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HREE

제3장

Yoga as Meditation on Krsna

끄리쉬나에 관한 명상으로서의 요가

In India there are sacred places where yogīs go to meditate in solitude, as prescribed in Bhagavad-gītā. Traditionally, yoga cannot be executed in a public place, but insofar as kīrtana – mantra-yoga, or the yoga of chanting the Hare Kṛṣṇa mantra: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 is concerned, the more people present, the better. When Lord Caitanya Mahāprabhu was performing kīrtana in India some five hundred years ago, He organized in each group sixteen people to lead the chanting, and thousands of people chanted with them. This participation in kīrtana, in the public chanting of the names and glories of God, is very possible and is actually easy in this age; but as far as the meditational process of yoga is concerned, that is very difficult. It is specifically stated in Bhagavad-gītā that to perform meditational yoga one should go to a secluded and holy plac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leave home. In this age of overpopulation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find a secluded place, but this is not necessary in bhakti-yoga.

인도에는 바가바드 기따에서 묘사된 대로 요가행자들이 홀로 명상하기 위한 신성한 곳들이 있다. 전통적으로 요가는 공공장소에서 행해질 수 없지만 끼르따나-만뜨라 요가(kīrtana-mantra-yoga) 즉,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를 구송하는 요가는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짜이따냐 마하쁘라부께서 약 500년 전 인도에서 끼르딴(절대신의 이름을 단체로 구송하는 것)을 하셨을 때, 그룹별로 16명이 선창(先唱)하도록 하셨고 수천 명이 모여 함께 노래했다. 절대신의 이름과 영광을 모두 함께 찬양하는 이 끼르딴에 참가하는 일은 이 시대에 가능한 것으로 실천하기도 쉽다. 하지만 명상하는 요가 과정은 매우 어렵다. 바가바드 기따에 특별히 명시되어 있듯이 명상적인 요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속에서 벗어나 신성한 장소로 가야 한다. 달리 말하면 가정을 버려야만 한다. 인구과잉의 현 시대에 외딴곳을 찾는 것이 늘 가능한 것도 아니지만, 박띠 요가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In the bhakti-yoga system there are nine different processes: hearing, chanting, remembering, serving, worshiping the Deity in the temple, praying, carrying out orders, serving Kṛṣṇa as a friend and sacrificing for Him. Out of these, śravaṇaṁ kīrtanam, hearing and chanting,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t a public kīrtana one person can chant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while a group listens, and at the end of the mantra, the group can respond, and in this way there is a reciprocation of hearing and chanting. This can easily be performed in one’s own home, with a small group of friends or with many people in a large public place. One may attempt to practice meditational yoga in a large city or in a society, but one must understand that this is one’s own concoction and is not the method recommended in Bhagavad-gītā.

박띠 요가에는 9가지의 과정이 있다. 그것은 듣기, 구송하기, 기억하기, 봉사하기, 사원에서 신상에 예배 드리기, 기도하기, 명령 수행하기, 끄리쉬나를 친구로서 접대하고 그를 위해 희생하기이다. 이 중에서 스라바남 끼르따남(śravaṇaṁ kīrtanam), 즉 듣기와 구송하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대중 끼르딴에서 한 사람이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를 구송하는 동안 대중은 듣고 있고, 만뜨라 선창이 끝나면 대중이 처음부터 따라 부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듣기와 구송이 반복된다. 이것은 몇 명의 친구와 함께 가정은 물론이고 넓은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이 모여 쉽게 실천할 수 있다. 명상적인 요가를 큰 도시나 사회 속에서 시도해 볼 수 있을지도 모르나,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에서 권장된 수행법이 아니라 개인이 꾸며낸 방법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The whole process of the yoga system is to purify oneself. And what is this purification? Purification ensues upon the realization of one’s actual identity. Purification is realizing that “I am pure spirit – I am not this matter.” Due to material contact, we are identifying ourselves with matter, and we are thinking, “I am this body.” But in order to perform real yoga one must realize his constitutional position as being distinct from matter. The purpose of seeking out a secluded place and executing the meditational process is to come to this understanding. It is not possible to come to this understanding if one executes the process improperly. In any case, this is the consideration of Lord Caitanya Mahāprabhu:

모든 요가 수행법의 과정은 자신을 정화(淨化)하기 위함이다. 그렇다면 정화란 무엇인가? 정화는 자신의 실제적 정체성을 깨달을 때 일어난다. “나는 순수한 영혼이다. 물질이 아니다.”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 정화이다. 물질과 접촉함으로써 우리 자신을 물질과 동일시하고, “우리는 이 몸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진정한 요가를 행하기 위해서는 물질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우리의 근원적 위치를 반드시 깨달아야 한다. 외딴곳을 찾아가 명상하는 목적이 바로 이 깨달음에 이르기 위함이다. 그 과정을 올바로 행하지 않는다면 이 깨달음에 이를 수 없다. 다음은 짜이따냐 마하쁘라부께서 숙고하신 바이다.

harer nāma harer nāma
harer nāmaiva kevalam
kalau nāsty eva nāsty eva
nāsty eva gatir anyathā
하레 나마 하레 나마 harer nama harer nama
하레 나마이바 께발람 harer namaiva kevalam
깔라우 나스띠 에바 나스띠 에바 kalau nasty eva nasty eva
나스띠 에바 가띠라냐타 nasty eva gatir anyatha

“In this age of quarrel and disagreement [Kali-yuga], there is no other way of spiritual realization but this chanting of the names. There is no other way, there is no other way, there is no other way.”

“반목과 논쟁의 시대(깔리 유가)에 절대신의 이름을 구송하는 것 외에는 영적 깨달음을 얻을 방법은 전혀 없다. 다른 방법은 전혀 없다. 다른 방법은 전혀 없다. 다른 방법은 전혀 없다.”

It is generally thought, at least in the Western world, that the yoga system involves meditating on the void. But the Vedic literatures do not recommend meditating on any void. Rather, the Vedas maintain that yoga means meditation on Viṣṇu, and this is also maintained in Bhagavad-gītā. In many yoga societies we find that people sit cross-legged and very straight, then close their eyes to meditate, and so fifty percent of them go to sleep, because when we close our eyes and have no subject matter for contemplation, we simply go to sleep. Of course, this is not recommended by Śrī Kṛṣṇa in Bhagavad-gītā. One must sit very straight, and the eyes be only half-closed, gazing at the tip of one’s nose. If one does not follow the instructions, the result will be sleep and nothing more. Sometimes, of course, meditation goes on when one is sleeping, but this is not the recommended process for the execution of yoga. Thus, to keep oneself awake Kṛṣṇa advises that one always keep the tip of the nose visible. In addition, one must be always undisturbed. If the mind is agitated or if there is a great deal of activity going on, one will not be able to concentrate. In meditational yoga one must also be devoid of fear. There is no question of fear when one enters spiritual life. And one must also be brahmacārī, completely free from sex life. Nor can there be any demands on one meditating in this way. When there are no demands, and one executes this system properly, then he can control his mind. After one has met all the requirements for meditation, he must transfer his whole thought to Kṛṣṇa, or Viṣṇu. It is not that one is to transfer his thought to vacancy. Thus Kṛṣṇa says that one absorbed in the meditational yoga system is “always thinking of Me.”

일반적으로, 적어도 서양에서의 요가는 공(空)을 두고 명상하는 것을 수반한다. 그러나 베다 문헌은 어떠한 공(空)에도 명상할 것을 권하지 않는다. 오히려 베다는 비쉬누(Viṣṇu)를 대상으로 명상하는 요가를 계속했고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에서도 이어진다. 많은 요가 단체를 찾아가 보면 사람들이 가부좌하고 곧게 앉아 눈을 감고 명상하는데 이들 중 절반이 졸고 있다. 눈을 감으면 응시할 것이 없어지므로 자연스레 잠에 빠져들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은 바가바드 기따에서 스리 끄리쉬나께서 권장하신 바가 아니다. 명상에 성공하려면 가부좌하고 곧게 앉아 반 눈을 뜨고 코끝을 응시해야 한다. 만일 이 지시 사항을 따르지 않으면 졸음 외에는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한다. 가끔 자는 동안에도 명상을 지속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요가 수행으로 권장된 과정이 아니다. 따라서 끄리쉬나께서는 항상 코끝이 보이도록 반 눈 뜬 상태를 유지하라고 하셨다. 또한, 요가를 수행하는 자는 마음이 늘 평온해야 한다. 마음이 동요하여 끊임없이 움직인다면 집중할 수 없다. 명상적인 요가에서는 두려움도 느끼지 말아야 한다. 영적 삶에 들어설 때 두려움을 느낄 이유는 전혀 없다. 또한, 성생활에서 완전히 벗어난 브라흐마짜리(brahmacārī, 독신수행자)여야 한다. 이런 명상을 하는 자는 요구 사항 또한 전혀 없어야 한다. 바라는 것이 전혀 없을 때 이 과정을 올바르게 행할 수 있고 마음을 통제할 수 있다. 명상에 필수적인 사항들을 다 충족시켰을 때 자기 생각 전체를 끄리쉬나 혹은 비쉬누에게로 전환해야 한다. 생각을 공허함에 두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끄리쉬나께서는 명상적인 요가에 몰입해 있는 자에게 “항상 나를 생각하라”고 말씀하신다.

The yogī obviously has to go through a great deal of difficulty to purify the ātmā (mind, body and soul), but it is a fact that this can be done most effectively in this age simply by the chanting of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Why is this? Because this transcendental sound vibration is nondifferent from Kṛṣṇa. When we chant His name with devotion, then Kṛṣṇa is with us, and when Kṛṣṇa is with us, then what is the possibility of remaining impure? Consequently, one absorb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in chanting the names of Kṛṣṇa and serving Him always, receives the benefit of the highest form of yoga. The advantage is that he doesn’t have to take all the trouble of the meditational process. That is the beauty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요가행자는 명백히 아뜨마(ātmā; 마음, 육체, 영혼)를 정화하기 위해 큰 어려움을 뚫고 나가야 하지만 이 과정은 현시대에 단지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를 구송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이 초월적인 소리의 진동은 끄리쉬나 자신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가 헌애(獻愛)의 마음으로 그의 이름을 구송하면 끄리쉬나는 우리와 함께하시고, 끄리쉬나가 함께하시는데 불순한 상태로 남을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 결과적으로 끄리쉬나의 이름을 구송하고 항상 그를 위해 봉헌하는 끄리쉬나 의식에 몰입해 있는 자는 가장 높은 경지의 요가 혜택을 얻게 된다. 이 과정의 장점은 명상을 수행할 때 겪어야 할 모든 어려움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끄리쉬나 의식의 아름다움이다.

In yoga it is necessary to control all of the senses, and when all the senses are controlled, the mind must be engaged in thinking of Viṣṇu. One becomes peaceful after thus conquering material life.

요가를 수행함에 감각을 통제하는 일은 필수적이고 감각이 통제되었으면, 마음은 비쉬누를 생각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세속적 삶을 극복한 후에야 우리는 평화로워질 수 있다.

jitātmanaḥ praśāntasya
paramātmā samāhitaḥ
지따뜨마나 쁘라샨따샤 jitātmanaḥ praśāntasya
빠람아뜨마 사마히따하 paramātmā samāhitaḥ

“For one who has conquered the mind, the Supersoul is already reached, for he has attained tranquillity.” (Bg. 6.7) This material world has been likened to a great forest fire. As in the forest, fire may automatically take place, so in this material world, although we may try to live peacefully, there is always a great conflagration. It is not possible to live in peace anywhere in the material world. But for one who is transcendentally situated – either by the medita­tional yoga system or by the empirical philosophical method or by bhakti-yoga – peace is possible. All forms of yoga are meant for transcendental life, but the method of chanting is especially effective in this age. Kīrtana may go on for hours, and one may not feel tired, but it is difficult to sit in lotus position perfectly still for more than a few minutes. Yet regardless of the process, once the fire of material life is extinguished, one does not simply experience what is called impersonal void. Rather, as Kṛṣṇa tells Arjuna, one enters into the supreme abode.

“마음을 정복한 사람은 평온함에 도달했으므로 이미 절대 영혼과 함께 하고 있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6.7》이 물질계는 숲에 난 거대한 불과 같다. 숲 속에서처럼 저절로 불이 날 수 있으므로 우리가 아무리 평화롭게 살려고 해도 큰 돌발 상황이 생기기 마련이다. 물질계의 어디에서든 평화롭게 사는 일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명상적인 요가를 통해서이든 경험주의적 철학 방법을 통해서이든 초월적인 곳에 자리한 자에게 평화는 가능하다. 모든 형태의 요가는 초월적인 삶을 위해서이지만, 구송은 특히 이 시대에 효과적이다. 끼르딴을 한 시간 동안 계속해도 피곤함을 느끼지 않지만, 가부좌하고 다만 몇 분이라도 가만히 앉아있기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요가 방법에 상관없이 세속적 삶의 불을 끌 수 있게 된다고 해서 비인성적인 공허함을 경험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말씀하셨듯이, 지고(至高)의 보금자리로 들어간다.

yuñjann evaṁ sadātmānaṁ
yogī niyata-mānasaḥ
śāntiṁ nirvāṇa-paramāṁ
mat-saṁsthām adhigacchati
윤자네밤 사다뜨마남 yuñjann evaṁ sadātmānaṁ
 요기 니야따-마나사하 yogī niyata-mānasaḥ
샨띰 니르바나-빠라맘 śāntiṁ nirvāṇa-paramāṁ
 맛-삼스탐 아디갓차띠 mat-saṁsthām adhigacchati

“By meditating in this manner, always controlling the body, mind and activities, the mystic transcendentalist attains to the kingdom of God through cessation of material existence.” (Bg. 6.15) Kṛṣṇa’s abode is not void. It is like an establishment, and in an establishment there is a variety of engagements. The successful yogī actually attains to the kingdom of God, where there is spiritual variegatedness. The yoga processes are simply ways to elevate oneself to enter into that abode. Actually we belong to that abode, but being forgetful, we are put in this material world. Just as a madman becomes crazy and is put into a lunatic asylum, so we, losing sight of our spiritual identity, become crazy and are put into this material world. Thus the material world is a sort of lunatic asylum, and we can easily notice that nothing is done very sanely here. Our real business is to get out and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In Bhagavad-gītā Kṛṣṇa gives information of this kingdom and also gives instructions about His position and our position – of what He is and what we are. All the information necessary is set forth in Bhagavad-gītā, and a sane man will take advantage of this knowledge.

“이런 식으로 명상함으로써 항상 몸과 마음, 그리고 행동을 통제한 신비로운 초월주의자들은 물질적 존재를 떠나 절대신의 왕국에 도달하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6.15》 끄리쉬나의 보금자리는 텅 빈 곳이 아니다. 그곳은 거주지와 같이 다양한 활동이 벌어지는 곳이다. 성공한 요가행자는 영적인 다채로움이 있는 절대신의 왕국에 도달할 수 있다. 요가 과정은 단지 이 왕국에 들어가기에 적합하도록 자신을 향상하는 데 있다. 원래 우리는 그 보금자리에 속하지만 잘 잊어버리는 속성 탓에 이 속계에 남아있게 되었다. 정신 질환자가 정신 병원에 보내지는 것처럼 우리 역시 영적 정체성에 대한 시각을 잃고 온전한 정신으로 남지 않았기에 이 속계에 오게 되었다. 따라서 속계는 정신 병원과 같은 곳이고 이곳에서는 어느 하나 온전한 정신으로 된 것이 없다는 사실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가 진정으로 해야 할 일은 이곳에서 빠져나와 절대신의 왕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바가바드 기따에서 끄리쉬나께서는 이 왕국에 대한 정보를 주시고 당신의 위치와 우리의 위치, 즉 끄리쉬나는 누구인지, 우리는 무엇인지에 대한 가르침도 주신다. 필요한 모든 정보가 바가바드 기따에 설명되어 있으니, 분별력 있는 사람은 이 지식을 충분히 활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