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HAPTER FIVE

제5장

Paramparā: Knowledge Through Disciplic Succession

빠람빠라(Paramparā): 사제 전수를 통한 지식

  śrī bhagavān uvāca
imaṁ vivasvate yogaṁ
 proktavān aham avyayam
vivasvān manave prāha
 manur ikṣvākave ’bravīt
스리 바가반 우바짜 śrī bhagavān uvāca
이맘 비바스바떼 요감 imaṁ vivasvate yogaṁ
쁘록따반 아함 아비아얌 proktavān aham avyayam
비바스반 마나베 쁘라하 vivasvān manave prāha
마누 릭쉬바까베’브라빗 manur ikṣvākave 'bravīt

“The Personality of Godhead, Lord Śrī Kṛṣṇa, said: I instructed this imperishable science of yoga to the sun god, Vivasvān, and Vivasvān instructed it to Manu, the father of mankind, and Manu in turn instructed it to Ikṣvāku.” (Bhagavad-gītā 4.1)

“최고인격신, 주 스리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이 소멸하지 않는 요가의 과학에 관해 태양신 비바스반에게 가르쳤고, 비바스반은 인류의 선조인 마누에게, 마누는 익쉬바꾸에게 가르쳤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4.1》

Many ages ago Kṛṣṇa imparted the divine knowledge of the Bhagavad-gītā to Vivasvān, the god of the su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sun is a very hot place, and we do not consider it possible for anyone to live there. It is not even possible to approach the sun very closely with these bodies. However, from the Vedic literatures we can understand that the sun is a planet just like this one, except everything there is composed of fire. Just as this planet is predominately composed of earth, there are other planets which are predominately composed of fire, water, or air.

아주 오래전 끄리쉬나는 신성한 바가바드 기따의 지식을 태양신 비바스반에게 전하셨다. 우리가 가진 지식으로는 태양은 아주 뜨거운 곳이고 아무도 살 수 없는 곳이라 생각한다. 이 육신으로 태양에 아주 가까이 가는 것조차 불가능하다. 하지만 베다 문헌을 통해 태양은 지구 같은 하나의 행성이지만 모든 것이 불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지구가 주로 불과 물, 공기로 구성된 것과 같은 이치이다.

The living entities on these various planets acquire bodies composed of el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dominating element on the planet; therefore those beings who live on the sun have bodies composed of fire. Of all beings on the sun, the principal personality is a god by the name of Vivasvān. He is known as the sun god (sūrya-nārāyaṇa). On all planets there are principal personalities, just as in the United States the chief person is the President. From the history called the Mahābhārata we understand that formerly, there was only one king on this planet, by the name of Mahārāja Bharata. He ruled some 5,000 years ago, and the planet was named after him. Subsequently, the earth has become divided into so many different countries. In this way there is usually one and sometimes many controllers of the various planets in the universe.

이런 다양한 행성에 사는 생명체는 각 행성의 지배적인 원소들로 이루어진 몸을 받는다. 그러므로 태양에 사는 존재는 불로 이루어진 육신을 갖고 있다. 태양에 있는 모든 생명체 중 가장 높은 인격체는 비바스반(Vivasvān)이라고 하는 신이다. 그는 태양신(수리야-나라야나: sūrya-nārāyaṇa)이라고 알려졌다. 모든 행성에는 최고 인격체가 있고 이것은 미국에서 가장 높은 사람이 대통령인 것과 같은 이치다. 마하바라따(Mahābhārata)라고 하는 역사를 통해 이 행성(지구)에 오직 한 명의 왕 마하라자 바라따(Mahārāja Bharata)만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는 약 5,000년 전에 지구를 통치했고, 지구의 이름은 그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 이후에 지구는 아주 많은 나라로 나뉘었다. 이렇게 우주 안에 있는 다양한 행성에는 보통 한 통치자가 있지만 가끔 여러 명의 통치자가 있기도 하다.

From this first verse of the fourth chapter we learn that millions of years ago Śrī Kṛṣṇa imparted the knowledge of karma-yoga to the sun god Vivasvān. Śrī Kṛṣṇa, who imparts the teachings of the Bhagavad-gītā to Arjuna, here indicates that these teachings are not at all new but were enunciated many ages ago on a different planet. Vivasvān, in his turn, repeated these teachings to his son, Manu. In turn, Manu imparted the knowledge to his disciple Ikṣvāku. Mahārāja Ikṣvāku was a great king and a forefather of Lord Rāmacandra. The point being made here is that if one wants to learn the Bhagavad-gītā and profit by it, there is a process for understanding it, and that process is described here. It is not that Kṛṣṇa is speaking the Bhagavad-gītā for the first time to Arjuna. It is estimated by Vedic authorities that the Lord imparted these divine instructions to Vivasvān some 400 million years ago. From the Mahābhārata we understand that the Bhagavad-gītā was spoken to Arjuna some 5,000 years ago. Before Arjuna, the teachings were handed down by disciplic succession, but over such a long period of time, the teachings became lost.

바가바드 기따의 제4장 첫 구절을 통해 아르주나에게 바가바드 기따의 가르침을 전수하고 계신 스리 끄리쉬나는 수백만 년 전 까르마 요가에 관한 지식을 태양신 비바스반에게 전수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이 가르침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아주 오래전 여러 다른 행성에 설파되었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비바스반은 이 가르침을 그의 아들 마누(Manu)에게 반복했다. 이어 마누는 그의 제자 익쉬바꾸(Ikṣvāku)에게 그 지식을 전수했다. 마하라자 익쉬바꾸는 훌륭한 왕이었고, 지고의 신 라마짠드라(Rāmacandra)의 선조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바가바드 기따를 배워서 혜택을 얻고자 한다면 이것을 이해하는 과정을 겪어야 하고, 그 과정이 여기에 묘사되어 있다.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처음으로 바가바드 기따를 설하지 않으셨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베다 권위에 따르면, 끄리쉬나께서 이 신성한 가르침을 비바스반에게 약 4억 년 전에 전수하셨다고 추정된다. 마하바라따를 통해 바가바드 기따는 약 5천 년 전 아르주나에게 설해졌다고 알 수 있다. 아르주나 이전에도 이 가르침은 사제 전수를 통해 전해 내려져 왔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며 사라지게 되었다.

evaṁ paramparā-prāptam
 imaṁ rājarṣayo viduḥ
sa kāleneha mahatā
 yogo naṣṭaḥ paran-tapa
 에밤 빠람빠라-쁘랍땀 evaṁ paramparā-prāptam
이맘 라자샤요 비두후 imaṁ rājarṣayo viduḥ
사 깔레네하 마하따 sa kāleneha mahatā
요고 나쉬따하 빠란따빠 yogo naṣṭaḥ parantapa
sa evāyaṁ mayā te ’dya
 yogaḥ proktaḥ purātanaḥ
bhakto ’si me sakhā ceti
 rahasyaṁ hy etad uttamam
사 에바얌 마야 떼’댜 sa evāyaṁ mayā te 'dya
요가하 쁘록따하 뿌라따나하 yogaḥ proktaḥ purātanaḥ
박또’시 메 사카하 쩨띠 bhakto 'si me sakhā ceti
라하샴 헤딷 웃따맘 rahasyaṁ hy etad uttamam

“This supreme science was thus received through the chain of disciplic succession, and the saintly kings understood it in that way. But in course of time the succession was broken, and therefore the science as it is appears to be lost. That very ancient sci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reme is today told by Me to you because you are My devotee as well as My friend and can therefore understand the transcendental mystery of this science.” (Bhagavad-gītā 4.2–3)

“따라서 이 지고의 과학은 사제전수의 계통을 통해 이어졌고, 거룩한 왕들은 그러한 방법으로 이해하였느니라.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계승이 끊어져 있는 그대로의 과학이 사라진 것처럼 되었다. 오늘 너에게 최고 존재와의 관계에 대한 이 고대의 과학을 말하는 이유는 네가 나의 친구이자 헌애자이므로 이 과학의 초월적 신비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니라.” 《바가바드 기따 4.2~3》

In the Bhagavad-gītā a number of yoga systems are delineated – bhakti-yoga, karma-yoga, jñāna-yoga, haṭha-yoga – and therefore it is here called yoga. The word yoga means “to link up,” and the idea is that in yoga we link our con-sciousness to God. It is a means for reuniting with God or reestablishing our relationship with Him. In the course of time, this yoga imparted by Śrī Kṛṣṇa was lost. Why is this? Were there no learned sages at the time Śrī Kṛṣṇa was speaking to Arjuna? No, there were many sages present at the time. By “lost” it is meant that the purport of the Bhagavad-gītā was lost. Scholars may give their own interpretation of the Bhagavad-gītā, analyzing it according to their own whims, but that is not the Bhagavad-gītā. This is the point that Śrī Kṛṣṇa is stressing, and a student of the Bhagavad-gītā should note it. A person may be a very good scholar from the material point of view, but that does not qualify him to comment on the Bhagavad-gītā. In order to understand the Bhagavad-gītā, we have to accept the principle of disciplic succession (paramparā). We must enter into the spirit of the Bhagavad-gītā and not approach it simply from the viewpoint of erudition.

바가바드 기따에 여러 요가 체계가 정확히 서술되어 있는데 이는 박띠 요가(bhakti-yoga), 까르마 요가(karma-yoga), 갸나 요가(jñāna-yoga), 하타 요가(haṭha-yoga)로, 이들 모두 요가라고 불린다. 요가란 단어의 의미는 ‘연결하다’라는 뜻이고, 요가를 통해 우리 의식을 절대자와 연결한다는 뜻이다. 절대자와의 재회 혹은 그와 우리 관계의 재정립을 의미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스리 끄리쉬나께 전수받은 이 요가는 사라졌다. 왜 그러한가?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말씀하시던 때에 학식 있는 성인들이 아예 없었단 말인가? 그렇지 않다. 그 당시에 많은 성인이 살고 있었다. “사라졌다”는 것은 바가바드 기따의 요지가 사라졌다는 뜻이다. 학자들은 자기들의 종잡을 수 없는 관점으로 자기 나름의 바가바드 기따 분석과 해석을 하겠지만, 그것은 바가바드 기따가 아니다. 이점을 스리 끄리쉬나께서 강조하신 것이고, 바가바드 기따를 배우려는 자들은 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세속적 관점에서 아주 훌륭한 학자일지도 모르나, 그렇다고 바가바드 기따에 주석을 달수 있는 자질을 갖춘 것은 아니다.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제 전수의 원칙(빠람빠라)을 받아들여야 한다. 바가바드 기따를 단순히 학술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바가바드 기따의 정신을 파고들어야만 한다.

Of all people, why did Śrī Kṛṣṇa select Arjuna as a recipient of this knowledge? Arjuna was not a great scholar at all, nor was he a yogi, a meditator, or a holy man. He was a warrior about to engage in battle. There were many great sages living at the time, and Śrī Kṛṣṇa could have given the Bhagavad-gītā to them. The answer is that despite being an ordinary man, Arjuna had one great qualification, bhakto ’si me sakhā ceti: “You are My devotee and My friend.” This was Arjuna’s exceptional qualification, a qualification the sages did not have. Arjuna knew that Kṛṣṇa was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and therefore he surrendered himself to Him, accepting Him as his spiritual master. Unless one is a devotee of Lord Kṛṣṇa, he cannot possibly understand the Bhagavad-gītā. If one wants to understand the Bhagavad-gītā, he cannot take help from other methods. He must understand it as it is prescribed in the Bhagavad-gītā itself: by understanding it as Arjuna understood it. If we wish to understand the Bhagavad-gītā in a different way, or give an individual interpretation of it, that may be an exhibition of our scholarship, but it is not the Bhagavad-gītā.

모든 사람 중에, 스리 끄리쉬나께서는 왜 하필 아르주나를 이 지식의 수령인으로 채택하셨는가? 아르주나는 훌륭한 학자도 아니었고 요가행자도 아니었으며 명상가나 성인도 아니었다. 그는 전쟁에 임하기 직전의 전사였다. 그 시대에도 위대한 성인들이 아주 많이 살고 있었고 스리 끄리쉬나께서는 바가바드 기따를 그들에게 주실 수도 있었다. 그에 대한 답은 아르주나가 비록 평범한 사람이었지만 한 가지 훌륭한 자질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에 있다. 박또’시메 사카 쩨띠(bhakto 'si me sakhā ceti) “너는 나의 헌애자이고 나의 친구이다.” 이것이 아르주나가 가진 특별한 자질이고, 성인들조차도 가지지 못한 것이었다. 아르주나는 끄리쉬나가 최고 인격신이라는 사실을 알았고, 따라서 당신을 자기 영적 스승으로 받아들이며 항복했다. 스리 끄리쉬나의 헌애자가 아니면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할 수 없다.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하고 싶다면 다른 방법을 통해서는 불가능하다. 아르주나가 이해했듯이 반드시 바가바드 기따 자체가 규정하는 그대로 이해해야 한다. 만일 바가바드 기따를 다른 식으로 이해하고 싶거나 개인적 해석을 하고 싶다면 그것은 본인의 학문적 과시밖에 되지 않고 바가바드 기따가 아니다.

By scholarship we may be able to manufacture some theory of Bhagavad-gītā, just as Mahatma Gandhi did when he interpreted the Bhagavad-gītā in an effort to support his theory of nonviolence. How is it possible to prove nonviolence from the Bhagavad-gītā? The very theme of the Bhagavad-gītā involves Arjuna’s reluctance to fight and Kṛṣṇa’s inducing him to kill his opponents. In fact, Kṛṣṇa tells Arjuna that the battle had already been decided by the Supreme, and that the people who were assembled on the battlefield were predestined never to return. It was Kṛṣṇa’s program that the warriors were all destined to die, and Kṛṣṇa gave Arjuna the opportunity of taking the credit of conquering them. If fighting is proclaimed a necessity in the Bhagavad-gītā, how is it possible to prove nonviolence from it? Such interpretations are attempts to distort the Bhagavad-gītā. As soon as the Gītā i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motive of an individual, the purpose is lost. It is stated that we cannot attain the conclusion of the Vedic literature by the force of our own logic or argument. There are many things that do not come within the jurisdiction of our sense of logic. As far as scriptures are concerned, we find different scriptures describing the Absolute Truth in different ways. If we analyze all of them, there will be bewilderment. There are also many philosophers, with many different opinions, and they’re always contradicting one another. If the truth cannot be understood by reading various scriptures, by logical argument, or by philosophical theories, then how can it be attained? The fact is that the wisdom of the Absolute Truth is very confidential, but if we follow the authorities, it can be understood.

마하뜨마 간디가 자신의 비폭력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바가바드 기따를 해석했을 때처럼 학문적으로 바가바드 기따에 관한 어떤 이론을 만들어낼 수는 있다. 바가바드 기따를 통해 어떻게 비폭력을 입증할 수 있나? 바가바드 기따의 주제 자체가 아르주나는 싸움을 주저하지만 끄리쉬나께서는 아르주나의 적을 모두 죽이라고 권유하시는 것인데도 말이다. 실제로 끄리쉬나께서는 아르주나에게 그 전쟁은 이미 절대자 당신께서 결정하신 것이므로 전장에 모인 사람들은 다시는 이 물질계에 돌아오지 않게 운명지어졌다고 말씀하신다. 전사들이 모두 죽게 될 운명은 끄리쉬나의 계획이었고, 끄리쉬나께서는 아르주나에게 그들을 정복하는 공적의 기회를 주신 것이다. 바가바드 기따에서 싸움의 필요성을 선포하는데, 거기에서 어떻게 비폭력을 도출할 수 있단 말인가? 그런 해석은 바가바드 기따를 왜곡하는 시도다. 개인적 동기에 의해 기따가 해석되자마자 그 목적은 사라진다. 베다 문헌의 결론을 우리 자신의 논리나 주장으로 얻을 수 없다. 우리가 지닌 논리력의 통제 안에 있지 않은 것은 무수히 많다. 경전을 예로 들면, 절대 진리를 다른 방식으로 묘사하는 다양한 경전을 찾아볼 수 있고 그것을 모두 분석하면 혼란스러워질 것이다. 또한, 다른 견해를 가진 여러 철학자가 있고, 이들은 항상 서로 반박한다. 만일 진리가 다양한 경전을 읽음으로써, 논리적 주장으로, 혹은 철학적 이론으로 이해될 수 없다면 그것을 실제로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사실, 절대 진리에 관한 지혜는 매우 비밀스럽지만 우리가 권위를 따르면 이것을 이해할 수 있다.

In India, there are disciplic successions coming from Rāmānujācārya, Madhvācārya, Nimbārka, Viṣṇu Svāmī, and other great sages. The Vedic literatures are understood through the superior spiritual masters. Arjuna understood the Bhagavad-gītā from Kṛṣṇa, and if we wish to understand it, we have to understand it from Arjuna, not from any other source. If we have any knowledge of the Bhagavad-gītā, we have to see how it tallies with the understanding of Arjuna. If we understand the Bhagavad-gītā in the same way that Arjuna did, we should know that our understanding is correct. This should be the criterion for our studying of the Bhagavad-gītā. If we actually want to receive benefit from the Bhagavad-gītā, we have to follow this principle. The Bhagavad-gītā is not an ordinary book of knowledge that we can purchase from the marketplace, read, and merely consult a dictionary to understand. This is not possible. If it were, Kṛṣṇa would never have told Arjuna that the science was lost.

인도에서는 라마누자짜리아, 마드바짜리아, 님바르까, 비쉬누스바미와 다른 위대한 성인들에게서 유래한 사제 전수가 있다. 베다 문헌은 뛰어난 영적 스승들을 통해 이해된다. 아르주나는 끄리쉬나로부터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했고, 우리 역시 이것을 이해하고 싶다면 다른 출처가 아닌 아르주나에게서 배워야 한다. 우리가 바가바드 기따를 조금이라도 이해했다면, 그것이 아르주나가 이해한 것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만일 바가바드 기따를 아르주나가 이해한 식으로 이해했다면 우리의 지식은 올바르다. 이것이 바가바드 기따 공부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실제로 우리가 바가바드 기따를 통해 혜택을 얻고자 한다면 이 원칙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 바가바드 기따는 서점에서 구매해 사전을 찾아가며 그냥 읽어 지식을 얻을 수 있는 평범한 책이 아니다. 그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렇다면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그 절대 과학이 사라졌다고 말씀하지 않으셨을 것이다.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going through the disciplic succession to understand the Bhagavad-gītā. If we wish to be a lawyer, an engineer, or a doctor, we have to receive knowledge from the authoritative lawyers, engineers, and doctors. A new lawyer has to become an apprentice of an experienced lawyer, or a young man studying to be a doctor has to become an intern and work with those who are already licensed practitioners. Our knowledge of a subject cannot be perfected unless we receive it through authoritative sources.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하기 위해 사제 전수를 받아야 하는 필요성을 이해하기란 어렵지 않다. 우리가 변호사나 기술자 혹은 의사가 되고 싶다면 권위 있는 변호사, 기술자, 의사에게서 지식을 얻어야 한다. 초보 변호사는 노련한 변호사의 수습생이 되거나 의사가 되려는 젊은이는 인턴이 되어 이미 의사 면허증을 받은 사람들과 함께 일해야 한다. 어떤 주제에 관한 우리 지식은 권위 있는 출처를 통해 얻지 않으면 완벽해질 수 없다.

There are two processes for attaining knowledge – one is inductive and the other is deductive. The deductive method is considered to be more perfect. We may take a premise such as “All men are mortal,” and no one need discuss how man is mortal.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is is the case. The deductive conclusion is “Mr. Johnson is a man; therefore, Mr. Johnson is mortal.” But how is the premise that all men are mortal arrived at? Followers of the inductive method wish to arrive at this premise through experiment and observations. We may thus study that this man died and that man died, etc., and after seeing that so many men have died we may conclude or generalize that all men are mortal, but there is a major defect in this inductive method, and that is that our experience is limited. We may never have seen a man who is not mortal, but we are judging this on our personal experience, which is finite. Our senses have limited power, and there are so many defects in our conditioned state. The inductive process, consequently, is not always perfect, whereas the deductive process from a source of perfect knowledge is perfect. The Vedic process is such a process.

지식을 얻는 두 가지 과정이 있다. 그것은 귀납적 과정과 연역적 과정이다. 연역법이 더 완벽하다고 여겨진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라는 가정을 세우면 어째서 인간이 죽을 운명인지에 대해서 논의할 필요는 없다. 이것이 사실이라고 일반적으로 인정되었다. 연역법으로 “존슨 씨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존슨 씨는 죽을 것이다.”라는 결론을 맺는다. 그런데 모든 사람이 죽는다는 전제는 어떻게 도출될 수 있는가? 귀납법을 따르는 사람들은 이 전제를 실험과 관찰을 통해 결론 맺으려 한다. 따라서 이 사람이 죽었고, 저 사람이 죽었고 등 수없이 많은 사람이 죽은 것을 보고 일반화한 후에야 비로소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결론을 내리는데 이런 귀납법의 가장 큰 결점은 바로 우리 경험이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우리는 죽지 않는 사람을 본 적이 없으면서도 한정된 우리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렇게 판단한다. 우리 감각은 제한된 능력을 지니고, 이런 조건부의 상태에서 수많은 결함 또한 지닌다. 귀납적 과정은 결과적으로 항상 완벽한 것이 아닌 것에 반해, 완벽한 지식을 갖춘 출처에서 나오는 연역적 과정은 완벽하다.

Although the authority is acknowledged, there are many passages in the Bhagavad-gītā that appear to be dogmatic. For instance, in the seventh chapter Śrī Kṛṣṇa says:

권위자들이 인정했음에도, 바가바드 기따에 나오는 구절 중 독단적으로 보이는 여러 구절이 있다. 예를 들면 제7장에서 스리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시기를,

mattaḥ parataraṁ nānyat
 kiñcid asti dhanañ-jaya
mayi sarvam idaṁ protaṁ
 sūtre maṇi-gaṇā iva
맛따하 빠라따람 난얏 mattaḥ parataraṁ nānyat
낀찟 아스띠 다난자야 kiñcid asti dhanañjaya
마이 사르밤 이담 쁘로땀 mayi sarvam idaṁ protaṁ
수뜨레 마니-가나 이바 sūtre maṇi-gaṇā iva

“O conqueror of wealth [Arjuna], there is no Truth superior to Me. Everything rests on Me, as pearls are strung on a thread.” (Bhagavad-gītā 7.7)

“오! 부의 정복자여, 나를 초월하는 진리란 없느니라. 실에 꿰인 진주처럼, 모든 것은 나에게 의존하느니라.”《바가바드 기따 7.7》     

Śrī Kṛṣṇa is saying that there is no authority greater than Him, and this appears to be very dogmatic. If I say, “There is no one greater than me,” people would think, “Oh, Swāmījī is very proud.” If a man who is conditioned by so many imperfections says that he is the greatest of all, he blasphemes. But Kṛṣṇa can say this, for we can understand from the histories that even while He was on this earth, He was considered the greatest personality of His time. Indeed, He was the greatest in all fields of activity.

스리 끄리쉬나께서 당신보다 더 위대한 권위는 없다고 하셨고, 이 말씀은 매우 독단적으로 들린다. 만일 내가 “나보다 더 위대한 자는 없다.”라고 말한다면 사람들은 “오, 스와미가 아주 자만에 가득 찼군.”하고 생각할 것이다. 만일 결함이 아주 많은 자가 자기가 가장 위대하다고 한다면, 그는 신을 모독하는 것이다. 그러나 끄리쉬나께서 이 지구 상에 현현하셨을 동안에도 당신이 가장 위대한 자로 여겨졌다는 사실을 역사를 통해서도 이해할 수 있으므로 끄리쉬나께서는 이렇게 주장하실 수 있다. 실제로 그는 모든 활동 분야에서 가장 위대하셨다.

According to the Vedic system, knowledge achieved from the greatest authority is to be considered perfect. According to the Vedas, there are three kinds of proof: pratyakṣa, anumāna, and śabda. One is by direct visual perception. If a person is sitting in front of me, I can see him sitting there, and my knowledge of his sitting there is received through my eyes. The second method, anumāna, is by inference: we may hear children playing outside, and by hearing we can conjecture that they are there. And the third method is the method of taking truths from a higher authority. Such a saying as “Man is mortal” is accepted from higher authorities. Everyone accepts this, but no one has experienced that all men are mortal. By tradition, we have to accept this. If someone asks, “Who found this truth first? Did you discover it?” it is very difficult to say. All we can say is that the knowledge is coming down and we accept it. Out of the three methods of acquiring knowledge, the Vedas say that the third method, that of receiving knowledge from higher authorities, is the most perfect. Direct perception is always imperfect, especially in the conditioned stage of life. By direct perception we can see that the sun is just like a disc no larger than the plate we eat on. From scientists, however, we come to understand that the sun is many thousands of times larger than the earth. So what are we to accept? Are we to accept the scientific proclamation, the proclamation of authorities, or our own experience? Although we cannot ourselves prove how large the sun is, we accept the verdict of astronomers. In this way we are accepting the statements of authorities in every field of our activities. From newspapers and radio we also understand that such and such events are taking place in China and India and other places all around the earth. We’re not experiencing these events directly, and we don’t know that such events are actually taking place, but we accept the authority of the newspapers and radio. We have no choice but to believe authorities in order to get knowledge. And when the authority is perfect, our knowledge is perfect.

베다 체계에 따르면, 가장 위대한 권위에서 얻은 지식은 완벽하다고 여겨진다. 베다에 따르면, 세 종류의 증거가 있다. 그것은 쁘라땩샤(pratyakṣa), 아누마나(anumāna), 샤브다(śabda)이다. 첫 번째는 직접적인 시각을 통해서이다. 누군가가 내 앞에 앉아있다면 나는 그 사람을 볼 수 있고 그가 거기에 앉아 있다는 내 지식은 내 눈을 통해 받은 것이 된다. 두 번째는 아누마나로 청각을 통해서다. 우리는 아이들이 밖에서 뛰어노는 소리를 들을 수 있고, 이것을 들음으로써 아이들이 거기에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은 더 높은 권위로부터 얻은 진실을 수용하는 것이다. “사람은 죽는다”와 같은 말은 더 높은 권위에서 나왔다. 모두 이 사실을 받아들이지만, 실제로 아무도 모든 사람이 죽는 것을 경험하지는 않았다. 전통적으로 우리는 이것을 인정해야 한다. 만일 누군가 “누가 이 진실을 처음 찾았습니까? 당신이 발견했습니까?”라고 묻는다면, 대답하기 매우 곤란하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말은 그 지식은 전해 내려온 것이고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인다는 대답뿐이다. 지식을 얻는 이 세 방법 중에서 베다는 더 높은 권위로부터 얻는 세 번째 방법이 가장 완벽하다고 한다. 직접적 인지는 항상 불완전하고 특히 속박된 삶의 단계에서는 더 그러하다. 직접적 인지의 방법으로 우리는 태양은 그저 원반 같고 접시보다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과학자들로부터 태양이 지구보다 몇천 배나 더 크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받아들여야 하는가? 권위자들의 말인 과학적 발표를 받아들여야 하나, 아니면 우리 자신의 감각을 받아들여야 하는가? 비록 우리 스스로 태양이 얼마나 큰지 증명할 수는 없지만 천문학자들의 의견을 받아들인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각 분야 권위자들의 말을 받아들이고 있다. 신문과 라디오를 통해서도 어떤 사건이 중국과 인도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세계의 다른 곳에서도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이해하고 있다. 이런 사건을 우리가 직접 경험하고 있지 않고, 그런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지 어떤지 알지 못하지만, 신문과 라디오의 권위를 받아들인다.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권위를 믿어야 하는 것 말고는 다른 선택의 여지는 없다. 그리고 그 권위가 완벽하면 우리의 지식도 완벽하다.

According to the Vedic sources, of all authorities Kṛṣṇa is the greatest and most perfect (mattaḥ parataraṁ nān-yat kiñcid asti dhanañ-jaya). Not only does Kṛṣṇa proclaim Himself to be the highest authority, but this is also accepted by great sages and scholars of the Bhagavad-gītā. If we do not accept Kṛṣṇa as the authority and take His words as they are, we cannot derive any benefit from the Bhagavad-gītā. This is not dogmatic; it is a fact. If we scrutinizingly study what Kṛṣṇa says, we will find that it is right. Even scholars like Śaṅkarācārya, who have different opin-ions from the Personality of Godhead, admit that Kṛṣṇa is svayaṁ bhagavān – that Kṛṣṇa is the Supreme Lord.

베다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르면, 모든 권위 중 끄리쉬나가 가장 위대하고 완벽하다(맛따하 빠라따람 난얏 낀찟 아스띠 다난자야).  끄리쉬나 당신께서 스스로 가장 높은 권위라고 선언하실 뿐만 아니라 여러 위대한 성인들과 바가바드 기따를 연구하는 학자들도 이것을 인정했다. 만일 끄리쉬나를 권위로 인정하지 않고, 당신의 말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바가바드 기따에서 어떤 혜택도 얻을 수 없다. 독단적인 것이 아니라 사실이 그러하다.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시는 것을 세밀히 연구하면 모든 게 맞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최고 인격신과 다른 견해를 지녔던 샹까라짜리아(Śaṅkarācārya) 같은 학자들도 끄리쉬나가 스바얌 바가반(svayaṁ bhagavān), 즉 지고의 신이라고 인정했다.

Vedic knowledge is not a recent discovery. It is all old revealed knowledge. Kṛṣṇa refers to it as purātanaḥ, which means ancient. Kṛṣṇa says that millions of years before, He spoke this yoga to the sun god, and we do not know how many millions of years before that He spoke it to someone else. This knowledge is always being repeated, just as summer, autumn, winter, and spring are repeated every year. Our fund of knowledge is very poor; we do not even know the history of this planet more than 5,000 years back, but the Vedic literatures give us histories extending to millions of years ago. Just because we have no knowledge of what happened 3,000 years ago on this planet, we cannot conclude that there was no history then. Of course, one can disclaim the historical validity of Kṛṣṇa. One may say that Kṛṣṇa, according to the Mahābhārata, lived 5,000 years ago, and this being the case, there is no possibility of His having spoken the Bhagavad-gītā to the sun god so many millions of years before that. If I said that I gave a speech on the sun to the sun god some millions of years ago, people would say, “Swāmījī is speaking some nonsense.” But this is not the case with Kṛṣṇa, for He is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Whether we believe that Kṛṣṇa spoke the Bhagavad-gītā to the sun god or not, this fact is being accepted by Arjuna. Arjuna accepted Kṛṣṇa as the Supreme Lord, and therefore he knew that it was quite possible for Kṛṣṇa to have spoken to someone millions of years before. Although Arjuna personally accepts the statements of Śrī Kṛṣṇa, in order to clarify the situation for people who would come after him, he asks:

베다 지식은 최근에 발견된 지식이 아니다. 모두 오래전에 드러난 지식이다. 끄리쉬나는 베다를 뿌라따나하(purātanaḥ), 즉 고대의 지식이라 부르신다. 끄리쉬나께서는 수백만 년 전 이 요가를 태양신에게 말씀하셨고, 그보다 얼마나 수백만 년 전 당신께서 또 다른 누군가에게 말씀하셨는지 알 수 없다. 이 지식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매년 반복되듯이 항상 반복된다. 우리가 가진 지식의 깊이는 매우 얕아 5천 년 전 지구 역사조차 알지 못하지만 베다 문헌은 수백만 년 전의 역사까지도 제공한다. 우리가 3천 년 전 이 행성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모른다고 해서 그때 역사가 없었다고 결론지을 수 없다. 물론 끄리쉬나께서 역사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고 부인할 수도 있다. 마하바라따에 근거해 끄리쉬나가 5천 년 전에 사신 분이라고 말할지도 모르고, 따라서 태양신에게 수백만 년 전 바가바드 기따를 설하셨을 가능성은 없다고 할 수도 있다. 만일 내가 수백만 년 전 태양에서 태양신에게 말했다고 하면, 사람들은 “스와미가 엉터리를 말하고 있군.”하고 이야기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끄리쉬나께는 적용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는 최고 인격신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끄리쉬나께서 바가바드 기따를 태양신에게 설하셨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믿든 안 믿든, 아르주나는 끄리쉬나의 말씀을 사실로 받아들였다. 아르주나는 끄리쉬나를 지고의 신으로 인정했고, 따라서 끄리쉬나께서 누군가에게 수백만 년 전 말씀하시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아르주나 자신은 스리 끄리쉬나의 말씀을 전적으로 수용했지만, 후세를 위해 상황을 명백히 전하고자 이렇게 묻는다.

aparaṁ bhavato janma
 paraṁ janma vivasvataḥ
katham etad vijānīyāṁ
 tvam ādau proktavān iti
아빠람 바바또 잔마 aparaṁ bhavato janma
빠람 잔마 비바스바따하 paraṁ janma vivasvataḥ
까탐 에땃 비자니얌 katham etad vijānīyāṁ
뜨밤 아다우 쁘록따반 이띠 tvam ādau proktavān iti

“The sun god Vivasvān is senior by birth to You. How am I to understand that in the beginning You instructed this science to him?” (Bhagavad-gītā 4.4)

태양신 비바스반은 생일로 볼 때 당신보다 훨씬 앞섭니다. 태초에 당신이 이 과학을 그에게 가르쳤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바가바드 기따 4.4》     

Actually this is a very intelligent question, and Kṛṣṇa answers it in this way:

실제로 이것은 매우 지적인 질문이고, 끄리쉬나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신다.

bahūni me vyatītāni
 janmāni tava cārjuna
tāny ahaṁ veda sarvāṇi
 na tvaṁ vettha paran-tapa
바후니 메 뱌따니 bahūni me vyatītāni
잔마니 따바 짜르주나 janmāni tava cārjuna
따니 아함 베다 사르바니 tāny ahaṁ veda sarvāṇi
나 뜨밤 벳타 빠란따빠 na tvaṁ vettha parantapa

“Many, many births both you and I have passed. I can remember all of them, but you cannot, O subduer of the enemy!” (Bhagavad-gītā 4.5)

“너와 나는 둘 다 많고 많은 생을 거쳤느니라. 나는 그것을 모두 기억하지만, 오 적을 무찌르는 자여! 너는 그렇지 않다.” 《바가바드 기따 4.5》     

Although Kṛṣṇa is God, He incarnates many, many times. Arjuna, being a living entity, also takes his birth many, many tim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and a living entity is tāny ahaṁ veda sarvāṇi – Kṛṣṇa remembers the events of His past incarnations, whereas the living entity cannot remember. That is 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God and man. God is eternal, and we are also eternal, but the difference is that we are always changing our bodies. At death we forget the events of our lifetime; death means forgetfulness, that’s all. At night, when we go to sleep, we forget that we are the husband of such and such a wife and the father of such and such children. We forget ourselves in sleep, but when we wake up we remember, “Oh, I am so and so, and I must do such and such.” It is a fact that in our previous lives we had other bodies with other families, fathers, mothers, and so on in other countries, but we have forgotten all of these. We might have been dogs or cats or men or gods, but whatever we were we have now forgotten it.

끄리쉬나께서는 절대신이지만, 여러 번 화신하셨다. 생명체인 아르주나 또한 여러 번 출생을 거듭했다. 최고 인격신과 생명체의 차이는 따니 아함 베다 사르바니(tāny ahaṁ veda sarvāṇi), 즉 끄리쉬나는 당신의 지난 화신을 모두 기억하시지만 생명체는 기억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것이 절대신과 인간의 차이점 중 하나이다. 절대신은 영원하고, 우리도 영원하다. 하지만 다른 점은 우리는 항상 몸을 바꾼다는 것이다. 죽음의 순간 우리는 일생에 있었던 일들을 모두 잊어버린다. 죽음은 망각을 의미한다. 그뿐이다. 밤에 잠잘 때 우리가 누구의 남편이고, 부인이고, 아버지이며, 누구의 자식인지에 대해 잊어버린다. 자는 동안 우리 자신을 잊지만 잠에서 깨면 “나는 이렇고 저렇고, 난 반드시 이것저것을 해야 하고.” 등을 기억한다. 전생에 우리가 다른 몸을 가졌고 아버지, 어머니 등 다른 가족 구성원이 있었고 다른 나라에서 살았다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 모든 것을 죽음을 맞으며 잊게 되었다. 어쩌면 우리는 개나 고양이, 사람, 데바였을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무엇이었든 이제 모든 것을 잊고 말았다.

Despite all these changes, as living entities, we are eternal. Just as in previous lives we have prepared for this body, in this lifetime we are preparing for another body. We get our bodies according to our karma, or activities. Those who are in the mode of goodness are promoted to higher planets, to a higher status of life (Bhagavad-gītā 14.14). Those who die in the mode of passion remain on earth, and those who die in the mode of ignorance may fall into the animal species of life or be transferred to a lower planet (Bhagavad-gītā 14.15). This is the process that has been going on, but we forget it.

이렇게 변신을 거듭하지만 생명체로서 우리는 영원하다. 전생에 우리가 현재의 이 몸을 준비했듯이, 현생에 또 다른 몸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가 쌓은 까르마 혹은 행위에 따라 몸을 받게 된다. 선성(mode of goodness)에 있는 자들은 더 높은 행성으로 승격될 것이다(바가바드 기따 14.14). 동성(mode of passion)의 상태에서 죽은 자는 지구에 남고, 암성(mode of ignorance)의 상태에서 죽은 자는 동물 종류로 떨어지거나 낮은 행성으로 옮겨질 것이다(바가바드 기따 14.15). 이 과정이 계속되었지만 우리는 이 모든 것을 잊는다.

At one time, Indra, the king of heaven, committed an offense at the feet of his spiritual master, and his spiritual master cursed him to take the birth of a hog. Thus the throne of the heavenly kingdom became empty as Indra went to earth to become a hog. Seeing the situation, Brahmā came to earth and addressed the hog: “My dear sir, you have become a hog on this planet earth. I have come to deliver you. Come with me at once.” But the hog replied: “Oh, I cannot go with you. I have so many responsibilities – my children, wife, and this nice hog society.” Even though Brahmā promised to take him back to heaven, Indra, in the form of a hog, refused. This is called forgetfulness. Similarly, Lord Śrī Kṛṣṇa comes and says to us, “What are you doing in this material world? Sarva-dharmān parityajya mām ekaṁ śaraṇaṁ vraja. Come to Me, and I’ll give you all protection.” But we say, “I don’t believe You, Sir. I have more important business here.” This is the position of the conditioned soul – forgetfulness. This forgetfulness is quickly dissipated by following in the path of the disciplic succession.

천국의 왕, 인드라(Indra)는 한때 그의 영적 스승을 화나게 했고, 영적 스승은 인드라에게 돼지로 태어나라는 저주를 했다. 그래서 인드라는 지구로 내려가 돼지가 됐고 천상의 왕국의 왕좌는 비어있게 되었다. 그 상황을 보고 브라흐마가 지구로 내려가 돼지에게 말했다. “친애하는 인드라여, 당신은 지구에 사는 돼지가 되었소. 당신을 이 상황에서 구해내기 위해 내가 왔소. 나와 즉시 갑시다.” 하지만 돼지는 이렇게 대답했다. “오, 난 당신과 함께 갈 수 없어요. 난 이곳에서 책임져야 할 일이 너무 많아요. 자식들, 부인, 그리고 멋진 돼지 사회가 있어서 함께 갈 수 없어요.” 브라흐마가 천국으로 다시 데려가 주겠다고 약속했는데도 돼지의 형태가 된 인드라는 거부했다. 이것이 망각이다. 마찬가지로 스리 끄리쉬나께서 우리에게 오셔서 “이 물질계에서 무엇을 하고 있니? 사르바-다르만 빠리땨쟈 맘 에깜 샤라남 브라자(Sarva-dharmān parityajya mām ekaṁ śaraṇaṁ vraja, 바가바드 기따 18.66).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를 온전히 보호해 줄 것이다.”라고 말씀하셔도 우리는 이렇게 말한다. “난 당신을 믿지 않아요. 여기에 더 중요한 일들이 있어요.” 이것이 속박된 영혼들의 위치다. 이 망각은 사제 전수의 길을 따름으로써 신속히 없애버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