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4

제4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सां‍ख्ययोगौ पृथग्बाला: प्रवदन्ति न पण्डिता: ।
एकमप्यास्थित: सम्यगुभयोर्विन्दते फलम् ॥ ४ ॥

Text

원문

sāṅkhya-yogau pṛthag bālāḥ
pravadanti na paṇḍitāḥ
ekam apy āsthitaḥ samyag
ubhayor vindate phalam
상캬-요가우 쁘리탁 발라하 sāṅkhya-yogau pṛthag bālāḥ
쁘라바단띠 나 빤디따하 pravadanti na paṇḍitāḥ
에깜 아뺘스티따 삼약 ekam apy āsthitaḥ samyag
우바요르 빈다떼 팔람 ubhayor vindate phalam

Synonyms

동의어

sāṅkhya — analytical study of the material world; yogau — work in devotional service; pṛthak — different; bālāḥ — the less intelligent; pravadanti — say; na — never; paṇḍitāḥ — the learned; ekam — in one; api — even; āsthitaḥ — being situated; samyak — complete; ubhayoḥ — of both; vindate — enjoys; phalam — the result.

상캬: 물질계에 대한 분석적 연구, 요가우: 봉헌으로 하는 일, 쁘리탁: 다른, 발라하: 덜 현명한, 쁘라바단띠: 말하다: 나: 결코, 빤디따하: 배운 자들, 에깜: 하나에, 아삐: 심지어, 아스티따하: 위치한, 삼약: 완전한, 우바요호: 둘 다, 빈다떼: 즐기다, 팔람: 결과.

Translation

번역

Only the ignorant speak of devotional service [karma-yoga] as being different from the analytical study of the material world [Sāṅkhya]. Those who are actually learned say that he who applies himself well to one of these paths achieves the results of both.

오직 무지한 자들만이 봉헌(까르마 요가)과 물질계에 관한 분석적 학습(상캬)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하느니라. 진정 배운 자들은 이 두 가지 길 중 하나를 잘 적용해 두 가지 결과를 전부 얻느니라.

Purport

주석

The aim of the analytical study of the material world is to find the soul of existence. The soul of the material world is Viṣṇu, or the Supersoul. Devotional service to the Lord entails service to the Supersoul. One process is to find the root of the tree, and the other is to water the root. The real student of Sāṅkhya philosophy finds the root of the material world, Viṣṇu, and then, in perfect knowledge, engages himself in the service of the Lord. Therefore, in essenc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because the aim of both is Viṣṇu. Those who do not know the ultimate end say that the purposes of Sāṅkhya and karma-yoga are not the same, but one who is learned knows the unifying aim in these different processes.

물질계에 대한 분석적 학습의 목적은 영혼의 존재를 찾는 것이다. 물질계의 영혼은 비쉬누, 즉 초영혼이다. 주를 향한 봉헌은 초영혼에의 봉사를 수반한다. 한 과정은 나무의 뿌리를 찾는 것이고, 다른 과정은 그 뿌리에 물을 주는 것이다. 상캬 철학을 공부하는 진정한 학생은 물질계의 뿌리인 비쉬누를 찾은 다음, 완벽한 지식으로 주를 위한 봉사에 종사한다. 따라서 두 학파 모두 그 목적이 비쉬누이므로 본질에서는 차이가 없다. 궁극적 목적을 모르면 상캬와 까르마 요가의 목적이 다르다고 말하지만, 진정으로 배운 자는 이 두 가지 다른 길의 통합된 목적을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