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18

제18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विद्याविनयसम्पन्ने ब्राह्मणे गवि हस्तिनि ।
श‍ुनि चैव श्वपाके च पण्डिता: समदर्शिन: ॥ १८ ॥

Text

원문

vidyā-vinaya-sampanne
brāhmaṇe gavi hastini
śuni caiva śva-pāke ca
paṇḍitāḥ sama-darśinaḥ
비댜-비나야-삼빤네 vidyā-vinaya-sampanne
브라흐마네 가비 하스띠니 brāhmaṇe gavi hastini
수니 짜이바 스바-빠께 짜 śuni caiva śva-pāke ca
빤디따하 사마-다르시나하 paṇḍitāḥ sama-darśinaḥ

Synonyms

동의어

vidyā — with education; vinaya — and gentleness; sampanne — fully equipped; brāhmaṇe — in the brāhmaṇa; gavi — in the cow; hastini — in the elephant; śuni — in the dog; ca — and; eva — certainly; śva-pāke — in the dog-eater (the outcaste); ca — respectively; paṇḍitāḥ — those who are wise; sama-darśinaḥ — who see with equal vision.

비댜: 교육으로, 비나야: 그리고 온화함, 삼빤네: 완전히 갖춘, 브라흐마네: 브라흐마나, 가비: 소, 하스띠니: 코끼리, 수니: 개, 짜: 그리고, 에바: 분명히, 스바-빠께: 개를 먹는 자(카스트 밖의 사람들), 짜: 각각, 빤디따하: 현명한 자들, 사마-다르시나하: 똑같은 눈으로 보는.

Translation

번역

The humble sages, by virtue of true knowledge, see with equal vision a learned and gentle brāhmaṇa, a cow, an elephant, a dog and a dog-eater [outcaste].

겸허한 성인들은 진정한 지식의 힘으로 학식과 교양이 있는 브라흐마나, 소, 코끼리, 개, 그리고 개를 먹는 자(카스트 밖의 사람)를 차별 없이 같은 눈으로 보느니라.

Purport

주석

A Kṛṣṇa conscious person does not make any distinction between species or castes. The brāhmaṇa and the outcaste may be different from the social point of view, or a dog, a cow and an elephant may be differ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species, but these differences of body are meaningless from the viewpoint of a learned transcendentalist. This is due to their relationship to the Supreme, for the Supreme Lord, by His plenary portion as Paramātmā, is present in everyone’s heart. Such an understanding of the Supreme is real knowledge. As far as the bodies are concerned in different castes or different species of life, the Lord is equally kind to everyone because He treats every living being as a friend yet maintains Himself as Paramātmā regardless of the circumstances of the living entities. The Lord as Paramātmā is present both in the outcaste and in the brāhmaṇa, although the body of a brāhmaṇa and that of an outcaste are not the same. The bodies are material productions of different modes of material nature, but the soul and the Supersoul within the body are of the same spiritual quality. The similarity in the quality of the soul and the Supersoul, however, does not make them equal in quantity, for the individual soul is present only in that particular body whereas the Paramātmā is present in each and every body. A Kṛṣṇa conscious person has full knowledge of this, and therefore he is truly learned and has equal vision.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the soul and Supersoul are that they are both conscious, eternal and blissful.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individual soul is conscious within the limited jurisdiction of the body whereas the Supersoul is conscious of all bodies. The Supersoul is present in all bodies without distinction.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종(種)과 계층을 차별하지 않는다. 사회적 관점에서 보면 브라흐마나와 카스트 밖의 사람은 서로 다르고, 종의 관점에서 개, 소, 코끼리가 서로 다르겠지만, 학식 있는 초월주의자의 관점에서 보면 육신의 이러한 차이는 아무 의미가 없다. 이러한 시각은 절대자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지고한 주는 당신의 완전한 부분인 빠람아뜨마로서 모든 생명체의 가슴속에 계시기 때문이다. 절대자에 관한 이러한 이해가 바로 진정한 지식이다. 주께서는 생명체가 처한 특정한 상황과 관계없이 모든 생명체를 친구로 대함과 동시에 항상 빠람아뜨마로 계시므로 여러 계층과 여러 종의 삶 속에 있는 육신 모두에게 공평하시다. 브라흐마나의 몸과 카스트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의 몸은 다르지만, 빠람아뜨마로서의 주께서는 그들 모두 안에 계신다. 육신은 물질적 본성의 서로 다른 양태에서 비롯된 산물이지만, 육신 안에 있는 영혼과 초영혼은 영적으로 같다. 그러나 개별 영혼은 특정 육체에만 존재하는 반면, 빠람아뜨마는 모든 육체에 존재하므로 영혼과 초영혼의 성질이 같다고 해서 그들이 양적으로 같은 것은 아니다.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이것을 잘 알기에 진정으로 학식 있고, 평등한 시각을 갖고 있다. 영혼과 초영혼의 유사한 특징은 이 둘 다 의식이 있으며, 영원하고 축복으로 가득하다. 그러나 차이점은 개별 영혼은 특정 육신의 한정된 지배권 내에서만 의식하지만 초영혼은 모든 육신에 대해 의식한다. 초영혼은 어떠한 구분 없이 모든 육신에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