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Mantra Three

<strong>만뜨라 3</strong>

Text

원문

asuryā nāma te lokā
andhena tamasāvṛtāḥ
tāḿs te pretyābhigacchanti
ye ke cātma-hano janāḥ
아수랴 나마 떼 로까 asuryā nāma te lokā
안데나 따마사브리따하 andhena tamasāvṛtāḥ
땀스 떼 쁘레땨비갓찬띠 tāṁs te pretyābhigacchanti
예 께 짜뜨마-하노 자나하 ye ke cātma-hano janāḥ

Synonyms

동의어

asuryāḥ — meant for the asuras; nāma — famous by the name; te — those; lokāḥ — planets; andhena — by ignorance; tamasā — by darkness; āvṛtāḥ — covered; tān — those planets; te — they; pretya — after death; abhigacchanti — enter into; ye — anyone; ke — everyone; ca — and; ātma-hanaḥ — the killers of the soul; janāḥ — persons.

아수랴하(asuryāḥ): 아수라를 위한, 나마(nāma): 이름으로 유명한, 떼(te): 그런 사람들, 로까하(lokāḥ): 행성들, 안데나(andhena): 무지에 의해, 따마사(tamasā): 어둠에 의해,  아브리따하(āvṛtāḥ): 덮이다, 딴(tān): 그런 행성들, 떼(te): 그들, 쁘레땨(pretya): 죽음 후에, 아비갓찬띠(abhigacchanti): 들어가다, 예(ye): 누구든, 께(ke): 모든 이, 짜(ca): 그리고, 아뜨마-하나하(ātma-hanaḥ): 영혼의 살인자들, 자나하(janāḥ): 사람들.

Translation

번역

The killer of the soul, whoever he may be, must enter into the planets known as the worlds of the faithless, full of darkness and ignorance.

영혼을 죽인 자는 누구든지 믿음 없는 자들의 세계로 알려진, 어둠과 무지로 가득 찬 행성에 반드시 들어가게 된다.

Purport

주석

Human life is distinguished from animal life due to its heavy responsibilities. Those who are cognizant of these responsibilities and who work in that spirit are called suras (godly persons), and those who are neglectful of these responsibilities or who have no information of them are called asuras (demons). Throughout the universe there are only these two types of human being. In the Ṛg Veda it is stated that the suras always aim at the lotus feet of the Supreme Lord Viṣṇu and act accordingly. Their ways are as illuminated as the path of the sun.

인간의 삶은 막대한 책임 때문에 동물의 삶과 확연히 구분된다. 이러한 책임을 알고 그런 의식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수라(sura, 신을 숭상하는 자)라 하고, 이러한 책임을 무시하거나 아예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을 아수라(asuras, 악마)라고 한다. 전 우주를 통틀어 오직 이 두 부류의 인간만이 존재한다. 리그베다에 수라들은 항상 절대신 비쉬누(Viṣṇu)의 연꽃 같은 발을 목표로 삼고 그에 따라 항상 행동한다고 적혀 있다. 그들이 가는 길은 태양이 지나가는 길만큼이나 찬란하다.

Intelligent human beings must always remember that the soul obtains a human form after an evolution of many millions of years in the cycle of transmigration. The material world is sometimes compared to an ocean, and the human body is compared to a solid boat designed especially to cross this ocean. The Vedic scriptures and the ācāryas, or saintly teachers, are compared to expert boatmen, and the facilities of the human body are compared to favorable breezes that help the boat ply smoothly to its desired destination. If, with all these facilities, a human being does not fully utilize his life for self-realization, he must be considered ātma-hā, a killer of the soul. Śrī Īśopaniṣad warns in clear terms that the killer of the soul is destined to enter into the darkest region of ignorance to suffer perpetually.

현명한 인간이라면 우리의 영혼이 윤회를 거듭하며 수백만 년의 진화를 거친 후에야 비로소 인간의 모습을 얻는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 물질계는 때때로 대양(大洋)에 비유되고 인간의 몸은 바로 이 대양을 건너려고 만든 견고한 배에 비유된다. 그리고 베다 경전과 아짜리아, 즉 성인다운 스승들은 노련한 뱃사공에 비유되고 인간의 몸이 하는 여러 기능은 순풍과 같아 배가 원하는 목적지로 부드럽게 나아가도록 도와준다. 이 모든 편의를 갖춘 인간이 자아 인식을 위한 자신의 삶을 완전히 활용하지 않는다면 그는 아뜨마-하(ātma-hā), 즉 영혼의 살인자로 간주되어야 한다. 스리 이쇼빠니샤드는 영혼의 살인자는 가장 어두운 무지의 세계로 떨어져 영원히 고통받게 된다고 분명히 경고한다.

There are swine, dogs, camels, asses, etc., whose economic necessities are just as important to them as ours are to us, but the economic problems of these animals are solved only under nasty and unpleasant conditions. The human being is given all facilities for a comfortable life by the laws of nature because the human form of life is more important and valuable than animal life. Why is man given a better life than that of the swine and other animals? Why is a highly placed government servant given better facilities than those of an ordinary clerk? The answer is that a highly placed officer has to discharge duties of a higher nature. Similarly, the duties human beings have to perform are higher than those of animals, who are always engaged in simply feeding their hungry stomachs. Yet the modern soul-killing civilization has only increased the problems of the hungry stomach. When we approach a polished animal in the form of a modern civilized man and ask him to take interest in self-realization, he will say that he simply wants to work to satisfy his stomach and that there is no need of self-realization for a hungry man. The laws of nature are so cruel, however, that despite his denunciation of the need for self-realization and his eagerness to work hard to fill his stomach, he is always threatened by unemployment.

개나 돼지, 낙타, 당나귀에게도 경제적 필수품이 있고 우리만큼이나 그들에게도 그것이 중요하지만, 동물들의 경제적 문제는 더럽고 불쾌한 상황에서 해결된다. 인간의 삶이 동물의 삶보다 더욱 중요하고 가치 있기 때문에 자연의 법칙에 따라 인간은 안락한 삶을 위한 모든 편의를 부여받았다. 왜 인간이 돼지나 다른 동물보다 더 나은 삶을 부여받았는가? 왜 고급 정부 관료는 일반 직원보다 훨씬 좋은 시설을 제공받는가? 그 답은 높은 지위의 관리가 더 높은 의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간이 수행해야 하는 의무는 항상 주린 배를 채우는 데만 급급한 동물의 것보다 훨씬 중대하다. 그러나 현대의 영혼 죽이는 문명은 오직 주린 배를 채우는 문제만 늘렸다. 현대 문명의 탈을 쓴 세련된 동물에게 자아 인식에 관심을 가지라고 청하면 그는 그저 배를 채우는 데만 관심 있을 뿐 자아를 인식할 필요는 전혀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자연의 법칙은 매우 가혹해 그가 자아 인식의 필요성을 비난하고 배를 채우려 열심히 일하고 싶더라도 항상 실직의 위협이 있다.

We are given this human form of life not to work hard like asses, swine and dogs but to attain the highest perfection of life. If we do not care for self-realization, the laws of nature force us to work very hard, even though we may not want to do so. Human beings in this age have been forced to work hard like the asses and bullocks that pull carts. Some of the regions where the asuras are sent to work are revealed in this mantra of Śrī Īśopaniṣad. If a man fails to discharge his duties as a human being, he is forced to transmigrate to the asurya planets and take birth in degraded species of life to work hard in ignorance and darkness.

우리는 당나귀나 개, 돼지처럼 죽도록 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가장 높은 삶의 완성을 이루기 위해 이 몸을 받았다. 깨달음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원치 않더라도 자연의 법칙이 죽도록 일하지 않으면 안 되게끔 강요한다. 이 시대의 인간은 무거운 짊을 끄는 노새나 황소처럼 억지로 일해야만 한다. 이 절에 아수라(악마)들이 사는 곳에 대한 스리 이쇼빠니샤드의 설명이 있다. 사람이 인간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면 아수라 행성으로 떨어지게 되고 무지와 어둠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야 하는 낮은 종의 생명체로 태어나게 된다.

In the Bhagavad-gītā (6.41–43) it is stated that a man who enters upon the path of self-realization but does not complete the process, despite having sincerely tried to realize his relationship with God, is given a chance to appear in a family of śuci or śrīmat. The word śuci indicates a spiritually advanced brāhmaṇa, and śrīmat indicates a vaiśya, a member of the mercantile community. So the person who fails to achieve self-realization is given a better chance in his next life due to his sincere efforts in this life. If even a fallen candidate is given a chance to take birth in a respectable and noble family, one can hardly imagine the status of one who has achieved success. By simply attempting to realize God, one is guaranteed birth in a wealthy or aristocratic family. But those who do not even make an attempt, who want to be covered by illusion, who are too materialistic and too attached to material enjoyment, must enter into the darkest regions of hell, as confirmed throughout the Vedic literature. Such materialistic asuras sometimes make a show of religion, but their ultimate aim is material prosperity. The Bhagavad-gītā (16.17–18) rebukes such men by calling them ātma-sambhāvita, meaning that they are considered great only on the strength of deception and are empowered by the votes of the ignorant and by their own material wealth. Such asuras, devoid of self-realization and knowledge of īśāvāsya, the Lord’s universal proprietorship, are certain to enter into the darkest regions.

바가바드 기따(6. 41~43)에서 이르기를, 인간이 자아 인식의 길에 들어서 자신과 절대신의 관계를 깨달으려고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완성을 보지 못하면 수찌(śuci)나 스리맛(śrīmat) 가문에 태어날 기회를 얻게 된다고 했다. ‘수찌’란 영적으로 높은 경지에 도달한 브라흐마나(brāhmaṇa)를 의미하고, ‘스리맛(srimat)’이란 바이샤(vaiśya), 즉 상업에 종사하는 가문을 의미한다. 따라서 깨달음을 얻는 데 실패한 사람이라도 이생에서 진심으로 노력한 덕분에 다음 생에 깨달음을 얻기에 더 좋은 기회를 잡게 된다. 깨달음에 실패한 사람이 명문 가문에 태어날 기회를 얻게 된다면 깨달음에 성공한 사람이 얻을 위치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절대신을 깨닫고자 하는 시도만으로 인간은 부유한 가족이나 명문가문에 태어나는 것을 보장받는다. 그러나 너무나 물질적이고 물질적 즐거움에만 집착해 환영에 덮여 살고자 하며 이런 시도조차 하지 않는 사람은 베다 문헌 전반에 걸쳐 확증된 바대로 지옥의 가장 어두운 영역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런 물질주의적 아수라들은 종교로 쇼하지만 그들의 궁극적 목적은 물질적 번영일 뿐이다. 바가바드 기따(16.17~18)는 그런 인간은 속임수로 명예를 얻고 무지한 자들의 투표로 권력을 얻으며 자신이 축적한 물질적 부로 권세를 누리는 아뜨마-삼바비따(ātma-sambhāvita)라고 질책한다. 자아 인식과 이샤바샤, 즉 주의 우주적 소유권에 관한 지식이 없는 그런 아수라들은 어둠의 영역에 반드시 떨어지게 된다.

The conclusion is that as human beings we are meant not simply for solving economic problems on a tottering platform but for solving all the problems of the material life into which we have been placed by the laws of nature.

결론적으로 인간인 우리는 위태로운 기반 위에서 경제적 문제만을 해결하기 위해 살 것이 아니라 자연의 법칙에 종속된 물질적 삶에서 오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