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10

제10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प्रयाणकाले मनसाचलेन
भक्त्य‍ा युक्तो योगबलेन चैव ।
भ्रुवोर्मध्ये प्राणमावेश्य सम्य-
क्स तं परं पुरुषमुपैति दिव्यम् ॥ १० ॥

Text

원문

prayāṇa-kāle manasācalena
bhaktyā yukto yoga-balena caiva
bhruvor madhye prāṇam āveśya samyak
sa taṁ paraṁ puruṣam upaiti divyam
쁘라야나-깔레 마나사짤레나 prayāṇa-kāle manasācalena
박땨 육또 요가-발레나 짜이바 bhaktyā yukto yoga-balena caiva
브루보르 마뎨 쁘라남 아베샤 삼약 bhruvor madhye prāṇam āveśya samyak
사 땀 빠람 뿌루샴 우빠이띠 디뱜 sa taṁ paraṁ puruṣam upaiti divyam

Synonyms

동의어

prayāṇa-kāle — at the time of death; manasā — by the mind; acalena — without its being deviated; bhaktyā — in full devotion; yuktaḥ — engaged; yoga-balena — by the power of mystic yoga; ca — also; eva — certainly; bhruvoḥ — the two eyebrows; madhye — between; prāṇam — the life air; āveśya — establishing; samyak — completely; saḥ — he; tam — that; param — transcendental; puruṣam — Personality of Godhead; upaiti — achieves; divyam — in the spiritual kingdom.

쁘라야나-깔레: 죽음의 순간에, 마나사: 마음으로, 아짤레나: 벗어남 없이, 박땨: 완전한 봉헌으로, 육따하: 몰두하는, 요가-발레나: 신비한 요가의 힘으로, 짜: 또한, 에바: 분명히, 브루보호: 미간(眉間)에, 마뎨: 사이, 쁘라남: 생명의 기, 아베샤: 확립하는, 삼약: 완전히, 사하: 그는, 땀: 그것, 빠람: 초월적, 뿌루샴: 인격신, 우빠이띠: 달성하다, 디뱜: 영적 왕국에.

Translation

번역

One who, at the time of death, fixes his life air between the eyebrows and, by the strength of yoga, with an undeviating mind, engages himself in remembering the Supreme Lord in full devotion, will certainly attain to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요가의 힘과 흔들리지 않는 마음으로, 죽음의 순간에 생명의 기를 미간에 집중하고, 완전한 헌애심으로 지고한 주를 기억하는 데 전념하는 자는 분명 최고인격신에 이를 것이다.

Purport

주석

In this verse it is clearly stated that at the time of death the mind must be fixed in devotion to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For those practiced in yoga, it is recommended that they raise the life force between the eyebrows (to the ājñā-cakra). The practice of ṣaṭ-cakra-yoga, involving meditation on the six cakras, is suggested here. A pure devotee does not practice such yoga, but because he is always engaged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t death he can remember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by His grace. This is explained in verse 14.

이 절에서 죽음의 순간에 마음을 최고인격신을 향한 헌애심으로 집중해야 한다고 명백히 말하고 있다. 요가를 수행하는 자들은 미간(아갸 짜끄라 ājñā-cakra)에 생명의 기를 끌어올려야 한다고 권고된다. 여섯 짜끄라를 포함한 삿 짜끄라 요가(ṣaṭ-cakra-yoga) 수행이 여기에 제시되었다. 순수한 헌애자는 항상 끄리쉬나 의식이어서 이러한 요가를 수행하지 않아도 주의 은총으로 최고인격신을 죽음의 순간에 기억할 수 있다. 제14절에서 이것이 설명될 것이다.

The particular use of the word yoga-balena is significant in this verse because without practice of yoga – whether ṣaṭ-cakra-yoga or bhakti-yoga – one cannot come to this transcendental state of being at the time of death. One cannot suddenly remember the Supreme Lord at death; one must have practiced some yoga system, especially the system of bhakti-yoga. Since one’s mind at death is very disturbed, one should practice transcendence through yoga during one’s life.

특히 요가 발레나(yoga-balena)라는 말이 사용된 것이 이 절에서 중요한데, 그 이유는 삿 짜끄라 요가든 박띠 요가든 요가 수행 없이 죽음의 순간에 우리는 이러한 초월적 상태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고한 주를 죽음의 순간에 갑자기 기억할 수 없다. 기억하려면 어떠한 요가 체계, 특히 박띠요가 수행을 했어야 했다. 죽음의 순간, 마음은 아주 어지럽기 때문에 삶을 사는 동안 요가를 통해 초월성을 연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