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EIGHT

제8장

The Perfection of Yoga

요가의 완성

It is a fact, therefore, that in the progress of the living entity toward the perfection of yoga, birth in a family of yogīs or devotees is a great boon, for such a birth gives one special impetus.

생명체가 요가의 완성 과정에 있을 때 요가행자나 헌애자의 집안에서 태어나는 것은 크나큰 은혜로, 그런 출생은 특별한 힘을 준다.

prayatnād yatamānas tu
yogī saṁśuddha-kilbiṣaḥ
aneka-janma-saṁsiddhas
tato yāti parāṁ gatim
쁘라얏낟 야따마나스 뚜 prayatnād yatamānas tu
요기 삼숟다-낄비사하 yogī saṁśuddha-kilbiṣaḥ
아네까-잔마-삼싣다스 aneka-janma-saṁsiddhas
따또 야띠 빠람 가띰 tato yāti parāṁ gatim

“But when the yogī engages himself with sincere endeavor in making further progress, being washed of all contaminations, then ultimately, after many, many births of practice, he attains the supreme goal.” (Bg. 6.45) When one is finally freed from all contaminations, he attains the supreme perfection of the yoga system – Kṛṣṇa consciousness. Absorption in Kṛṣṇa is the perfect stage, as Kṛṣṇa Himself confirms:

“하지만 요가행자가 진실한 노력으로 정진하는데 더욱 힘쓸 때, 모든 더러움이 씻기게 되고 결국, 많고 많은 생의 수행을 거친 다음 완성을 이루어 최고의 목적을 달성하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6.45》 마침내 모든 종류의 더러움에서 벗어나면 요가 수행의 최고 완성인 끄리쉬나 의식을 달성한다. 끄리쉬나에 대한 몰입이 요가 완성의 단계로 끄리쉬나 당신께서 직접 이를 입증하신다.

bahūnāṁ janmanām ante
jñānavān māṁ prapadyate
vāsudevaḥ sarvam iti
sa mahātmā sudurlabhaḥ
바후남 잔마남 안떼 bahūnāṁ janmanām ante
 갸나반 맘 쁘라빠댜떼 jñānavān māṁ prapadyate
 바수데바하 사르밤 이띠 vāsudevaḥ sarvam iti
 사 마하뜨마 수-둘라바하 sa mahātmā su-durlabhaḥ

“After many births and deaths, he who is actually in knowledge surrenders unto Me, knowing Me to be the cause of all causes and all that is. Such a great soul is very rare.” (Bg. 7.19) Thus after many lifetimes of executing pious activities, when one becomes freed from all contaminations arising from illusory dualities, he engages in the transcendental service of the Lord. Śrī Kṛṣṇa concludes His discourse on this subject in this way:

“많은 삶과 죽음을 거친 다음, 진실로 지식을 갖춘 자는 내가 모든 원인의 원인이며, 존재하는 모든 것이 바로 나라는 것을 알기에 나에게 항복한다. 이런 위대한 영혼은 아주 드물다.” 《바가바드 기따 7.19》
 수많은 삶을 거쳐 신앙심 깊은 행위를 한 후, 실체가 없는 이중성에서 초래하는 모든 더러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 절대신을 향한 초월적 봉사에 종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스리 끄리쉬나께서는 다음과 같이 끝맺으신다.

yoginām api sarveṣāṁ
mad-gatenāntarātmanā
śraddhāvān bhajate yo māṁ
sa me yuktatamo mataḥ
요기남 아삐 사르베샴 yoginām api sarveṣāṁ
맏-가떼난따라뜨마나 mad-gatenāntar-ātmanā
스랏다반 바자떼 요 맘 śraddhāvān bhajate yo māṁ
사 메 육따따모 마따하 sa me yuktatamo mataḥ

“And of all yogīs, he who always abides in Me with great faith, worshiping Me in transcendental loving service, is most intimately united with Me in yoga and is the highest of all.” (Bg. 6.47)

“모든 수행자 가운데 굳은 신념으로 항상 내 안에 살고, 나에게 초월적 사랑의 봉헌을 하는 자는 가장 친밀하게 나와 하나 되니, 이것이 모든 요가의 최상이니라.” 《바가바드 기따 6.47》

It therefore follows that the culmination of all yogas lies in bhakti-yoga, the rendering of devotional service unto Kṛṣṇa. Actually, all of the yogas delineated in Bhagavad-gītā end on this note, for Kṛṣṇa is the ultimate destination of all the yoga systems. From the beginning of karma-yoga to the end of bhakti-yoga is a long way to self-realization. Karma-yoga, without fruitive results, is the beginning of this path. When karma-yoga increases in knowledge and renunciation, the stage is called jñāna-yoga, or the yoga of knowledge. When jñāna-yoga increases in meditation on the Supersoul by different physical processes, and the mind is on Him, it is called aṣṭāṅga-yoga. And, when one surpasses aṣṭāṅga-yoga and comes to worship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Kṛṣṇa, that is called bhakti-yoga, the culmination. Factually, bhakti-yoga is the ultimate goal, but to analyze bhakti-yoga minutely one has to understand the other processes. The yogī who is progressive is therefore on the true path to eternal good fortune. One who sticks to a particular point and does not make further progress is called by that particular name – karma-yogī, jñāna-yogī, dhyāna-yogī, rāja-yogī, haṭha-yogī, etc. – but if one is fortunate enough to come to the point of bhakti-yoga, Kṛṣṇa consciousnes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he has surpassed all the other yoga systems.

따라서 모든 요가의 최고점은 끄리쉬나께 봉헌하는 박띠 요가로 귀결된다. 실제로 바가바드 기따에 개설(槪說)된 모든 형태의 요가는 끄리쉬나가 모든 요가의 종착지라는 사실로 끝이 난다. 까르마 요가를 시작으로 박띠 요가까지 자기 깨달음의 과정은 길다. 결과에 얽매이지 않는 까르마 요가(karma-yoga)는 이 과정의 시작점이다. 까르마 요가가 지식과 단념으로 진보하면 그 단계는 갸나 요가(jñāna-yoga), 혹은 지식의 요가라고 불린다. 갸나 요가가 다양한 육체적 수련을 통해 초영혼에 명상하고 마음을 그곳에 집중하는 단계로 발전하면 아쉬땅가 요가(aṣṭāṅga-yoga)라고 한다. 아쉬땅가 요가를 넘어 최고인격신 끄리쉬나를 숭배하게 되면 이 단계를 박띠 요가(bhakti-yoga), 최고점으로 부른다. 사실상 박띠 요가가 궁극적 목표이지만, 박띠 요가를 상세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른 과정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정진 중인 요가행자는 영원한 행복을 향한 바른 길에 있는 것이다. 특정한 한 과정에만 머물며 더는 진보하지 않는 사람을 까르마 요가행자, 갸나 요가행자, 다냐 요가행자, 라자 요가행자, 하타 요가행자 등등으로 부른다. 하지만 박띠 요가, 끄리쉬나 의식에 이를 만큼 행운인 자는 다른 모든 요가 과정을 다 거친 것으로 이해된다.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the last link in the yogic chain, the link that binds us to the Supreme Person, Lord Śrī Kṛṣṇa. Without this final link, the chain is practically useless. Those who are truly interested in the perfection of the yoga process should immediately take to Kṛṣṇa consciousness by chanting Hare Kṛṣṇa, understanding Bhagavad-gītā, and rendering service to Kṛṣṇa through this society for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thereby surpass all other systems and attain the ultimate goal of all yoga – love of Kṛṣṇa.

끄리쉬나 의식은 요가 사슬의 마지막 연결고리로, 그 연결고리는 우리를 최상의 인간, 스리 끄리쉬나에게로 묶는다. 이 마지막 연결고리가 없는 그 사슬은 실제로 아무 쓸모가 없다. 요가 과정의 완성에 대해 진정으로 관심 있는 자는 하레 끄리쉬나를 구송하고 바가바드 기따를 이해하며 끄리쉬나 의식 협회와의 교류를 통해 끄리쉬나께 봉헌함으로써 즉시 끄리쉬나 의식을 갖추어 다른 모든 과정을 뛰어넘고 모든 요가의 궁극적 목표인, 끄리쉬나를 향한 사랑을 달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