju või kes mediteerivad Jumalale üksnes materiaalsetest köidikutest vabanemise nimel, teavad Jumala armust samuti Brahmani, adhibhūta jne tähendust, nii nagu Jumal seda järgmises peatükis selgitab.

주의 아르짜(arcā), 즉 형상을 숭배하는 데 종사하거나, 단지 물질적 속박에서 벗어나고자 주에 관해 명상하는 데 전념하는 자들 또한 주의 은총으로 브라흐만, 아디부따(adhibhūta) 등의 취지를 알게 되는데, 다음 장에서 주께서 이것을 설명하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