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8

제28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वेदेषु यज्ञेषु तप:सु चैव
दानेषु यत्पुण्यफलं प्रदिष्टम् ।
अत्येति तत्सर्वमिदं विदित्वा
योगी परं स्थानमुपैति चाद्यम् ॥ २८ ॥

Text

원문

vedeṣu yajñeṣu tapaḥsu caiva
dāneṣu yat puṇya-phalaṁ pradiṣṭam
atyeti tat sarvam idaṁ viditvā
yogī paraṁ sthānam upaiti cādyam
베데슈 야계슈 따빠수 짜이바 vedeṣu yajñeṣu tapaḥsu caiva
다네슈 얏 뿐야-팔람 쁘라디쉬땀 dāneṣu yat puṇya-phalaṁ pradiṣṭam
아뗴띠 땃 사르밤 이담 비디뜨바 atyeti tat sarvam idaṁ viditvā
요기 빠람 스타남 우빠이띠 짜댬 yogī paraṁ sthānam upaiti cādyam

Synonyms

동의어

vedeṣu — in the study of the Vedas; yajñeṣu — in the performances of yajña, sacrifice; tapaḥsu — in undergoing different types of austerities; ca — also; eva — certainly; dāneṣu — in giving charities; yat — that which; puṇya-phalam — result of pious work; pradiṣṭam — indicated; atyeti — surpasses; tat sarvam — all those; idam — this; viditvā — knowing; yogī — the devotee; param — supreme; sthānam — abode; upaiti — achieves; ca — also; ādyam — original.

베데슈: 베다를 공부하는 데에서, 야계슈: 야갸(제사)를 수행하는 데에서, 따빠수: 여러 종류의 고행을 하는 데에서, 짜: 또한, 에바: 분명히, 다네슈: 자선을 하는 데에서, 얏: 그것, 뿐야-팔람: 선한 일의 결과, 쁘라디쉬땀: 가리키는, 아뗴띠: 초월하다, 땃 사르밤: 그러한 모든 것, 이담: 이것, 비디뜨바: 아는, 요기: 헌애자, 빠람: 최상의, 스타남: 보금자리, 우빠이띠: 달성하다, 짜: 또한, 아댬: 원래의.

Translation

번역

A person who accepts the path of devotional service is not bereft of the results derived from studying the Vedas, performing sacrifices, undergoing austerities, giving charity or pursuing philosophical and fruitive activities. Simply by performing devotional service, he attains all these, and at the end he reaches the supreme eternal abode.

봉헌의 길을 받아들인 자가 베다를 공부하고, 어려운 제사를 거행하고, 고행하고, 자선하고 또는 철학적이거나 결실적 행위를 추구하는 데에서 오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봉헌을 행함으로써 그는 이 모든 것을 달성하게 되고, 결국 최상의 영원한 보금자리에 이르게 되느니라.

Purport

주석

This verse is the summation of the Seventh and Eighth chapters, which particularly deal with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devotional service. One has to study the Vedas under the guidance of the spiritual master and undergo many austerities and penances while living under his care. A brahmacārī has to live in the home of the spiritual master just like a servant, and he must beg alms from door to door and bring them to the spiritual master. He takes food only under the master’s order, and if the master neglects to call the student for food that day, the student fasts. These are some of the Vedic principles for observing brahmacarya.

이 절은 제7장과 제8장의 요약으로, 특히 끄리쉬나 의식과 봉헌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영적 스승의 지도에 따라 베다를 공부해야 하고, 그의 보살핌 속에서 사는 동안 여러 가지 금욕과 고행을 해야한다. 브라흐마짜리는 영적 스승의 집에서 종처럼 살아야 하고, 집집마다 구걸하여 얻은 것을 스승에게 바쳐야 한다. 스승의 허락 후에만 음식을 먹고, 만약 스승이 음식을 먹으라고 제자를 부르지 않으면 제자는 그날 굶어야 한다. 이것이 브라흐마짜리아의 맹세를 지키는 베다 원칙의 일부이다.

After the student studies the Vedas under the master for some time – at least from age five to twenty – he becomes a man of perfect character. Study of the Vedas is not meant for the recreation of armchair speculators, but for the formation of character. After this training, the brahmacārī is allowed to enter into household life and marry. When he is a householder, he has to perform many sacrifices so that he may achieve further enlightenment. He must also give charity according to the country, time and candidate, discriminating among charity in goodness, in passion and in ignorance, as described in Bhagavad-gītā. Then after retiring from household life, upon accepting the order of vānaprastha, he undergoes severe penances – living in forests, dressing with tree bark, not shaving, etc. By carrying out the orders of brahmacarya, householder life, vānaprastha and finally sannyāsa, one becomes elevated to the perfectional stage of life. Some are then elevated to the heavenly kingdoms, and when they become even more advanced they are liberated in the spiritual sky, either in the impersonal brahma-jyotir or in the Vaikuṇṭha planets or Kṛṣṇaloka. This is the path outlined by Vedic literatures.

적어도 다섯 살에서 스무 살까지 스승 밑에서 베다를 공부한 다음, 제자는 온전한 인성을 갖춘 사람이 될 수 있다. 베다를 공부하는 것은 탁상공론하는 사상가들의 오락을 위해서가 아니라 인격 형성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훈련 후에 브라흐마짜리는 결혼해서 가정을 갖도록 허락된다. 가장이 되면 여러 제사를 거행해야 하며 그렇게 하여 더 많은 깨달음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바가바드 기따에 설명된 대로, 선성(善性), 동성(動性), 암성(暗性)의 양태에 있는 자선을 구분해 때와 장소, 사람에 맞게 기부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가정생활에서 은퇴한 다음, 바나쁘라스타의 질서를 받아들인 즉시, 숲에 살고, 나무껍질로 옷을 입고, 면도하지 않는 등 엄격한 고행을 해야 한다. 인간은 브라흐마짜리아, 가정인의 삶, 바나쁘라스타, 그리고 마침내 산냐사의 질서를 따름으로써 삶의 완성에 오르게 된다. 그래서 일부는 천상의 왕국들로 올라가고, 그들이 더 나아가게 될 때, 비인성적 브라흐마죠띠 또는 바이꾼타 행성이나 끄리쉬나로까의 영적 세계에서 해방을 이룬다.

The beauty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however, is that by one stroke, by engaging in devotional service, one can surpass all the rituals of the different orders of life.

그러나 끄리쉬나 의식의 아름다움은 봉헌에 종사함으로써, 단번에 다른 여러 질서의 삶에서 해야 할 희생 절차를 모두 초월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The words idaṁ viditvā indicate that one should understand the instructions given by Śrī Kṛṣṇa in this chapter and the Seventh Chapter of Bhagavad-gītā. One should try to understand these chapters not by scholarship or mental speculation but by hearing them in association with devotees. Chapters Seven through Twelve are the essence of Bhagavad-gītā. The first six and the last six chapters are like coverings for the middle six chapters, which are especially protected by the Lord. If one is fortunate enough to understand Bhagavad-gītā – especially these middle six chapters – in the association of devotees, then his life at once becomes glorified beyond all penances, sacrifices, charities, speculations, etc., for one can achieve all the results of these activities simply by Kṛṣṇa consciousness.

이담 비디뜨바(idaṁ viditvā)라는 말은 바가바드 기따의 제7장과 이 장에서 스리 끄리쉬나께서 주신 지시 사항을 이해해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이러한 장들을 학문적으로나 정신적 사색이 아닌 헌애자들과의 교제를 통해 들어야만 한다. 제7장에서 제12장에 이르는 장들은 바가바드 기따의 핵심이다. 전반의 여섯 장과 후반의 여섯 장은 특별히 주의 보호를 받는 중반의 여섯 장을 위한 덮개와 같다. 우리가 헌애자와의 교제 속에서 바가바드 기따를, 특히 이 중반의 여섯 장을 다행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의 삶은 모든 고행, 제사, 자선, 사색 등을 넘어선 영예로운 삶이 되는데, 그 이유는 단지 끄리쉬나 의식으로만 이 모든 활동의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One who has a little faith in Bhagavad-gītā should learn Bhagavad-gītā from a devotee, because in the beginning of the Fourth Chapter it is stated clearly that Bhagavad-gītā can be understood only by devotees; no one else can perfectly understand the purpose of Bhagavad-gītā. One should therefore learn Bhagavad-gītā from a devotee of Kṛṣṇa, not from mental speculators. This is a sign of faith. When one searches for a devotee and fortunately gets a devotee’s association one actually begins to study and understand Bhagavad-gītā. By advancement in the association of the devotee one is placed in devotional service, and this service dispels all one’s misgivings about Kṛṣṇa, or God, and Kṛṣṇa’s activities, form, pastimes, name and other features. After these misgivings have been perfectly cleared away, one becomes fixed in one’s study. Then one relishes the study of Bhagavad-gītā and attains the state of feeling always Kṛṣṇa conscious. In the advanced stage, one falls completely in love with Kṛṣṇa. This highest perfectional stage of life enables the devotee to be transferred to Kṛṣṇa’s abode in the spiritual sky, Goloka Vṛndāvana, where the devotee becomes eternally happy.

바가바드 기따에 약간의 믿음이라도 있는 자는 헌애자에게서 기따를 배워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제4장의 서두에서  바가바드 기따는 오직 헌애자들에 의해서만 이해될 수 있으며, 그 누구도 바가바드 기따의 취지를 완벽히 이해할 수 없다고 분명히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정신적 사색가들이 아닌 끄리쉬나의 헌애자에게서 바가바드 기따를 배워야 한다. 이것은 믿음의 표시이다. 우리가 헌애자를 찾아서 마침내 그 헌애자와 교류하게 될 때, 실제로 바가바드 기따의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고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헌애자와의 교류 속에서 나아감으로써 봉헌을 하게 되고, 이러한 봉헌은 끄리쉬나, 즉 절대신과 끄리쉬나의 활약, 형상, 유희, 이름, 그리고 다른 특징들에 대한 의구심을 없애버린다. 이러한 의구심이 완전히 사라진 후에야 공부에 전념하게 된다. 그러면 바가바드 기따 공부를 만끽하고 항상 끄리쉬나 의식 상태에 있는 느낌을 얻는다. 진보한 단계에서 우리는 끄리쉬나와 완전한 사랑에 빠진다. 이러한 삶의 가장 높은 완성의 경지에 이르면 헌애자가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곳, 골로까 브린다반, 즉 영적 하늘에 있는 끄리쉬나의 보금자리로 갈 수 있게 된다.

Thus end the Bhaktivedanta Purports to the Eighth Chapter of the Śrīmad Bhagavad-gītā in the matter of Attaining the Supreme.

이로써 스리마드 바가바드 기따의 제8장, 절대자에게 이르기에 대한 박띠베단따 주석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