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8

제28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श‍ुभाश‍ुभफलैरेवं मोक्ष्यसे कर्मबन्धनै: ।
सन्न्यासयोगयुक्तात्मा विमुक्तो मामुपैष्यसि ॥ २८ ॥

Text

원문

śubhāśubha-phalair evaṁ
mokṣyase karma-bandhanaiḥ
sannyāsa-yoga-yuktātmā
vimukto mām upaiṣyasi
슈바슈바-팔라이레밤 śubhāśubha-phalair evaṁ
목샤세 까르마-반다나이히 mokṣyase karma-bandhanaiḥ
산냐사-요가-육따뜨마 sannyāsa-yoga-yuktātmā
비묵또 맘 우빠이샤시 vimukto mām upaiṣyasi

Synonyms

동의어

śubha — from auspicious; aśubha — and inauspicious; phalaiḥ — results; evam — thus; mokṣyase — you will become free; karma — of work; bandhanaiḥ — from the bondage; sannyāsa — of renunciation; yoga — the yoga; yukta-ātmā — having the mind firmly set on; vimuktaḥ — liberated; mām — to Me; upaiṣyasi — you will attain.

슈바: 상서로운 것으로부터, 아슈바: 그리고 상서롭지 못한, 팔라이히: 결과, 에밤: 그래서, 목샤세: 너는 벗어날 것이다, 까르마: 일의, 반다나이히: 속박으로부터, 산냐사: 초연함의, 요가: 요가, 육따-아뜨마: 마음을 단단히 집중하고, 비묵따하: 해방하는, 맘: 나에게, 우빠이샤시: 너는 달성할 것이다.

Translation

번역

In this way you will be freed from bondage to work and its auspicious and inauspicious results. With your mind fixed on Me in this principle of renunciation, you will be liberated and come to Me.

이런 식으로 너는 일에서의 속박과 그것의 상서롭고 상서롭지 못한 결과에서 벗어날 것이다. 버림의 원칙으로 네 마음을 나에게 집중하면 너는 해방되고 나에게로 올 것이니라.

Purport

주석

One who acts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under superior direction is called yukta. The technical term is yukta-vairāgya. This is further explained by Rūpa Gosvāmī as follows:

더 높은 사람의 지도에 따라 끄리쉬나 의식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육따(yukta)라고 한다. 육따 바이라갸(yukta-vairagya)는 전문적 용어로, 루빠 고스와미께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셨다.

anāsaktasya viṣayān
yathārham upayuñjataḥ
nirbandhaḥ kṛṣṇa-sambandhe
yuktaṁ vairāgyam ucyate
아나삭따샤 비샤얀 anāsaktasya viṣayān
야타르함 우빠윤자따하 yathārham upayuñjataḥ
니르반다 끄리쉬나-삼반데 nirbandhaḥ kṛṣṇa-sambandhe
육땀 바이라걈 우짜떼 yuktaṁ vairāgyam ucyate

(Bhakti-rasāmṛta-sindhu, 1.2.255)

『박띠 라삼리따 신두 1.2.255』

Rūpa Gosvāmī says that as long as we are in this material world we have to act; we cannot cease acting. Therefore if actions are performed and the fruits are given to Kṛṣṇa, then that is called yukta-vairāgya. Actually situated in renunciation, such activities clear the mirror of the mind, and as the actor gradually makes progress in spiritual realization he becomes completely surrendered to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Therefore at the end he becomes liberated, and this liberation is also specified. By this liberation he does not become one with the brahma-jyotir, but rather enters into the planet of the Supreme Lord. It is clearly mentioned here: mām upaiṣyasi, “he comes to Me,” back home, back to Godhead. There are five different stages of liberation, and here it is specified that the devotee who has always lived his lifetime here under the direction of the Supreme Lord, as stated, has evolved to the point where he can, after quitting this body, go back to Godhead and engage directly in the association of the Supreme Lord.

우리가 이 물질계에 있는 한 행위를 해야 하고, 그것을 멈출 수 없다고 루빠 고스와미께서 말씀하신다. 그러므로 행위를 하고, 그 결과를 끄리쉬나께 바치면 그것을 육따 바이라갸라고 한다. 초연함의 경지에 있더라도 그러한 행위는 마음의 거울을 맑게 하고, 행위자가 영적 깨달음에 점점 나아갈수록 최고인격신께 완전히 항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끝내 해방되게 되고, 이 해방 또한 구체적이다. 이 해방이란 브라흐마죠띠와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지고한 주의 행성에 이르는 것이다. 여기에서 분명히 맘 우빠이샤시(mām upaiṣyasi), “나에게로 올 것이니라”, 즉 절대신께 돌아갈 것이라고 언급되었다. 다섯 단계의 해방이 있는데, 지고한 주의 지도에 따라 평생을 보낸 헌애자는 그 몸을 떠난 다음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지고한 주께 돌아가 당신과 직접 교류할 수 있다고 여기에서 명확히 말한다.

Anyone who has no interest but to dedicate his life to the service of the Lord is actually a sannyāsī. Such a person always thinks of himself as an eternal servant, dependent on the supreme will of the Lord. As such, whatever he does, he does it for the benefit of the Lord. Whatever action he performs, he performs it as service to the Lord. He does not give serious attention to the fruitive activities or prescribed duties mentioned in the Vedas. For ordinary persons it is obligatory to execute the prescribed duties mentioned in the Vedas, but although a pure devotee who is completely engaged in the service of the Lord may sometimes appear to go against the prescribed Vedic duties, actually it is not so.

자기 삶을 주를 위한 봉사에만 바치는 자는 실제로 산냐시와 다름없다. 이런 사람은 항상 자신을 주의 최고 의지에 의존하는 영원한 종으로 생각한다. 이처럼 무엇을 하든 그는 주를 위해 일한다. 어떠한 행위를 하든, 그는 주를 향한 봉헌으로 행한다. 그는 결실적 행위나 베다에 규정된 의무에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베다의 규정된 의무를 수행하는 것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필수적이지만, 주의 봉사에 전적으로 종사하는 순수한 헌애자가 때때로 베다의 규정된 의무를 위반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사실 그런 것이 아니다.

It is said, therefore, by Vaiṣṇava authorities that even the most intelligent person cannot understand the plans and activities of a pure devotee. The exact words are tāṅra vākya, kriyā, mudrā vijñeha nā bujhaya (Caitanya-caritāmṛta, Madhya 23.39). A person who is thus always engaged in the service of the Lord or is always thinking and planning how to serve the Lord is to be considered completely liberated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his going back home, back to Godhead, is guaranteed. He is above all materialistic criticism, just as Kṛṣṇa is above all criticism.

그러므로 바이쉬나바 권위자들에 의하면, 가장 지적인 자라도 순수한 헌애자의 계획과 행위를 이해할 수 없다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딴라 바꺄, 끄리야, 무드라 비계하 나 부즈하야(tāṅra vākya, kriyā, mudrā vijñeha nā bujhaya 『짜이따냐 짜리땀리따 마댜 23.39』)”라고 한다. 따라서 주의 봉사에 항상 종사하거나, 항상 주를 섬길 생각과 계획을 하는 자는 현재에 해방된 자로 여겨지며 장래에 영원한 고향, 절대신께 돌아갈 것이 보장된다. 끄리쉬나가 모든 비평을 초월하듯이 그러한 헌애자는 물질계의 모든 비평을 초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