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3

제3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ज्ञेय: स नित्यसन्न्यासी यो न द्वेष्टि न काङ्‍क्षति ।
निर्द्वन्द्वो हि महाबाहो सुखं बन्धात्प्रमुच्यते ॥ ३ ॥

Text

원문

jñeyaḥ sa nitya-sannyāsī
yo na dveṣṭi na kāṅkṣati
nirdvandvo hi mahā-bāho
sukhaṁ bandhāt pramucyate
계야 사 니땨-산냐시 jñeyaḥ sa nitya-sannyāsī
요 나 드베쉬띠 나 깡샤띠 yo na dveṣṭi na kāṅkṣati
니르드반드보 히 마하-바호 nirdvandvo hi mahā-bāho
수캄 반닷 쁘람우쨔떼 sukhaṁ bandhāt pramucyate

Synonyms

동의어

jñeyaḥ — should be known; saḥ — he; nitya — always; sannyāsī — renouncer; yaḥ — who; na — never; dveṣṭi — abhors; na — nor; kāṅkṣati — desires; nirdvandvaḥ — free from all dualities; hi — certainly; mahā-bāho — O mighty-armed one; sukham — happily; bandhāt — from bondage; pramucyate — is completely liberated.

계야하: 알려져야 한다, 사하: 그는, 니땨: 항상, 산냐시: 버리는 자, 야하: 하는 자, 나: 결코, 드베쉬띠: 혐오하다, 나: 또한 아니다, 깡샤띠: 바라다, 니르드반드바하: 모든 양면성에서 벗어난, 히: 확실히, 마하-바호: 오 강력히 무장한 자여, 수캄: 행복하게, 반닷: 속박에서, 쁘람우쨔떼: 완전히 해방된.

Translation

번역

One who neither hates nor desires the fruits of his activities is known to be always renounced. Such a person, free from all dualities, easily overcomes material bondage and is completely liberated, O mighty-armed Arjuna.

자기 행위의 결과를 바라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자는 항상 버리는 자이다. 이렇게 모든 이원성에서 벗어나면 물질적 속박을 쉽게 극복하고 완전한 해방을 이루게 되느니라, 오 강력히 무장한 자여.

Purport

주석

One who is fully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is always a renouncer because he feels neither hatred nor desire for the results of his actions. Such a renouncer, dedicated to the transcendental loving service of the Lord, is fully qualified in knowledge because he knows his constitutional position in his relationship with Kṛṣṇa. He knows fully well that Kṛṣṇa is the whole and that he is part and parcel of Kṛṣṇa. Such knowledge is perfect because it i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correct. The concept of oneness with Kṛṣṇa is incorrect because the part cannot be equal to the whole. Knowledge that one is one in quality yet different in quantity is correct transcendental knowledge leading one to become full in himself, having nothing to aspire to or lament over. There is no duality in his mind because whatever he does, he does for Kṛṣṇa. Being thus freed from the platform of dualities, he is liberated – even in this material world.

끄리쉬나 의식에 몰입한 사람은 자기 행위의 결과를 바라지도, 증오하지도 하지 않아 항상 초연하다. 주를 향한 초월적 사랑의 봉사에 헌신하는 그런 초연한 자는 끄리쉬나와 관계한 자신의 근원적 위치를 알기에 완벽한 지식을 갖추고 있다. 그는 끄리쉬나가 전부이며, 자기는 끄리쉬나의 일부라는 사실을 완벽히 안다. 그러한 지식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정확하므로 완벽하다. 부분이 전체와 똑같을 수 없기 때문에 끄리쉬나와 하나라는 개념은 부정확하다. 우리가 끄리쉬나와 질적으로는 같지만 양적으로는 다르다는 지식이 올바른 초월적 지식이며, 우리를 내면에서 충만케 하여 더는 바라지도, 한탄하지도 않게 된다. 무엇을 하든 끄리쉬나를 위해 하는 자의 마음에는 이원성이라는 것이 없다. 따라서 이원성의 틀에서 벗어나 심지어 이 물질계 내에서도 해방을 이루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