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11

제11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यदक्षरं वेदविदो वदन्ति
विशन्ति यद्यतयो वीतरागा: ।
यदिच्छन्तो ब्रह्मचर्यं चरन्ति
तत्ते पदं सङ्ग्रहेण प्रवक्ष्ये ॥ ११ ॥

Text

원문

yad akṣaraṁ veda-vido vadanti
viśanti yad yatayo vīta-rāgāḥ
yad icchanto brahma-caryaṁ caranti
tat te padaṁ saṅgraheṇa pravakṣye
야닥샤람 베다-비도 바단띠 yad akṣaraṁ veda-vido vadanti
비샨띠 얃 야따요 비따-라가하 viśanti yad yatayo vīta-rāgāḥ
야딧찬또 브라흐마짜럄 짜란띠 yad icchanto brahma-caryaṁ caranti
땃 떼 빠담 상그라헤나 쁘라박셰 tat te padaṁ saṅgraheṇa pravakṣye

Synonyms

동의어

yat — that which; akṣaram — syllable oṁ; veda-vidaḥ — persons conversant with the Vedas; vadanti — say; viśanti — enter; yat — in which; yatayaḥ — great sages; vīta-rāgāḥ — in the renounced order of life; yat — that which; icchantaḥ — desiring; brahma-caryam — celibacy; caranti — practice; tat — that; te — unto you; padam — situation; saṅgraheṇa — in summary; pravakṣye — I shall explain.

얏: 그것, 악샤람: 옴 음절, 베다-비다하: 베다에 능통한 사람들, 바단띠: 말하다, 비샨띠: 들어가다, 얏: 그것에, 야따야하: 위대한 성인들, 비따-라가하: 버리는 삶의 질서에, 얏: 그것, 잇찬따하: 바라는, 브라흐마짜럄: 독신생활, 짜란띠: 수행, 땃: 그것, 떼: 네게, 빠담: 상황, 상그라헤나: 요약해서, 쁘라박셰: 내가 설명할 것이다.

Translation

번역

Persons who are learned in the Vedas, who utter oṁ-kāra, and who are great sages in the renounced order enter into Brahman. Desiring such perfection, one practices celibacy. I shall now briefly explain to you this process by which one may attain salvation.

베다에 능통하고, 옴까라를 발성하고, 버리는 삶의 질서에 있는 위대한 성자들은 브라흐만 안에 들어가느니라. 사람들은 그러한 완성을 희망하며 독신 수행을 한다. 이제 내가 구원을 얻을 수 있는 이 과정을 네게 간략히 설명해 줄 것이다.

Purport

주석

Lord Śrī Kṛṣṇa has recommended to Arjuna the practice of ṣaṭ-cakra-yoga, in which one places the air of life between the eyebrows. Taking it for granted that Arjuna might not know how to practice ṣaṭ-cakra-yoga, the Lord explains the process in the following verses. The Lord says that Brahman, although one without a second, has various manifestations and features. Especially for the impersonalists, the akṣara, or oṁ-kāra – the syllable oṁ – is identical with Brahman. Kṛṣṇa here explains the impersonal Brahman, into which the renounced order of sages enter.

주 스리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삿 짜끄라 요가, 즉 생명의 기를 미간에 집중하는 수행을 권하셨다. 아르주나가 삿 짜끄라 요가의 수행법을 모르리라 여기시고, 다음 절에서 그 과정을 설명하신다. 브라흐만은 비록 둘이 아닌 하나일지라도, 여러 모습과 특징을 갖고 있다고 주께서 말씀하신다. 특히 비인성주의자에게 악샤라(akṣara), 즉 옴까라(oṁ-kāra 음절 옴)는 브라흐만과 동일하다. 여기에서 끄리쉬나께서 버리는 삶을 사는 성자들이 들어가는 비인성적 브라흐만을 설명하신다.

In the Vedic system of knowledge, students, from the very beginning, are taught to vibrate oṁ and learn of the ultimate impersonal Brahman by living with the spiritual master in complete celibacy. In this way they realize two of Brahman’s features. This practice is very essential for the student’s advancement in spiritual life, but at the moment such brahmacārī (unmarried celibate) life is not at all possible.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world has changed so much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one’s practicing celibacy from the beginning of student life. Throughout the world there are many institutions for different departments of knowledge, but there is no recognized institution where students can be educated in the brahmacārī principles. Unless one practices celibacy, advancement in spiritual life is very difficult. Therefore Lord Caitanya has announced, according to the scriptural injunctions for this Age of Kali, that in this age no process of realizing the Supreme is possible except the chanting of the holy names of Lord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베다의 지식 체계에서, 학생들은 아주 처음부터 옴(oṁ)을 소리 내는 법을 배우고, 스승과 살며 완전한 독신생활 속에서 궁극의 비인성적 브라흐만을 배운다. 이렇게 그들은 브라흐만의 두 가지 특징을 깨닫게 된다. 이 수행은 학생들의 영적 삶을 고양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현재에 그러한 브라흐마짜리(brahmacārī 결혼하지 않는 금욕 수행자)의 삶은 완전히 불가능하다. 세상의 사회 구조가 너무나 변해서 학생 생활의 초기부터 독신 수행을 계속해 나가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전 세계에 여러 분야의 지식을 위한 많은 기관이 있지만, 학생들이 브라흐마짜리 원칙을 제대로 배울 수 있는 공인된 기관은 없다. 독신 수행을 하지 않는 한, 영적 생활의 진보는 대단히 어렵다. 그러므로 주 짜이따냐께서 공표하시기를, 이 깔리의 시대를 위한 경전적 지시 사항에 따르면, 이 시대에는 주 끄리쉬나의 신성한 이름들,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를 구송하는 것 외에는 절대자를 깨달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