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

제2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अधियज्ञ: कथं कोऽत्र देहेऽस्मिन्मधुसूदन ।
प्रयाणकाले च कथं ज्ञेयोऽसि नियतात्मभि: ॥ २ ॥

Text

원문

adhiyajñaḥ kathaṁ ko ’tra
dehe ’smin madhusūdana
prayāṇa-kāle ca kathaṁ
jñeyo ’si niyatātmabhiḥ
아디야갸 까탐 꼬’뜨라 adhiyajñaḥ kathaṁ ko ’tra
데헤’스민 마두수다나 dehe ’smin madhusūdana
쁘라야나-깔레 짜 까탐 prayāṇa-kāle ca kathaṁ
계요’시 니야따뜨마비히 jñeyo ’si niyatātmabhiḥ

Synonyms

동의어

adhiyajñaḥ — the Lord of sacrifice; katham — how; kaḥ — who; atra — here; dehe — in the body; asmin — this; madhusūdana — O Madhusūdana; prayāṇa-kāle — at the time of death; ca — and; katham — how; jñeyaḥ asi — You can be known; niyata-ātmabhiḥ — by the self-controlled.

아디야갸하: 희생의 주인, 까탐: 어떻게, 까하: 누가, 아뜨라: 여기에, 데헤: 육체에, 아스민: 이것, 마두수다나: 오 마두수다나, 쁘라야나-깔레: 죽음의 순간에, 짜: 그리고, 까탐: 어떻게, 계야하 아시: 당신을 알 수 있는, 니야따-아뜨마비히: 자신을 통제함으로써.

Translation

번역

Who is the Lord of sacrifice, and how does He live in the body, O Madhusūdana? And how can those engaged in devotional service know You at the time of death?

누가 희생의 주인이며, 그는 어떠한 몸으로 살고 있습니까, 오 마두수다나? 그리고 봉헌에 종사하는 자들은 어떻게 죽음의 순간에 당신을 알 수 있습니까?

Purport

주석

“Lord of sacrifice” may refer to either Indra or Viṣṇu. Viṣṇu is the chief of the primal demigods, including Brahmā and Śiva, and Indra is the chief of the administrative demigods. Both Indra and Viṣṇu are worshiped by yajña performances. But here Arjuna asks who is actually the Lord of yajña (sacrifice) and how the Lord is residing within the body of the living entity.

“희생의 주인”이란 인드라나 비쉬누를 지칭할 수도 있다. 비쉬누는 브라흐마와 시바를 포함한 최초의 데바 수장이며, 인드라는 행정을 맡는 데바 중 수장이다. 인드라와 비쉬누 모두 야갸의 거행으로 숭배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아르주나는 누가 실제로 야갸(희생 혹은 제사)의 주인이며, 주께서 어떻게 생명체의 몸 안에 계시는지 묻고 있다.

Arjuna addresses the Lord as Madhusūdana because Kṛṣṇa once killed a demon named Madhu. Actually these questions, which are of the nature of doubts, should not have arisen in the mind of Arjuna, because Arjuna is a Kṛṣṇa conscious devotee. Therefore these doubts are like demons. Since Kṛṣṇa is so expert in killing demons, Arjuna here addresses Him as Madhusūdana so that Kṛṣṇa might kill the demonic doubts that arise in Arjuna’s mind.

아르주나는 주를 “마두수다나(Madhusūdana)”라고 부르고 있는데, 그것은 한때 끄리쉬나께서 마두라는 악마를 죽이셨기 때문이다. 아르주나는 끄리쉬나 의식의 헌애자이므로 사실 이러한 의문성 질문들은 아르주나의 마음에서 생기지 않았어야 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의심은 악마와 같다. 끄리쉬나는 악마를 처치하는 데 매우 능숙하시므로 여기에서 아르주나는 끄리쉬나께서 자기 마음에 생겨난 악마 같은 의심을 죽여 주시기를 바라며 그를 마두수다나라고 부르고 있다.

Now the word prayāṇa-kāle in this verse is very significant because whatever we do in life will be tested at the time of death. Arjuna is very anxious to know of those who are constantly engag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What should be their position at that final moment? At the time of death all the bodily functions are disrupted, and the mind is not in a proper condition. Thus disturbed by the bodily situation, one may not be able to remember the Supreme Lord. Mahārāja Kulaśekhara, a great devotee, prays, “My dear Lord, just now I am quite healthy, and it is better that I die immediately so that the swan of my mind can seek entrance at the stem of Your lotus feet.” The metaphor is used because the swan, a bird of the water, takes pleasure in digging into the lotus flowers; its sporting proclivity is to enter the lotus flower. Mahārāja Kulaśekhara says to the Lord, “Now my mind is undisturbed, and I am quite healthy. If I die immediately, thinking of Your lotus feet, then I am sure that my performance of Your devotional service will become perfect. But if I have to wait for my natural death, then I do not know what will happen, because at that time the bodily functions will be disrupted, my throat will be choked up, and I do not know whether I shall be able to chant Your name. Better let me die immediately.” Arjuna questions how a person can fix his mind on Kṛṣṇa’s lotus feet at such a time.

이제 “쁘라야나-깔레(prayāṇa-kāle)”라는 말이 이 절에서 아주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인생에서 우리가 무엇을 하든 죽음의 순간에 시험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르주나는 끄리쉬나 의식에 꾸준히 전념하는 사람들에 대해 무척 알고 싶어한다. 마지막 순간 그들은 어떠한 위치에 있을까? 죽음의 순간, 모든 신체적 기능은 정지되고, 마음은 올바른 상태에 있지 못하다. 따라서 육체적 상황이 우리가 지고한 주를 기억할 수 없게 방해할 수도 있다. 위대한 헌애자 꿀라세카라 왕(Mahārāja Kulaśekhara)은 이렇게 기도했다. “사랑하는 주님, 지금 저는 꽤 건강하니까 제 마음의 백조가 당신의 연꽃 같은 발의 줄기를 찾아 들어갈 수 있게 지금 당장 숨을 거두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물에 사는 새인 백조는 연꽃 밑으로 잠수해 들어가는 데 즐거움을 느끼기 때문에 이러한 은유가 사용되었다. 꿀라세카라 왕은 “이제 제 마음이 동요되지 않고 저는 꽤 건강합니다. 당신의 연꽃과 같은 발을 생각하며 지금 당장 죽으면 당신을 향한 저의 봉헌은 완벽해질 것입니다. 그러나 자연히 죽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면 제가 어떻게 될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때 신체 기능이 정지되어 제 목구멍이 막힐 것이고, 제가 당신의 이름을 구송할 수 있을지조차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저를 당장 죽게 해 주소서.” 아르주나는 이러한 때에 인간이 어떻게 자기 마음을 끄리쉬나의 연꽃 같은 발에 집중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