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17

제17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युक्ताहारविहारस्य युक्तचेष्टस्य कर्मसु ।
युक्तस्वप्‍नावबोधस्य योगो भवति दु:खहा ॥ १७ ॥

Text

원문

yuktāhāra-vihārasya
yukta-ceṣṭasya karmasu
yukta-svapnāvabodhasya
yogo bhavati duḥkha-hā
육따하라-비하라샤 yuktāhāra-vihārasya
육따-쩨쉬따샤 까르마수 yukta-ceṣṭasya karmasu
육따-스바쁘나바보다샤 yukta-svapnāvabodhasya
요고 바바띠 두카-하 yogo bhavati duḥkha-hā

Synonyms

동의어

yukta — regulated; āhāra — eating; vihārasya — recreation; yukta — regulated; ceṣṭasya — of one who works for maintenance; karmasu — in discharging duties; yukta — regulated; svapna-avabodhasya — sleep and wakefulness; yogaḥ — practice of yoga; bhavati — becomes; duḥkha- — diminishing pains.

육따: 규칙적인, 아하라: 먹다, 비하라샤: 오락, 육따: 먹다, 쩨쉬따샤: 생계를 위해 일하는 자의, 까르마수: 의무를 수행함에 있어, 육따: 규칙적인, 스바쁘나-아바보다샤: 잠과 깨어남, 요가하: 요가 수행, 바바띠: 되다, 두카-하: 고통을 덜다.

Translation

번역

He who is regulated in his habits of eating, sleeping, recreation and work can mitigate all material pains by practicing the yoga system.

먹고, 자고, 쉬고, 일하는 습관을 규제한 자는 요가 체계를 실천함으로써 모든 물질적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Purport

주석

Extravagance in the matter of eating, sleeping, defending and mating – which are demands of the body – can block advancement in the practice of yoga. As far as eating is concerned, it can be regulated only when one is practiced to take and accept prasādam, sanctified food. Lord Kṛṣṇa is offered, according to the Bhagavad-gītā (9.26), vegetables, flowers, fruits, grains, milk, etc. In this way, a person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becomes automatically trained not to accept food not meant for human consumption, or not in the category of goodness. As far as sleeping is concerned, a Kṛṣṇa conscious person is always alert in the discharge of his duties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therefore any unnecessary time spent sleeping is considered a great loss. Avyartha-kālatvam: a Kṛṣṇa conscious person cannot bear to pass a minute of his life without being engaged in the service of the Lord. Therefore, his sleeping is kept to a minimum. His ideal in this respect is Śrīla Rūpa Gosvāmī, who was always engaged in the service of Kṛṣṇa and who could not sleep more than two hours a day, and sometimes not even that. Ṭhākura Haridāsa would not even accept prasādam nor even sleep for a moment without finishing his daily routine of chanting with his beads three hundred thousand names. As far as work is concerned, a Kṛṣṇa conscious person does not do anything which is not connected with Kṛṣṇa’s interest, and thus his work is always regulated and is untainted by sense gratification. Since there is no question of sense gratification, there is no material leisure for a person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because he is regulated in all his work, speech, sleep, wakefulness and all other bodily activities, there is no material misery for him.

육체의 요구 사항인 먹고, 자고, 방어하고, 성교하는 것을 지나치게 하면 요가 수행의 진보를 가로막는다. 먹는 데 관해 보면, 신성한 음식인 쁘라사담(prasādam)만을 먹는 습관을 들일 때 규제가 가능하다. 바가바드 기따(9.26)에 따르면 채소, 꽃, 과일, 곡식, 우유 등을 끄리쉬나께 바칠 수 있다.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은 인간을 위한 음식이 아닌 것, 즉 선성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저절로 먹지 않게 훈련된다. 잠에 관해서 보자면,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은 끄리쉬나 의식의 의무를 수행하는 데 항상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잠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을 큰 손실로 여긴다. 아뱌르타 깔라뜨밤(Avyartha-kālatvam).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은 인생의 단 일 분조차 주를 위한 봉사가 아닌 것에 낭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는 잠을 최소화한다. 이 점에서 이상적인 분은 스릴라 루빠 고스와미인데, 그는 항상 끄리쉬나를 위한 봉사에 종사하여 하루 두 시간 이상은 주무시지 않았으며, 때때로 그것 또한 마다하셨다. 타꾸라 하리 다사(Ṭhākura Haridāsa)께서는 매일 삼십만 번의 구송을 마치지 않으면 쁘라사담을 드시지 않았음은 물론, 잠시도 주무시지 않았다. 일에 관해서 보자면,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은 끄리쉬나에 관련되지 않는 것은 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일은 항상 규칙적이며 감각 만족에 더럽혀지지 않는다. 감각 만족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은 물질적 여가를 즐기지 않는다. 그리고 그는 모든 일과 말, 잠과 깸, 그리고 다른 육체적 행위에 규칙적이므로 어떠한 물질적 고통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