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54

제54절

Tekst

원문

bhaktyā tv ananyayā śakya
aham evaṁ-vidho ’rjuna
jñātuṁ draṣṭuṁ ca tattvena
praveṣṭuṁ ca paran-tapa
박땨 뜨바난야야 샤꺄 bhaktyā tv ananyayā śakya
아함 에밤-비도’르주나 aham evaṁ-vidho ’rjuna
갸뚬 드라쉬뚬 짜 땃뜨베나 jñātuṁ draṣṭuṁ ca tattvena
쁘라베쉬뚬 짜 빠란따빠 praveṣṭuṁ ca paran-tapa

Synonyms

동의어

bhaktyā — pühendunud teenimise läbi; tu — ainult; ananyayā — vabana karmalistest tegevustest või spekulatiivsetest arutlustest; śakyaḥ — võimalik; aham — Mina; evam-vidhaḥ — sedasi; arjuna — oo, Arjuna; jñātum — teada; draṣṭum — näha; ca — ja; tattvena — tegelikult; praveṣṭum — siseneda; ca — samuti; parantapa — oo, vaenlaste alistaja.

박땨: 봉헌으로, 뚜: 그러나, 아난야야: 결실적 행위나 관념적 지식에 물들지 않은, 샤꺄하: 가능한, 아함: 나는, 에밤-비다하: 이처럼, 아르주나: 오 아르주나, 갸뚬: 알다, 드라쉬뚬: 보다, 짜: 그리고, 땃뜨베나: 사실상, 쁘라베쉬뚬: 들어가다, 짜: 또는, 빠란따빠: 오 강력한 힘을 가진 자여.

Translation

번역

Mu kallis Arjuna, ainult kõrvalekaldumatu pühendunud teenimisega on Mind võimalik mõista sellisena nagu Ma olen, seistes sinu ees, ning näha Mind näost näkku. Ainult sel viisil võid sa mõista Minu isiksuse saladusi.

나의 소중한 아르주나여, 오직 완전한 봉헌으로만 네 앞에 서 있는 나를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 있으며, 결국 직접 볼 수 있느니라. 오직 이 방법으로 너는 나를 이해하는 신비로움 속에 들어갈 수 있느니라.

Purport

주석

Kṛṣṇa mõistmiseni on võimalik jõuda üksnes kõrvalekaldumatu pühendunu teenimisega. Käesolevas värsis ütleb Kṛṣṇa selgelt, et mitteautoriteetsed „Bhagavad-gītā" kommenteerijad, kes püüavad seda teost mõista spekulatsioonide kaudu, raiskavad vaid oma aega. Keegi ei suuda mõista Kṛṣṇat ega seda, kuidas Ta ilmus Oma vanematele neljakäelises kehas ning kuidas Ta seejärel omandas kahekäelise keha. „Vedade" uurimise ja filosoofiliste spekulatsioonide kaudu on seda väga raske mõista. Seepärast öeldakse siin selgelt, et mitte keegi ei saa Kṛṣṇat näha või Tema teadust mõista. Ometigi võivad inimesed, kes on väga põhjalikult uurinud vedakirjandust, leida sealt Kṛṣṇa kohta palju andmeid. Autoriteetses kirjanduses on ette kirjutatud suur hulk reegleid ning kui inimene vähegi tahab Kṛṣṇat mõista, tuleb tal neid reguleerivaid printsiipe järgida. Vastavalt neile printsiipidele võib sooritada askeese, näiteks paastuda Janmāṣṭamīl, s.o. päeval mil Kṛṣṇa ilmus siia maailma, ning kahel ekādaśī päeval (s.o. igal üheteistkümnendal päeval pärast kuu loomist ning pärast täiskuud). Mis puutub heategevusse, siis on selge, et annetusi tuleb teha Kṛṣṇa pühendunutele, kes on hõivatud Kṛṣṇa teadvuse arendamise ning Kṛṣṇa filosoofia levitamisega üle kogu maailma. Kṛṣṇa teadvus on õnnistus kogu inimkonnale. Rūpa Gosvāmī pidas Jumal Caitanyat kõige heldemaks annetajaks, sest Ta jagas tasuta seda, mida on äärmiselt raske saavutada – armastust Kṛṣṇa vastu. Seega on suurimaks heategevuseks annetada osa oma sissetulekust inimestele, kes on hõivatud Kṛṣṇa teadvuse levitamisega, aidates sedasi kaasa Kṛṣṇa teadvuse levikule maailmas. Ning kui inimene kummardab templis jumaluse ees ettenähtud kombel (Indias on templites alati mõni jumalus, tavaliselt kas Viṣṇu või Kṛṣṇa), siis sedasi Jumala Kõrgeimale Isiksusele oma lugupidamist avaldades on tal lootust vaimses elus arengut saavutada. Jumala pühendunud teenimisega algust tegevate inimeste jaoks on äärmiselt oluline kummardada templis jumaluse ees. Vedakirjanduses kinnitatakse seda järgmiselt („Śvetāśvatara Upaniṣad" 6.23):

끄리쉬나는 오직 완전한 봉헌의 과정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 이 절에서 끄리쉬나께서 이것을 아주 명확히 설명하셔서 자기들만의 추측으로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하고자 하는 공인되지 않은 논평가들이 그저 시간만 낭비하고 있다는 사실을 곧 알게 될 것이다. 그 누구도 끄리쉬나를 이해할 수 없으며 당신이 어떻게 부모 앞에 네 팔의 형상으로 나타났다가 곧 두 팔 형상으로 바꾸셨는지도 이해할 수 없다. 이러한 것을 베다를 공부하거나 철학적 사색으로 이해하기는 몹시 어렵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분명히 말하기를, 그 누구도 끄리쉬나를 볼 수 없으며 이러한 주제를 이해할 수도 없다. 하지만 베다 문헌에 매우 정통한 학생들은 아주 여러 분야의 베다 문헌을 통해 끄리쉬나에 관해 배울 수 있다. 베다에는 아주 많은 규칙과 규정이 있으며, 끄리쉬나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고자 한다면 권위 있는 문헌이 설명하는 이 규정 원칙들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원칙에 따라 고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행을 엄격히 수행하기 위해 끄리쉬나께서 태어나신 날인 잔마쉬따미(Janmāṣṭamī)날과 에까다시(Ekādaśī 새로운 달이 뜬 후 11일째와 보름달 후의 11일째) 두 날에 단식할 수 있다. 자선에 관한 한, 끄리쉬나 철학, 즉 끄리쉬나 의식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봉헌에 종사하는 끄리쉬나의 헌애자에게 베풀어야 한다. 끄리쉬나 의식은 인류에 대한 축복이다. 루빠 고스와미께서 주 짜이따냐를 가장 자비로운 인간으로 묘사했는데, 그 이유는 무척 얻기 어려운 끄리쉬나를 향한 사랑을 당신이 대가 없이 나누어 주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끄리쉬나 의식을 전파하는 데 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돈을 주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큰 자선이다. 그리고 규정에 따라 사원에서 숭배하는 것은 최고인격신에게 존경을 표함으로써 영적으로 진보하는 기회이다(인도에는 비쉬누나 끄리쉬나 신상을 모시는 사원이 많이 있다). 주를 향한 봉헌의 초심자들에게 사원 숭배는 필수적이며, 이것은 베다 문헌에서도 확증된다(스베따스바따라 우빠니샤드 6.23).

yasya deve parā bhaktir
yathā deve tathā gurau
tasyaite kathitā hy arthāḥ
prakāśante mahātmanaḥ
야샤 데베 빠라 박띠르 yasya deve parā bhaktir
야타 데베 따타 구라우 yathā deve tathā gurau
따샤이떼 까티따 햐르타하 tasyaite kathitā hy arthāḥ
쁘라까샨떼 마하뜨마나하 prakāśante mahātmanaḥ

Kui inimene teenib kõrvalekaldumatult Kõigekõrgemat Jumalat ning järgib vaimse õpetaja juhendusi, kellesse ta omab sama vankumatut usku, siis võib Jumal End talle ilmutada. Kṛṣṇa mõistmiseni pole võimalik jõuda mõttespekulatsioonide läbi. See, kes ei järgi autoriteetse vaimse õpetaja juhendusi, ei suuda Kṛṣṇat vähimalgi määral mõista. Sõna tu kasutatakse siin rõhutamaks, et ühegi teise protsessi järgimine ei ole soovitatav, sest need ei aita Kṛṣṇa mõistmises edu saavutada.

지고한 주를 향한 흔들림 없는 헌애심을 가진 자와 유사한 흔들림 없는 신념을 가진 영적 스승의 지도를 받는 자는 최고인격신의 드러내심을 통해 당신을 볼 수 있다. 정신적 사색만으로 우리는 끄리쉬나를 이해할 수 없다. 진정한 영적 스승의 지도 아래 훈련받지 않는 자는 끄리쉬나를 이해하는 과정의 시작조차 불가능하다. 뚜(tu)라는 말이 여기에서 특별히 사용된 것은 다른 어떠한 방법으로도 끄리쉬나를 이해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Kṛṣṇa isiksuslikud avaldumisvormid nagu Tema kahekäeline ja neljakäeline keha on täielikult erinevad ajalikust kõiksuse kujust, mida Ta ilmutas Arjunale. Neljakäeline Nārāyaṇa keha ja kahekäeline Kṛṣṇa keha on igavesed ja transtsendentaalsed, samas kui Arjunale ilmutatud kõiksuse kuju on ajalik. Sõna su-durdarśam, mis tähendab „raske näha", viitab tõsiasjale, et keegi polnud seda kõiksuse kuju varem näinud. Samuti viitab see sellele, et pühendunute seas polnud selle ilmutamiseks mingit vajadust. Kṛṣṇa ilmutas End sellisel kujul üksnes Arjuna soovil, et tulevikus, end Jumala inkarnatsioonideks nimetavatelt inimestelt, saaks nõuda kõiksuse kuju ilmutamist.

두 팔을 한 끄리쉬나의 인격적 형상이나 네 팔 형상은 “수-두르다르샴, 즉 보기가 무척 어렵다”라고 묘사되었다. 이 형상들은 아르주나에게 보여준 일시적인 우주적 형상과는 완전히 다르다. 네 팔의 끄리쉬나와 두 팔의 끄리쉬나는 영원하고 초월적이지만, 아르주나에게 드러내신 우주적 형상은 일시적이다. “뜨밧 아녜나 나 드리쉬따-뿌르밤(tvad anyena na dṛṣṭa-pūrvam)”이라는 말은 아르주나 이전에 그 우주적 형상을 본 사람이 없음을 명시한다. 이것은 또한 헌애자들에게 그것을 보여줄 필요가 없음을 나타낸다. 아르주나의 요구로 끄리쉬나가 이 형상을 보여주신 이유는 누군가 자기가 신의 화신이라 주장하면 사람들이 그에게 우주적 형상을 보여 달라고 요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Sõna na, mis esineb eelmises värsis korduvalt, näitab, et inimesed ei tohiks olla kuigivõrd uhked oma akadeemilise hariduse üle vedakirjanduse alal. Inimene peab järgima Kṛṣṇa pühendunud teenimise põhimõtteid. Ainult siis võib ta üritada kirjutada „Bhagavad-gītāle" kommentaare.

앞 절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된 나(na)라는 말은 베다를 전공해서 얻은 대학 학위를 자랑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는 끄리쉬나를 향한 봉헌에 착수해야 한다. 그래야만 바가바드 기따에 관한 논평을 쓸 시도를 할 수 있다.

Kṛṣṇa ilmus kõiksuse kuju näitamise järel neljakäelise Nārāyaṇana ning omandas seejärel Oma loomuliku kahekäelise kuju. See viitab tõsiasjale, et algne kahekäeline Kṛṣṇa on kõikide neljakäeliste kehastuste ning teiste vedakirjanduses nimetatud Jumala kehastuste allikas. Kṛṣṇa on kõikide nende emanatsioonide allikaks. Kṛṣṇa on erinev isegi nendest emanatsioonidest, rääkimatagi impersonaalsest kontseptsioonist. Mis puutub Kṛṣṇa neljakäelistesse kehastustesse, siis öeldakse selgelt, et isegi Kṛṣṇale kõige lähedasem neljakäeline kehastus (mida tuntakse Mahā-Viṣṇuna, kes lamab kosmilisel ookeanil ning kelle hingates ilmuvad ja seejärel jälle kaovad kõik lugematud planeedid) on samuti vaid Kõigekõrgema Jumala ekspansioon. „Brahma-saṁhitās" (5.48) öeldakse:

끄리쉬나는 우주적 형상에서 네 팔의 나라야나 형상으로, 그다음 두 팔의 원래 당신의 형상으로 모습을 바꾸셨다. 이것은 네 팔 형상은 물론 다른 베다에 언급된 여러 다른 형상도 모두 두 팔 형상의 원래 끄리쉬나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끄리쉬나가 모든 발산의 기원이다. 끄리쉬나는 이러한 여러 형상과 구분되며 비인성적 개념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끄리쉬나(끄리쉬나는 우주의 대양에 누워서 호흡을 통해 무수한 우주를 내놓고 들이마시는 마하 비쉬누로도 알려져 있다)와 가장 유사한 네 팔 형상도 지고한 주의 확장이라고 브라흐마 삼히따(5.48)에 명백히 언급된다.

yasyaika-niśvasita-kālam athāvalambya
jīvanti loma-vila-jā jagad-aṇḍa-nāthāḥ
viṣṇur mahān sa iha yasya kalā-viśeṣo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야샤이까-니스바시따-깔람 아타발람뱌 yasyaika-niśvasita-kālam athāvalambya
지반띠 로마-빌라-자 자갇아난다-나타하 jīvanti loma-vila-jā jagad-aṇḍa-nāthāḥ
비쉬누르 마한 사 이하 야샤 깔라-비세쇼 viṣṇur mahān sa iha yasya kalā-viśeṣo
고빈담 아디-뿌르샴 땀 아함 바자미 govindam ādi-puruṣaṁ tam ahaṁ bhajāmi

„Mahā-Viṣṇu, kellesse kõik lugematud universumid sisenevad, ning kellest need taas ilmuvad kui Mahā-Viṣṇu välja hingab, on Kṛṣṇa täielik ekspansioon. Seepärast kummardan ma Govindat, Kṛṣṇat, kõikide põhjuste põhjust." Seepärast peab igaüks otsusekindlalt teenima Kṛṣṇa isiksuslikku avaldumisvormi – Jumala Kõrgeimat Isiksust – kes on täis igavest õndsust ja teadmisi. Ta on kõikide Viṣṇu ekspansioonide allikaks, Ta on kõikide inkarnatsioonide allikaks, Ta on algallikaline Jumala Isiksus. Sedasi kinnitatakse „Bhagavad-gītās".

“무수한 우주가 들어가고, 당신의 호흡으로 다시 무수한 우주가 생겨나게 하는 마하 비쉬누는 끄리쉬나의 전체적 확장입니다. 따라서 저는 고빈다, 모든 원인의 원인, 끄리쉬나를 숭배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영원한 축복과 지식을 가진 최고인격신, 끄리쉬나의 인격적 형상을 숭배해야 한다. 당신은 모든 비쉬누 형상의 원천이고, 모든 형태의 화신이 생겨나게 한 원천이며, 바가바드 기따가 확증하는 것처럼 원초적 최고인격신이다.

Vedakirjanduses („Gopāla-tāpanī Upaniṣad" 1.1) leidub järgnev värss:

베다 문헌(고빨라 따빠니 우빠니샤드 1.1)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sac-cid-ānanda-rūpāya
kṛṣṇāyākliṣṭa-kāriṇe
namo vedānta-vedyāya
gurave buddhi-sākṣiṇe
삿-찓-아난다-루빠야 sac-cid-ānanda-rūpāya
끄리쉬나야끌리쉬따-까리네 kṛṣṇāyākliṣṭa-kāriṇe
나모 베단따-베댜야 namo vedānta-vedyāya
구라베 붇디-삭쉬네 gurave buddhi-sākṣiṇe

„Ma avaldan oma sügavat lugupidamist Kṛṣṇale, kes omab transtsendentaalset keha, mis on igavene, täis õndsust ja teadmisi. Ma avaldan Talle Oma sügavat lugupidamist, sest mõista Teda tähendab mõista „Vedasid" ning seetõttu on Ta kõrgeim vaimne õpetaja." Seejärel lisatakse: kṛṣṇo vai paramaṁ daivatam – „Kṛṣṇa on Jumala Kõrgeim Isiksus." („Gopāla- tāpanī" 1.3) Eko vaśī sarva-gaḥ kṛṣṇa īḍyaḥ: „Kṛṣṇa on Jumala Kõrgeim Isiksus, ning Teda tuleb kummardada." Eko 'pi san bahudhā yo 'vabhāti: „Kṛṣṇa on üks ja ainus, kuid Ta ilmutab End piiramatul arvul erinevate kehastuste ja ekspansioonidena." („Gopāla-tāpanī" 1.21)

“저는 축복과 영원, 그리고 지식의 초월적 형상인 끄리쉬나께 존경의 경배를 올립니다. 끄리쉬나를 이해한다는 것은 베다를 이해하는 것이기에, 저는 그에게 존경을 표합니다. 그러므로 그는 최고의 영적 스승이십니다.” 그다음에 말하기를, “끄리쉬노 바이 빠라맘 다이바땀(kṛṣṇo vai paramaṁ daivatam), 끄리쉬나는 최고인격신이다(고빨라 따빠니 우빠니샤드 1.3).” 에꼬 바시 사르바-가 끄리쉬나 이댜하(Eko vaśī sarva-gaḥ kṛṣṇa īḍyaḥ), 그 한 분의 끄리쉬나가 최고인격신이며, 그가 숭배의 대상이다.” “에꼬삐 산 바후다 요 ‘바바띠(Eko ’pi san bahudhā yo ’vabhāti), 끄리쉬나는 하나이지만, 그는 무한한 형상과 화신으로 확장한다(고빨라 따빠니 우빠니샤드 1.21).”

„Brahma-saṁhitās" (5.1) öeldakse:

브라흐마 삼히따(5.1)에서 말하기를,

īśvaraḥ paramaḥ kṛṣṇaḥ
sac-cid-ānanda-vigrahaḥ
anādir ādir govindaḥ
sarva-kāraṇa-kāraṇam
이스바라 빠라마 끄리쉬나하 īśvaraḥ paramaḥ kṛṣṇaḥ
삿-찓-아난다-비그라하하 sac-cid-ānanda-vigrahaḥ
아나디르 아디르 고빈다하 anādir ādir govindaḥ
사르바-까라나-까라남 sarva-kāraṇa-kāraṇam

„Jumala Kõrgeim Isiksus on Kṛṣṇa, kelle keha on igavene, täis õndsust ja teadmisi. Tal ei ole algust, sest Ta on Ise kõige alguseks. Tema on kõikide põhjuste põhjus."

“최고인격신은 영원성과 지식, 축복의 몸을 가진 끄리쉬나다. 그에겐 시작이 없는데, 그는 모든 것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그는 모든 원인의 원인이다.”

Ühes teises vedalikus värsis öeldakse: yatrāvatīrṇaṁ kṛṣṇākhyaṁ paraṁ brahma narākṛti – „Kõrgeim Absoluutne Tõde on isiksus, Tema nimi on Kṛṣṇa, ning aeg-ajalt laskub Ta Maale." „Śrīmad-Bhāgavatamist" leiame me Jumala Kõrgeima Isiksuse erinevate ekspansioonide kirjeldusi ning selles loetelus seisab ka nimi Kṛṣṇa. Kuid seejuures öeldakse, et Kṛṣṇa pole mitte Jumala inkarnatsioon, vaid algne Jumala Kõrgeim Isiksus Ise (ete cāṁśa- kalāḥ puṁsaḥ kṛṣṇas tu bhagavān svayam).

또 다른 곳에서 말하기를, “야뜨라바띠르남 끄리쉬나캼 빠람 브라흐마 나라끄리띠(yatrāvatīrṇaṁ kṛṣṇākhyaṁ paraṁ brahma narākṛti), 지고의 절대 진리는 인격체이며, 그의 이름은 끄리쉬나이고, 그는 때때로 이 지상에 강림한다.” 스리마드 바가바땀에 이와 유사한 다양한 최고인격신의 화신에 관한 설명이 있으며, 그곳에 끄리쉬나의 이름 또한 나타난다. 그런데 여기에 나타난 끄리쉬나는 절대신의 화신이 아니라 원초적 최고인격신이시다(에떼 짬샤-깔라 뿜사 끄리쉬나스 뚜 바가반 스바얌(ete cāṁśa-kalāḥ puṁsaḥ kṛṣṇas tu bhagavān svayam).

„Bhagavad-gītās" lausub Jumal samuti: mattaḥ parataraṁ nānyat – „Pole olemas midagi kõrgemat Minust kui Jumala Isiksusest, Kṛṣṇast." „Bhagavad-gītās" ütleb Ta: aham ādir hi devānām – „Mina olen kõikide pooljumalate allikas." Ning olles mõistnud Kṛṣṇa sõnu „Bhagavad-gītās", lausub Arjuna: paraṁ brahma paraṁ dhāma pavitraṁ paramaṁ bhavān – „Ma mõistan nüüd täielikult, et Sina oled Jumala Kõrgeim Isiksus, Absoluutne Tõde, kõige eksisteeriva varjupaik." Seega, kõiksuse kuju, mida Kṛṣṇa Arjunale näitas, ei ole Jumala algne kuju. Jumala algne kuju on Kṛṣṇa. Kṛṣṇa ilmutas Oma sadade tuhandete peade ja kätega kõiksuse kuju üksnes äratamaks nende tähelepanu, kes ei armasta Jumalat. Kõiksuse kuju pole aga Jumala algne kuju.

마찬가지로 바가바드 기따에서도 주께서 말씀하시기를, “맛따 빠라따람 난얏(mattaḥ parataraṁ nānyat), 인격신 끄리쉬나로서의 내 형상보다 더 뛰어난 것은 없느니라.” 바가바드 기따의 다른 곳에서 또한 말씀하시기를, “아함 아디르 히 데바남(aham ādir hi devānām), 나는 모든 데바의 기원이니라.” 그리고 아르주나는 끄리쉬나로부터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한 다음에 다음과 같이 확언했다. “빠람 브라흐마 빠람 다마 빠비뜨람 빠라맘 바반(paraṁ brahma paraṁ dhāma pavitraṁ paramaṁ bhavan), 이제 저는 당신이 최고인격신이고, 절대 진리이며, 모든 것의 안식처라는 사실을 완전히 이해합니다.” 그러므로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보여주신 우주적 형상은 절대신의 원래 모습이 아니다. 원초적 모습은 끄리쉬나의 모습이다. 수천 개의 머리와 손을 가진 우주적 형상은 절대신을 향한 사랑이 없는 자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나타난 모습이다. 이것은 절대신의 원래 형상이 아니다.

Kõiksuse kuju ei kütkesta puhtaid pühendunuid, kes on Jumalaga erinevates transtsendentaalsetes armastussuhetes. Kõigekõrgem Jumal on vastastikustes armastussuhetes Oma pühendunutega Oma algses kehas, Śrī Kṛṣṇana. Seepärast ei tundnud Arjuna, kes oli Kṛṣṇaga lähedastes sõprussuhetes, Kṛṣṇa kõiksusliku avaldumise nägemisest mingit rahuldust, pigem oli ta seda nähes hirmunud. Arjuna, kes oli Kṛṣṇa pidev kaaslane, omas kindlasti transtsendentaalseid silmi, ta ei olnud tavaline inimene. Seetõttu ei kütkestanud teda Jumala kõiksuse kuju. Jumala kõiksuse kuju võib näida imeline inimestele, kes püüavad saavutada edu karmalistes tegevustes, kuid inimestele, kes on rakendanud end Jumala pühendunud teenimisse, on kõige kallim Kṛṣṇa kahekäeline kuju.

우주적 형상은 주와 여러 가지 초월적 관계로 사랑에 빠져있는 순수한 헌애자에게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끄리쉬나와 우정으로 아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아르주나에게 이 우주적 현현으로서의 형상은 반갑지가 않다. 오히려 그것은 두렵다. 끄리쉬나와 항상 함께하는 아르주나는 초월적 눈을 가졌음에 틀림이 없었다. 그는 보통 사람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그는 우주적 형상에 매료되지 않았다. 이 형상은 결실적 행위로 자신의 영적 발전을 꾀하는 자들에게는 경이롭게 보일지 모르나, 봉헌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두 팔 형상의 끄리쉬나가 가장 소중한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