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Six

원문 6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दृष्टैः स्वभावजनितैर्वपुषश्च दोषैर्न प्राकृतत्वमिह भक्तजनस्य पश्येत् ।
गङ्गाम्भसां न खलु बुद्बुदफेनपङ्कैर्ब्रह्मद्रवत्वमपगच्छति नीरधर्मैः ॥ ६ ॥

Text

원문

dṛṣṭaiḥ svabhāva-janitair vapuṣaś ca doṣair
na prākṛtatvam iha bhakta-janasya paśyet
gaṅgāmbhasāṁ na khalu budbuda-phena-paṅkair
brahma-dravatvam apagacchati nīra-dharmaiḥ
드리쉬따이히 스바바바-자니따이르 바뿌샤스 짜 도샤이르
dṛṣṭaiḥ svabhāva-janitair vapuṣaś ca doṣair
나 쁘라끄리따밤 이하 박따 자나샤 빠쉣
na prākṛtatvam iha bhakta-janasya paśyet
강감바삼 나 칼루 붇부다-페나-빵까이르
gaṅgāmbhasāṁ na khalu budbuda-phena-paṅkair
브라흐마-드라바뜨밤 아빠갓챠띠 니라-다르마이히
brahma-dravatvam apagacchati nīra-dharmaiḥ

Synonyms

동의어

dṛṣṭaiḥ — seen by ordinary vision; svabhāva-janitaiḥ — born of one’s own nature; vapuṣaḥ — of the body; ca — and; doṣaiḥ — by the faults; na — not; prākṛtatvam — the state of being material; iha — in this world; bhakta-janasya — of a pure devotee; paśyet — one should see; gaṅgā-ambhasām — of the Ganges waters; na — not; khalu — certainly; budbuda-phena-paṅkaiḥ — by bubbles, foam and mud; brahma-dravatvam — the transcendental nature; apagacchati — is spoiled; nīra-dharmaiḥ —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드리쉬따이히(dṛṣṭaiḥ): 평범한 시각에서 본, 스바바바-자니따이히(svabhāva-janitaiḥ): 고유한 본성으로 태어난, 바뿌샤하(vapuṣaḥ): 육신의, 짜(ca): 그리고, 도샤이히(doṣaiḥ): 잘못으로, 나(na): 아니다, 쁘라끄리따뜨밤(prākṛtatvam): 물질적으로 된 상태, 이하(iha): 이 세상에서, 박따-자나샤(bhakta-janasya): 순수한 헌애자의, 빠쉣(paśyet): 반드시 봐야 한다, 강가-암바삼(gaṅgā-ambhasām): 갠지스 물의, 나(na): 아니다, 칼루(khalu): 분명히, 붇부다-페나-빵까이히(budbuda-phena-paṅkaiḥ): 거품과 진흙으로, 브라흐마-드라바뜨밤(brahma-dravatvam): 초월적 본성, 아빠갓챠띠(apagacchati): 망치다, 니라-다르마이히(nīra-dharmaiḥ): 물의 특징들.

Translation

번역

Being situated in his original Kṛṣṇa conscious position, a pure devotee does not identify with the body. Such a devotee should not be seen from a materialistic point of view. Indeed, one should overlook a devotee’s having a body born in a low family, a body with a bad complexion, a deformed body, or a diseased or infirm body. According to ordinary vision, such imperfections may seem prominent in the body of a pure devotee, but despite such seeming defects, the body of a pure devotee cannot be polluted. It is exactly like the waters of the Ganges, which sometimes during the rainy season are full of bubbles, foam and mud. The Ganges waters do not become polluted. Those who are advanced in spiritual understanding will bathe in the Ganges without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the water.

본래의 끄리쉬나 의식에 위치한 순수한 헌애자는 자신을 육신과 동일시하지 않는다. 그런 헌애자를 물질적 관점으로 봐서는 안 된다. 실로 낮은 가문에서 태어났거나 피부가 나쁘거나, 기형의 몸을 하고 있거나 질병에 걸리거나 몸이 허약한 헌애자를 얕잡아 보아서는 안 된다. 평범한 시각에서는 순수한 헌애자의 그런 육체적 결함이 두드러지게 보일지라도 그런 눈에 띄는 장애에도 순수한 헌애자는 더럽혀지지 않는다. 우기에 가끔 거품과 진흙으로 꽉 차는 갠지스 물과 바로 똑같다. 갠지스 물은 오염되지 않는다. 영적 이해가 뛰어난 자들은 물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목욕할 것이다.

Purport

주석

Śuddha-bhakti, the activity of the soul proper – in other words, engagement in the transcendental loving service of the Lord – is performed in a liberated condition. In Bhagavad-gītā (14.26) it is stated:

슏다-박띠(Śuddha-bhakti), 즉 영혼의 올바른 행위, 다른 말로 하면, 절대신을 향한 초월적 사랑의 봉사에 종사하는 행위는 물질적 속박에서 해방된 상태에 수행될 수 있다. 바가바드 기따 (14.26)에서 말한다.

māṁ ca yo ’vyabhicāreṇa
bhakti-yogena sevate
sa guṇān samatītyaitān
brahma-bhūyāya kalpate
맘 짜 요’뱌비짜레나 māṁ ca yo ’vyabhicāreṇa
박띠-요게나 세바떼 bhakti-yogena sevate
사 구난 사마띠땨이딴 sa guṇān samatītyaitān
브라흐마-부야야 깔빠떼 brahma-bhūyāya kalpate

“One who engages in full devotional service, who does not fall down in any circumstance, at once transcends the modes of material nature and thus comes to the level of Brahman.”

“봉헌에 전적으로 종사하는 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타락하지 않으며 즉시 물질적 본성을 초월하여 브라흐만(Brahman)의 단계에 이르게 된다.”

Avyabhicāriṇī bhakti means unalloyed devotion. A person engaged in devotional service must be free from material motives. In this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 one’s consciousness must be changed. If consciousness is aimed toward material enjoyment, it is material consciousness, and if it is aimed toward serving Kṛṣṇa, it is Kṛṣṇa consciousness. A surrendered soul serves Kṛṣṇa without material considerations (anyābhilāṣitā-śūnyam). Jñāna-karmādy-anāvṛtam: unalloyed devotional service, which is transcendental to the activities of the body and mind, such as jñāna (mental speculation) and karma (fruitive work), is called pure bhakti-yoga. Bhakti-yoga is the proper activity of the soul, and when one actually engages in unalloyed, uncontaminated devotional service, he is already liberated (sa guṇān samatītyaitān). Kṛṣṇa’s devotee is not subjected to material conditions, even though his bodily features may appear materially conditioned. One should therefore not see a pure devotee from a materialistic point of view. Unless one is actually a devotee, he cannot see another devotee perfectly. As explained in the previous verse, there are three types of devotees – kaniṣṭha-adhikārī, madhyama-adhikārī and uttama-adhikārī. The kaniṣṭha-adhikārī cannot distinguish between a devotee and nondevotee. He is simply concerned with worshiping the Deity in the temple. A madhyama-adhikārī, however, can distinguish between the devotee and nondevotee, as well as between the devotee and the Lord. Thus he treats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the devotee and the nondevotee in different ways.

아뱌비짜리니 박띠(Avyabhicāriṇī bhakti)는 순수한 헌애를 의미한다. 봉헌에 종사하는 사람은 반드시 물질적 동기에서 벗어나야 한다. 끄리쉬나 의식 운동에서는 우리 의식을 변화시킬 것을 필요로 한다. 의식이 물질적 향유를 목적으로 한다면 그것은 물질적 의식이고, 의식이 끄리쉬나를 섬기는 데 전념한다면, 그것은 끄리쉬나 의식이다. 항복한 영혼은 물질적 고려 없이 끄리쉬나를 섬긴다(안야빌라쉬따-슌얌, anyābhilāṣitā-śūnyam《박띠-라삼리따-신두 1.1.11》).
갸나-까르마디-아나브리땀(Jñāna-karmādy-anāvṛtam), 즉 몸과 마음의 행위, 갸나(정신적 사색), 까르마(결실적 일) 같은 것을 초월한 진실된 봉헌은 순수한 박띠 요가라 불린다. 박띠 요가는 영혼의 올바른 행위이고 우리가 순수하고, 더럽혀지지 않은 봉헌에 실제로 종사할 때 이미 물질적 속박에서 해방된 것이다(사 구난 사마띠땨이딴(sa guṇān samatītyaitān, 《바가바드 기따 14.26》). 끄리쉬나의 헌애자는 신체적 특징 혹은 기능이 물질적 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물질적 조건에 좌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순수한 헌애자를 물질적 관점에서 보아서는 안 된다. 실제로 헌애자가 아닌 이상, 다른 헌애자를 완벽하게 볼 수 없다. 이전 구절에서 설명했듯 세 유형의 헌애자 까니쉬타-아디까리, 마댜마-아디까리, 웃따마-아디까리가 있다. 까니쉬타-아디까리는 헌애자와 비헌애자를 구별할 수 없다. 이들은 그저 사원의 신상 숭배에만 신경을 쓸 뿐이다. 그렇지만 마댜마-아디까리는 헌애자와 비헌애자를 구별할 수 있고 헌애자와 절대자도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최고인격신과 헌애자, 비헌애자를 다른 식으로 대한다.

No one should criticize the bodily defects of a pure devotee. If there are such defects, they should be overlooked. W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s the spiritual master’s main business, which is devotional service, pure service to the Supreme Lord. As stated in Bhagavad-gītā (9.30):

누구도 순수한 헌애자의 신체적 결함을 비난해서는 안 된다. 만일 그런 결함이 있다고 해도 안보고 넘어가야 한다. 우리가 고려해야 할 점은 영적 스승의 주 임무는 봉헌, 지고의 신을 향한 순수한 봉사라는 점이다. 바가바드 기따 (9.30)에서 명시하는 것처럼,

api cet sudurācāro
bhajate mām ananya-bhāk
sādhur eva sa mantavyaḥ
samyag vyavasito hi saḥ
아삐 쩻 수두라짜로 api cet sudurācāro
바자떼 맘 아나냐-박 bhajate mām ananya-bhāk
사두르 에바 사 만따뱌하 sādhur eva sa mantavyaḥ
삼야그 뱌바시또 히 사하 samyag vyavasito hi saḥ

Even if a devotee sometimes seems to engage in abominable activities, he should be considered a sādhu, a saintly person, because his actual identity is that of one engaged in the loving service of the Lord. In other words, he is not to be considered an ordinary human being.

헌애자가 가끔 형편없는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여도 그의 실제 정체성은 주를 향한 사랑의 봉사에 종사하는 사람이므로 사두(sādhu), 즉 성인다운 사람으로 간주해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그를 평범한 사람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Even though a pure devotee may not be born in a brāhmaṇa or gosvāmī family, if he is engaged in the service of the Lord he should not be neglected. In actuality there cannot be a family of gosvāmīs based on material considerations, caste or heredity. The gosvāmī title is actually the monopoly of the pure devotees; thus we speak of the Six Gosvāmīs, headed by Rūpa Gosvāmī and Sanātana Gosvāmī. Rūpa Gosvāmī and Sanātana Gosvāmī had practically become Mohammedans and had therefore changed their names to Dabir Khāsa and Sākara Mallik, but Śrī Caitanya Mahāprabhu Himself made them gosvāmīs. Therefore the gosvāmī title is not hereditary. The word gosvāmī refers to one who can control his senses, who is master of the senses. A devotee is not controlled by the senses, but is the controller of the senses. Consequently he should be called svāmī or gosvāmī, even though he may not be born in a gosvāmī family.

순수한 헌애자가 브라흐마나 혹은 고스와미 가문에서 태어나지 않았더라도 그가 주를 향한 봉사에 종사한다면 등한시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물질적 조건, 카스트 혹은 세습에 기반을 둔 고스와미 가정이란 있을 수 없다. 고스와미라는 직함은 사실 순수한 헌애자가 차지해야 할 직함이다. 따라서 루빠 고스와미와 사나따나 고스와미를 선두로 여섯 고스와미를 이야기한다. 실제로 루빠 고스와미와 사나따나 고스와미는 무슬림이 되어 다비라 카사와 사카라 말리카로 이름을 바꿨지만 스리 짜이따냐 마하쁘라부께서 그들을 고스와미로 만들어 주셨다. 그러므로 고스와미의 직함은 세습되는 것이 아니다. 고스와미라는 단어는 자신의 감각을 통제할 수 있는 감각의 주인을 말한다. 헌애자는 감각에 통제받지 않고 감각의 통제자이다. 따라서 고스와미 가정에서 태어나지 않았어도 이런 헌애자를 스와미 혹은 고스와미라 불러야 한다.

According to this formula, the gosvāmīs who are descendants of Śrī Nityānanda Prabhu and Śrī Advaita Prabhu are certainly devotees, but devotees coming from other families should not be discriminated against; indeed, whether the devotees come from a family of previous ācāryas or from an ordinary family, they should be treated equally. One should not think, “Oh, here is an American gosvāmī,” and discriminate against him. Nor should one think, “Here is a nityānanda-vaṁśa-gosvāmī.” There is an undercurrent of protest against our awarding the title gosvāmī to the American Vaiṣṇavas of the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 Sometimes people flatly tell the American devotees that their sannyāsa or title of gosvāmī is not bona fide. However, according to the statements of Śrīla Rūpa Gosvāmī in this verse, an American gosvāmī and a gosvāmī in a family of ācāryas are nondifferent.

이 공식에 따라 스리 니땨난다 쁘라부와 스리 아드바이따 쁘라부의 후손인 고스와미들은 분명 헌애자가 맞지만 다른 족보의 헌애자들을 차별해서는 안 된다. 사실 이전 아짜리아 족보에서 내려온 헌애자들이든 평범한 가정 출신의 헌애자이든 동등하게 대해야 한다. “오, 여기 미국 고스와미가 있다.”라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그를 차별해서도 안 된다. “니땨난다-밤샤-고스와미(nityānanda-vaṁśa-gosvāmī)가 계시네.”라고 생각해서도 안 된다. 끄리쉬나 의식 운동의 미국 바이쉬나바들에게 고스와미라는 명칭을 부여하는 데 반대하는 기류가 있고, 미국인 헌애자들의 산냐사 혹은 고스와미 명칭이 정통성이 없다고 딱 잘라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스릴라 루빠 고스와미께서 말씀하신 이 구절에 따르면 미국 고스와미와 아짜리아 가문 출신의 고스와미는 다르지 않다.

On the other hand, a devotee who has attained the title of gosvāmī but is not born of a brāhmaṇa father or of a gosvāmī in the family of Nityānanda or Advaita Prabhu should not be artificially puffed up by thinking that he has become a gosvāmī. He should always remember that as soon as he becomes materially puffed up, he immediately falls down. This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 is a transcendental science, and there is no room for jealousy. This movement is meant for the paramahaṁsas who are completely free from all jealousy (paramaṁ nirmatsarāṇām). One should not be jealous, whether he is born in a family of gosvāmīs or has the title of gosvāmī awarded to him. As soon as anyone becomes envious, he falls from the platform of paramahaṁsa.

한편, 브라흐마나 아버지 혹은 니땨난다나 아드바이따 쁘라부 가문 출신이 아니지만 고스와미의 명칭을 얻은 헌애자가 자기가 고스와미가 되었다고 생각하며 인위적으로 기고만장해해서도 안 된다. 물질적으로 잘난 체하게 되자마자 즉시 타락한다는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이 끄리쉬나 의식 운동은 초월적 과학으로 시기할 여지가 전혀 없다. 이 운동은 시기심에서 완전히 벗어난 빠라마함사(paramahaṁsas)들을 위한 것이다(빠라맘 니르맛사라남, paramaṁ nirmatsarāṇām). 고스와미의 가정에서 태어났든 고스와미의 명칭을 줬든 시기해서는 안 된다. 시기하자마자 빠라마함사 위치에서 떨어진다.

If we consider the bodily defects of a Vaiṣṇava, we should understand that we are committing an offense at the lotus feet of the Vaiṣṇava. An offense at the lotus feet of a Vaiṣṇava is very serious. Indeed, Śrī Caitanya Mahāprabhu has described this offense as hātī-mātā, the mad elephant offense. A mad elephant can create a disaster, especially when it enters into a nicely trimmed garden. One should therefore be very careful not to commit any offense against a Vaiṣṇava. Every devotee should be ready to take instructions from a superior Vaiṣṇava, and a superior Vaiṣṇava must be ready to help an inferior Vaiṣṇava in all respects. One is superior or inferior according to his spiritual development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One is forbidden to observe the activities of a pure Vaiṣṇava from a material point of view. For the neophyte especially, considering a pure devotee from a material point of view is very injurious. One should therefore avoid observing a pure devotee externally, but should try to see the internal features and understand how he is engaged in the transcendental loving service of the Lord. In this way one can avoid seeing the pure devotee from a material point of view, and thus one can gradually become a purified devotee himself.

만일 바이쉬나바의 신체적 결함을 고려한다면 바이쉬나바의 연꽃 같은 발에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바이쉬나바의 연꽃 같은 발에 저지르는 잘못은 매우 심각하다. 실제로 스리 짜이따냐 마하쁘라부는 이 잘못을 하띠-마따(hātī-mātā), 즉 미친 코끼리의 잘못이라고 묘사했다. 미친 코끼리가 특히 잘 가꿔진 정원에 들어오면 재앙을 부를 수 있다. 그러므로 바이쉬나바에게 어떤 잘못도 저지르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야 한다. 모든 헌애자가 더 높은 바이쉬나바에게 지도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고, 더 높은 바이쉬나바는 부족한 바이쉬나바를 모든 점에서 도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끄리쉬나 의식에서의 영적 발전 정도에 따라 높고 낮은 정도의 우열을 가릴 수 있다. 순수한 바이쉬나바의 행위를 물질적 관점으로 보는 것은 금기시된다. 특히 초심자가 순수한 헌애자를 물질적 관점에서 고려하는 것은 매우 해롭다. 그러므로 순수한 헌애자를 외면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피하고 내면적 특징을 보도록 노력해야 하며 주를 향한 초월적 사랑의 봉사에 어떻게 임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순수한 헌애자를 물질적 관점에서 보는 잘못을 피할 수 있고, 그 결과 점진적으로 자기 정화가 된 헌애자가 된다.

Those who think that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limited to a certain section of people, a certain section of devotees or a certain tract of land are generally prone to see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devotee. Such neophytes, unable to appreciate the exalted service of the advanced devotee, try to bring the mahā-bhāgavata to their platform. We experience such difficulty in propagating this Kṛṣṇa consciousness all over the world. Unfortunately we are surrounded by neophyte godbrothers who do not appreciate the extraordinary activities of spreading Kṛṣṇa consciousness all over the world. They simply try to bring us to their platform, and they try to criticize us in every respect. We very much regret their naive activities and poor fund of knowledge. An empowered person who is actually engaged in the confidential service of the Lord should not be treated as an ordinary human being, for it is stated that unless one is empowered by Kṛṣṇa, one cannot spread the Kṛṣṇa consciousness movement all over the world.

끄리쉬나 의식이 특정한 사람들, 특정한 헌애자 혹은 특정한 땅,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헌애자의 외적 특징을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런 초심자들은 진보한 헌애자의 고귀한 봉사를 감사할 수 없고 마하-바가바따(mahā-bhāgavata)를 자기들의 위치로 끌어내리려 한다. 우리는 이 끄리쉬나 의식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데 그런 어려움을 경험했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전 세계에 끄리쉬나 의식을 전파하는 비범한 활약들을 감사하지 않는 초심자 영적 형제들에게 둘러싸여 있다. 그들은 그저 우리를 자기들의 위치로 끌어내리고 모든 점에서 우리를 비난하려고 애쓴다. 그들의 고지식한 행동과 모자란 지식이 안타까울 뿐이다. 절대자를 위한 비밀스러운 봉사에 실제로 종사하는 권능이 부여된 자를 평범한 인간으로 대해서는 안 된다. 끄리쉬나께 권능을 부여받지 않고서는 끄리쉬나 의식 운동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When one thus criticizes a pure devotee, he commits an offense (vaiṣṇava-aparādha) that is very obstructive and dangerous for those who desire to advanc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 person cannot derive any spiritual benefit when he offends the lotus feet of a Vaiṣṇava. Everyone should therefore be very careful not to be jealous of an empowered Vaiṣṇava, or a śuddha-vaiṣṇava. It is also an offense to consider an empowered Vaiṣṇava an object of disciplinary action. It is offensive to try to give him advice or to correct him. One can distinguish between a neophyte Vaiṣṇava and an advanced Vaiṣṇava by their activities. The advanced Vaiṣṇava is always situated as the spiritual master, and the neophyte is always considered his disciple. The spiritual master must not be subjected to the advice of a disciple, nor should a spiritual master be obliged to take instructions from those who are not his disciples. This is the sum and substance of Śrīla Rūpa Gosvāmī’s advice in the sixth verse. 

따라서 순수한 헌애자를 비난하는 것은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고, 이는 끄리쉬나 의식의 발전을 도모하는 자에게 매우 방해되고 위험하다(바이쉬나바-아빠라다, vaiṣṇava-aparādha). 바이쉬나바의 연꽃 같은 발에 잘못을 저지를 때 어떤 영적 혜택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 권능이 부여된 바이쉬나바 혹은 슏다-바이쉬나바를 시기하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야 한다. 권능이 부여된 바이쉬나바를 훈련의 결과 그렇게 된 대상이라고 여기는 것 또한 잘못이다. 그런 바이쉬나바에게 조언하거나 잘못을 고치려 하는 것은 무례하다. 이렇게 초심자 바이쉬나바와 영적으로 진보한 바이쉬나바를 행위로 구별할 수 있다. 진보한 바이쉬나바는 항상 영적 스승의 위치에 있고 초심자는 항상 그의 제자로 여겨진다. 영적 스승은 제자의 조언을 받는 대상이 아니며 영적 스승이 자신의 제자가 아닌 자들의 지시를 받을 의무도 없다. 이것이 여섯 번째 절에서 스릴라 루빠 고스와미께서 주신 조언의 요약이자 골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