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KOLMETEISTKÜMNES PEATÜKK

제13장

Loodus, nautija ja teadvus

물질과 향유자, 그리고 의식

TEXTS 1-2:
Arjuna ütles: Oo, mu kallis Kṛṣṇa, ma tahaksin teada saada prakṛtist [loodusest], puruṣast [nautijast], tegevusväljast ja tegevusvälja tundjast ning samuti teadmistest ning teadmiste objektist. Jumala Kõrgeim Isiksus vastas: Seda keha, oo, Kuntī poeg, nimetatakse tegevusväljaks, ning seda, kes seda keha tunneb, nimetatakse tegevusvälja tundjaks.
제1~2절:
아르주나가 말했습니다: 오 제 소중한 끄리쉬나여, 저는 쁘라끄리띠(물질)와 뿌루샤(향유자), 그리고 터와 이 터를 아는 자, 그리고 지식과 지식의 대상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최고인격신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오 꾼띠의 아들이여, 이 육신을 터라 하고 이 육신을 아는 자를 터를 아는 자라고 하느니라.
TEXT 3:
Oo, Bharata järglane, tea, et ka Mina olen keha tundja, kuid Ma viibin kõikides kehades. Keha ja selle tundja mõistmist nimetatakse teadmisteks. Selline on Minu seisukoht.
제3절:
오 바라따의 후손이여, 내가 모든 육신 안에서 그 육신들을 아는 자라는 사실 또한 이해해야 하느니라. 육신과 그것을 아는 자를 이해하는 것을 지식이라고 한다. 이것이 내 뜻이니라.
TEXT 4:
Nüüd kuula, palun, Minu lühikest kirjeldust sellest tegevusväljast – sellest, milline see on, kuidas see muutub, millest see on sündinud, kes on selle tegevusvälja tundja ning kuidas ta seda tegevusvälja mõjutab.
제4절:
자, 이제부터 이 행위의 장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그것이 어떻게 변하고, 어디에서 생겨났으며, 이 행위의 장을 아는 자는 누구며, 그의 영향은 어떠한지에 관한 간략한 내 설명을 들어라.
TEXT 5:
Paljud targad on selgitanud neid teadmisi tegevusväljast ja selle tundjast erinevates vedalikes kirjutistes. Koos põhjuste ja tulemuste vaheliste seoste selgitusega on sellel teemal eriti üksikasjalikult kõneldud „Vedānta-sūtras".
제5절:
행위의 장과 그 행위를 아는 자에 관한 지식은 여러 베다 문헌에서 많은 성인이 설명하였다. 특히 베단따 수뜨라에 그 원인과 결과에 관한 모든 논리가 제시되어 있느니라.
TEXTS 6-7:
Viis põhielementi, vale ego, arukus, mitteavaldunu, kümme meelt ning mõistus, viis meelte ihaldusobjekti, iha, viha, õnn, ahastus, materiaalsete elementide kogum, elu tunnused ning veendumus – kõik see moodustab üheskoos tegevusvälja ning selle muutused.
제6~7절:
다섯 가지 큰 구성요소, 거짓 자아, 지성, 발현되지 않은 것, 열 가지의 감각과 마음, 다섯 가지의 감각 대상, 욕망, 증오, 행복, 불행, 총집합, 생명의 징후, 그리고 확신, 요약해서 이 모든 것이 행위의 장과 그 상호작용으로 여겨진다.
TEXTS 8-12:
Alandlikkus; kõrkusetus; vägivallast hoidumine; sallivus; lihtsus; tõelise vaimse õpetaja poole pöördumine; puhtus; vankumatus; enesekontroll; meelelist naudingut pakkuvatest objektidest loobumine; vale ego puudumine; sünni, surma, vanaduse ja haiguste koleduse tajumine; kiindumuste puudumine; sõltumatus seostest laste, naise, kodu ja muu sellega seonduvaga; mõistuse tasakaalu säilitamine nii meeldivate kui ebameeldivate sündmuste korral; pidev ja puhas Minule pühendumine; püüdlus elada üksildases kohas; irdumine üldisest inimmassist; eneseteadvustamise olulisuse tunnistamine ning Absoluutse Tõe filosoofiline otsimine – selle kõik kuulutan Ma teadmisteks, ning kõik ülejäänu on üksnes teadmatus.
제8~12절:
겸손함, 자만하지 않음, 비폭력, 인내, 꾸밈없음, 진정한 영적 스승에게 다가감, 청결함, 꾸준함, 자기 통제, 감각 만족 대상을 포기함, 거짓 자아의 사라짐, 생로병사라는 불행에 대한 인식, 집착 없음, 자식과 아내, 가정, 그리고 그 나머지의 구속에서 벗어남, 기쁘고 슬픈 사건 가운데 평정을 지킴, 나를 향한 지속적이고 순수한 봉헌, 외딴곳에 살고자 함, 일반 대중에게 초연함, 자아인식의 중요성을 받아들임, 그리고 절대 진리를 향한 철학적 탐구, 이 모든 것이 지식이라고 나는 선언하노라. 그리고 이 밖의 모든 것은 무지이니라.
TEXT 13:
Nüüd selgitan Ma sulle seda teadmiste objekti, mida mõistes võid sa maitsta igavikku. Algusetu ja Minule alluv Brahman, vaim, asetseb väljaspool selle materiaalse maailma põhjuseid ja tagajärgi.
제13절:
이제 내가 알아야 할 것을 설명할 것인데, 이를 알면 영원함을 맛볼 것이니라. 혼이며 시작이 없고 내게 종속된 브라흐만은 이 물질계의 인과를 넘어 존재한다.
TEXT 14:
Kõikjal on Ta käed ja jalad, Tema silmad, pead ja näod ning kõrvad. Sel moel eksisteerib Ülihing, läbides kõike.
제14절:
모든 곳에 그의 손과 다리, 눈, 머리, 얼굴, 그리고 귀들이 있다. 이런 식으로 초영혼은 모든 곳에 두루 퍼져 존재한다.
TEXT 15:
Ülihing on kõikide meelte algne läte, ometigi on Ta Ise ilma meelteta. Samuti on Ta vaba kiindumustest, ehkki Ta on kõikide elusolendite alalhoidja. Ta on kõrgemal materiaalse looduse guṇadest ning samal ajal on Ta kõikide nende guṇade valitseja.
제15절:
초영혼은 모든 감각의 원천이지만 그것들을 가지지 않는다. 그는 모든 생명체의 유지자이지만, 그것에 집착하지 않느니라. 그는 물질적 본성을 초월함과 동시에 그 모든 본성의 주인이니라.
TEXT 16:
Kõrgeim Tõde eksisteerib nii kõikide liikuvate ja liikumatute elusolendite sees kui ka neist väljaspool. Kuna Ta on peenekoeline, pole Teda võimalik materiaalsete meeltega näha või tunda. Ehkki Ta on väga kaugel eemal, on Ta alati kõikide lähedal.
제16절:
지고의 진리는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것, 모든 생명체의 안과 밖에 존재한다. 그는 미묘하므로 보거나 인지하는 물질적 감각의 능력을 초월한다. 그는 아주 멀리 있지만 또한 모두에 항상 가까이 있다.
TEXT 17:
Ehkki Ülihing näib olevat jagunenud kõikide olendite vahel, ei ole Teda tegelikult kunagi võimalik jagada. Ta on üks tervik. Ehkki Ta on kõikide elusolendite alalhoidja, tuleb mõista, et tänu Temale leiavad aset ka häving ja areng.
제17절:
초영혼이 모든 존재에 분할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는 결코 나누어지지 않는다. 그는 하나로 존재한다. 그가 모든 생명체의 유지자이지만 그들을 집어삼키고 발현시킨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TEXT 18:
Tema on kõikide valgusallikate valguse allikas. Ta asub väljaspool mateeria pimedust ning on mitteavaldunud. Ta on nii teadmised, teadmiste objekt kui ka teadmiste eesmärk. Ta asetseb igaühe südames.
제18절:
그는 빛을 내는 모든 대상이 가진 빛의 원천이다. 그는 물질의 어둠을 초월하며 발현하지 않는다. 그는 지식이고, 그는 지식의 대상이며, 그리고 지식의 목표이다. 그는 모든 사람의 가슴속에 있다.
TEXT 19:
Sedasi olen Ma kirjeldanud lühidalt tegevusvälja [ehk keha], teadmisi ning teadmiste objekti. Ainult Minu pühendunud suudavad neid teadmisi lõpuni mõista ning omandada seeläbi Minuga samase looduse.
제19절:
이로써 나는 행위의 장(육신)과 지식, 알 수 있는 것을 요약해 설명하였다. 오직 나의 헌애자들만이 이것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나의 본성에 이를 수 있느니라.
TEXT 20:
Tuleb mõista, et materiaalne loodus ja elusolendid on algusetud. Nende muundumised ja mateeria erinevad avaldumisvormid on sündinud materiaalsest loodusest.
제20절:
물질적 본성과 생명체는 시작이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물질의 양태와 그 변화는 물질적 본성에서 비롯된 산물이다.
TEXT 21:
Öeldakse, et loodus on kõikide materiaalsete põhjuste ja tagajärgede tekitaja, samas kui elusolend on erinevate kannatuste ja naudingute põhjustaja selles maailmas.
제21절:
자연이 모든 물질적 원인과 결과의 원인이라고 하는 반면, 생명체는 이 세상의 다양한 고통과 기쁨의 원인이다.
TEXT 22:
Sedasi elab elusolend materiaalses looduses, nautides looduse kolme guṇat, ning selle põhjuseks on tema kokkupuutumine materiaalse loodusega. Niiviisi kohtab ta elu erinevate liikide seas head ja halba.
제22절:
이로써 물질에 갇힌 생명체는 물질의 세 가지 양태를 즐기는 삶을 살아가느니라. 이것은 물질과의 접촉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다양한 종 속에서 좋고 나쁨을 만난다.
TEXT 23:
Ometigi on selles kehas ka teine, transtsendentaalne nautija, kes on Jumal, kõige kõrgeim omanik, ning Ülihingena tuntud valvaja ja lubaja.
제23절:
하지만 이 육신 안에 또 다른 존재, 즉 초월적 향유자이고 지고의 소유자이며 감독자이자 허가자인 초영혼으로 불리는 주(主)가 있다.
TEXT 24:
See, kes mõistab seda filosoofiat materiaalsest loodusest, elusolendist ja looduse guṇade vastastikusest mõjust, saavutab kindlasti vabanemise. Ükskõik, milline on tema praegune positsioon, ei pea ta enam uuesti sündima.
제24절:
물질적 본성과 생명체, 그리고 본성의 양태가 상호작용하는 것에 관한 이 철학을 이해하는 자는 반드시 해방을 이룰 것이다. 그의 현 위치에 관계없이, 그는 다시 여기에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
TEXT 25:
Mõned tajuvad Ülihinge oma südames meditatsiooni läbi, teised teadmisi arendades, kolmandad töötades, ihaldamata maitsta oma töö vilju.
제25절:
어떤 이는 명상을 통해서 자기 안에 있는 초영혼을 인식하고, 다른 이는 지식을 배양함으로써, 그리고 또 다른 이는 결실을 바라지 않고 일함으로써 초영혼을 인식한다.
TEXT 26:
On ka neid, kes hakkavad teenima Kõrgeimat Isiksust, olles kuulnud Temast teistelt, ehkki nad ise ei oma põhjalikke vaimseid teadmisi. Kuna neil on kalduvus kuulata teadmisi autoriteetsetest allikatest, ületavad nemadki sünni ja surma tee.
제26절:
영적 지식에 정통하지는 않지만, 다른 사람들에게서 최고인격신에 관해 듣고, 그를 숭배하기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권위자들에게서 듣는 태도 때문에 그들 역시 생사의 길을 초월한다.
TEXT 27:
Oo, Bhāratate juht, tea, et kõik, mida sa näed eksisteerivat, olgu see siis liikuv või liikumatu, on üksnes tegevusvälja ja tegevusvälja tundja vaheline ühend.
제27절:
오 바라따의 수장이여, 움직이는 것이든, 움직이지 않는 것이든,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단지 행위의 장과 행위의 장을 아는 자의 결합일 뿐이다.
TEXT 28:
Tõeliselt näeb see, kes näeb, et Ülihing saadab individuaalset hinge alati kõikides kehades, ning kes mõistab, et ei hävivas kehas viibivat hinge ega Ülihinge pole kunagi võimalik hävitada.
제28절:
모든 육신 속에서 개별 영혼과 함께 있는 초영혼을 보고, 소멸하는 육신 속에 있는 초영혼과 개별 영혼은 절대 소멸하지 않음을 이해하는 자가 진정으로 보는 것이다.
TEXT 29:
See, kes näeb, et Ülihing viibib ühtemoodi igas elusolendis, ei lase end mõistusel eksitada. Seepärast saavutab selline inimene transtsendentaalse sihtkoha.
제29절:
모든 생명체에, 그리고 모든 곳에 똑같이 계시는 초영혼을 보는 자는 마음으로 인해 자신을 타락하게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는 초월적 목적지에 이르게 된다.
TEXT 30:
Tõeliselt näeb see, kes näeb, et kõikide tegevuste sooritaja on materiaalse looduse poolt loodud keha, ning et isiksus ise ei tee tegelikult midagi.
제30절:
물질적 본성에 의해 창조된 육신이 모든 행위를 하며, 자아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볼 수 있는 자가 진실로 보는 것이다.
TEXT 31:
Kui arukas inimene ei erista elusolendeid enam nende materiaalsete kehade alusel ja näeb, kuidas need olendid on levinud kõikjale, jõuab ta Brahmani kontseptsioonini.
제31절:
현명한 자가 서로 다른 물질적 육신 때문에 생긴 서로 다른 정체성을 보는 것을 멈출 때, 그리고 모든 존재가 어떻게 세상 모든 곳으로 뻗어 나갔는지를 이해할 때, 브라흐만 개념에 이른다.
TEXT 32:
Need, kes omavad nägemust igavikulisusest, näevad, et hävimatu hing on transtsendentaalne, igavene ning materiaalse looduse guṇadest kõrgemal seisev. Oo, Arjuna, hoolimata kokkupuutest materiaalse kehaga, ei tee hing tegelikult midagi ega satu ka ahelaisse.
제32절:
영원성에 관한 시각이 있는 자들은 불멸하는 영혼은 초월적이고 영원하며 물질의 양태를 넘어선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오 아르주나, 물질적 육신과 접촉하고 있어도 영혼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또한 얽혀있지 않다.
TEXT 33:
Kuna taevas on olemuselt peenekoeline, ei segune see mitte millegagi, ehkki on kõikeläbiv. Samamoodi ei pea Brahmani nägemuse saavutanud hing end kunagi oma kehaks, ehkki ta on selle asustaja.
제33절:
하늘은 그 미묘한 성질 때문에 모든 곳에 퍼져 존재하면서도 그 어느 것과 섞이지 않는다. 이처럼 브라흐만 시각을 갖춘 영혼은 육신 안에 있지만 그 육신과 섞이지 않는다.
TEXT 34:
Oo, Bharata poeg, samamoodi nagu Päike valgustab üksinda kogu universumit, valgustab kehas asetsev elusolend kogu keha teadvusega.
제34절:
오 바라따의 아들이여, 오직 태양만이 전 우주를 비추듯이, 몸 안에 있는 하나, 생명체가 몸 전체를 의식으로 비추느니라.
TEXT 35:
Need, kes näevad teadmistest valgustatud silmadega erinevust keha ja keha tundja vahel ning kes mõistavad samuti materiaalse looduse köidikuist vabanemise protsessi, saavutavad kõrgeima eesmärgi.
제35절:
지식의 눈으로 육신과 육신을 아는 자 사이의 차이점을 보고, 물질적 본성의 속박에서 해방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자는 최상의 목표를 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