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35

제35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श्रीभगवानुवाच
असंशयं महाबाहो मनो दुर्निग्रहं चलम् ।
अभ्यासेन तु कौन्तेय वैराग्येण च गृह्यते ॥ ३५ ॥

Text

원문

śrī-bhagavān uvāca
asaṁśayaṁ mahā-bāho
mano durnigrahaṁ calam
abhyāsena tu kaunteya
vairāgyeṇa ca gṛhyate
스리-바가반 우바짜 śrī-bhagavān uvāca
아삼샤얌 마하-바호 asaṁśayaṁ ma hā-bāho
마노 두니그라함 짤람 mano durnigrahaṁ calam
아뱌세나 뚜 까운떼야 abhyāsena tu kaunteya
바이라계나 짜 그리햐떼 vairāgyeṇa ca gṛhyate

Synonyms

동의어

śrī-bhagavān uvāca — the Personality of Godhead said; asaṁśayam — undoubtedly; mahā-bāho — O mighty-armed one; manaḥ — the mind; durnigraham — difficult to curb; calam — flickering; abhyāsena — by practice; tu — but; kaunteya — O son of Kuntī; vairāgyeṇa — by detachment; ca — also; gṛhyate — can be so controlled.

스리-바가반 우바짜: 인격신께서 말씀하셨다, 아삼샤얌: 의심의 여지 없이, 마하-바호: 오 강력히 무장한 자여, 마나하: 마음, 두니그라함: 통제하기 어려운, 짤람: 나부끼는, 아뱌세나: 수행으로, 뚜: 그러나, 까운떼야: 오 꾼띠의 아들이여, 바이라계나: 초연함으로, 짜: 또한, 그리햐떼: 그렇게 통제될 수 있다.

Translation

번역

Lord Śrī Kṛṣṇa said: O mighty-armed son of Kuntī, it is undoubtedly very difficult to curb the restless mind, but it is possible by suitable practice and by detachment.

주 스리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오 강력히 무장한 꾼띠의 아들이여, 쉬지 않는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의심의 여지 없이 몹시 어렵지만, 올바른 수행과 초연함으로 다스릴 수 있느니라.

Purport

주석

The difficulty of controlling the obstinate mind, as expressed by Arjuna, is accepted by the Personality of Godhead. But at the same time He suggests that by practice and detachment it is possible. What is that practice? In the present age no one can observe the strict rules and regulations of placing oneself in a sacred place, focusing the mind on the Supersoul, restraining the senses and mind, observing celibacy, remaining alone, etc. By the practice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however, one engages in nine types of devotional service to the Lord. The first and foremost of such devotional engagements is hearing about Kṛṣṇa. This is a very powerful transcendental method for purging the mind of all misgivings. The more one hears about Kṛṣṇa, the more one becomes enlightened and detached from everything that draws the mind away from Kṛṣṇa. By detaching the mind from activities not devoted to the Lord, one can very easily learn vairāgya. Vairāgya means detachment from matter and engagement of the mind in spirit. Impersonal spiritual detachment is more difficult than attaching the mind to the activities of Kṛṣṇa. This is practical because by hearing about Kṛṣṇa one becomes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Supreme Spirit. This attachment is called pareśānubhava, spiritual satisfaction. It is just like the feeling of satisfaction a hungry man has for every morsel of food he eats. The more one eats while hungry, the more one feels satisfaction and strength. Similarly, by discharge of devotional service one feels transcendental satisfaction as the mind becomes detached from material objectives. It is something like curing a disease by expert treatment and appropriate diet. Hearing of the transcendental activities of Lord Kṛṣṇa is therefore expert treatment for the mad mind, and eating the foodstuff offered to Kṛṣṇa is the appropriate diet for the suffering patient. This treatment is the process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아르주나가 표현한 대로, 집요한 마음을 통제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최고인격신께서 인정하신다. 그러나 동시에 수행과 초연함으로써 이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계신다. 이 수행이란 무엇인가? 이 시대에 그 누구도 외딴곳에 은거하며 마음을 초영혼에 집중하고, 감각과 마음을 억제하며 성생활 없이 혼자 사는 등의 엄격한 규칙과 규정을 지키기란 어렵다. 그러나 끄리쉬나 의식으로 주를 향한 아홉 종류의 봉헌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봉헌 가운데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끄리쉬나에 관해 듣는 것이다. 이것은 마음에서 모든 불안을 씻어 내는 아주 강력하고 초월적인 방법이다. 끄리쉬나에 관해 더 많이 들을수록 더 많이 깨어나고, 마음을 끄리쉬나에게서 멀어지게 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초연하게 된다. 마음을 주를 위하지 않은 행위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아주 쉽게 바이라갸(Vairāgya)를 배울 수 있다. 바이라갸란 물질적인 것에 벗어나서 마음을 영적인 활동에 집중하는 것을 말한다. 비인성적인 영적 초연함을 달성하는 것은 끄리쉬나를 위한 행위에 마음을 몰두하기보다 더 어렵다. 실제로 끄리쉬나에 관해 들음으로써 저절로 지고한 영혼에 애착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애착을 빠레샤누바바(pareśānubhava), 즉 영적 만족감이라고 한다. 이것은 마치 배고픈 자가 밥 한술 떠먹을 때마다 느끼는 만족감과 같다. 배고픈 와중에 밥을 한술 한술 더 먹을수록 더 큰 만족감과 힘을 더 얻게 된다. 이처럼 봉헌을 수행함에 따라 마음이 물질적 대상에서 멀어져 초월적 만족감을 느끼게 된다. 이것은 고도의 치료술과 적절한 식이요법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것에도 비유된다. 주 끄리쉬나의 초월적 행위에 관해 듣는 것은 미친 마음을 위한 고도의 치료술이며, 끄리쉬나께 바친 음식을 먹는 것은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한 올바른 식이요법이다. 이러한 치료가 끄리쉬나 의식의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