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9

제29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अपाने जुह्वति प्राणं प्राणेऽपानं तथापरे ।
प्राणापानगती रुद्ध्वा प्राणायामपरायणाः ।
अपरे नियताहाराः प्राणान्प्राणेषु जुह्वति ॥ २९ ॥

Text

원문

apāne juhvati prāṇaṁ
prāṇe ’pānaṁ tathāpare
prāṇāpāna-gatī ruddhvā
prāṇāyāma-parāyaṇāḥ
apare niyatāhārāḥ
prāṇān prāṇeṣu juhvati
아빠네 주흐바띠 쁘라남 apāne juhvati prāṇaṁ
쁘라네’빠남 따타빠레 prāṇe ’pānaṁ tathāpare
쁘라나빠나-가띠 룯드바 prāṇāpāna-gatī ruddhvā
쁘라나야마-빠라야나하 prāṇāyāma-parāyaṇāḥ
아빠레 니야따하라하 apare niyatāhārāḥ
쁘라난 쁘라네슈 주흐바띠 prāṇān prāṇeṣu juhvati

Synonyms

동의어

apāne — in the air which acts downward; juhvati — offer; prāṇam — the air which acts outward; prāṇe — in the air going outward; apānam — the air going downward; tathā — as also; apare — others; prāṇa — of the air going outward; apāna — and the air going downward; gatī — the movement; ruddhvā — checking; prāṇa-āyāma — trance induced by stopping all breathing; parāyaṇāḥ — so inclined; apare — others; niyata — having controlled; āhārāḥ — eating; prāṇān — the outgoing air; prāṇeṣu — in the outgoing air; juhvati — sacrifice.

아빠네: 아래로 향하는 기 속에, 주흐바띠: 바치다, 쁘라남: 밖으로 나가는 공기(날숨), 쁘라네: 날숨 속에, 아빠남: 아래로 향하는 기, 따타: 또한, 아빠레: 다른 사람들, 쁘라나: 날숨의, 아빠나: 그리고 아래로 향하는 기, 가띠: 움직임, 룯드바: 통제하는, 쁘라나-아야마: 호흡을 완전히 멈추는데서 오는 황홀경, 빠라야나하: 그러한 경향을 가진, 아빠레: 다른 사람들, 니야따: 다스린, 아하라하: 먹는 것, 쁘라난: 날숨, 쁘라네슈: 날숨 속에, 주흐바띠: 희생.

Translation

번역

Still others, who are inclined to the process of breath restraint to remain in trance, practice by offering the movement of the outgoing breath into the incoming, and the incoming breath into the outgoing, and thus at last remain in trance, stopping all breathing. Others, curtailing the eating process, offer the outgoing breath into itself as a sacrifice.

삼매경에 들고자 호흡 조절 과정에 끌리는 자들은 날숨을 들숨 속에, 들숨을 날숨 속에 넣는 연습을 하고, 결국 삼매경에 들게 되면 모든 호흡을 멈춘다. 또 어떤 사람들은 음식 섭취를 줄임으로써 날숨 그 자체를 제사로 바치느니라.

Purport

주석

This system of yoga for controlling the breathing process is called prāṇāyāma, and in the beginning it is practiced in the haṭha-yoga system through different sitting postures. All of these processes are recommended for controlling the senses and for advancement in spiritual realization. This practice involves controlling the airs within the body so as to reverse the directions of their passage. The apāna air goes downward, and the prāṇa air goes up. The prāṇāyāma-yogī practices breathing the opposite way until the currents are neutralized into pūraka, equilibrium. Offering the exhaled breath into the inhaled breath is called recaka. When both air currents are completely stopped, one is said to be in kumbhaka-yoga. By practice of kumbhaka-yoga, one can increase the duration of life for perfection in spiritual realization. The intelligent yogī is interested in attaining perfection in one life, without waiting for the next. For by practicing kumbhaka-yoga, the yogīs increase the duration of life by many, many years. A Kṛṣṇa conscious person, however, being always situated in the transcendental loving service of the Lord, automatically becomes the controller of the senses. His senses, being always engaged in the service of Kṛṣṇa, have no chance of becoming otherwise engaged. So at the end of life, he is naturally transferred to the transcendental plane of Lord Kṛṣṇa; consequently he makes no attempt to increase his longevity. He is at once raised to the platform of liberation, as stated in Bhagavad-gītā (14.26):

호흡을 다스리는 이 요가 체계를 쁘라나야마(prāṇāyāma)라고 하며, 첫 단계에서는 여러 앉는 자세를 통해 하타 요가를 연습한다. 이 모든 절차는 감각을 통제하고 영적 깨달음의 향상을 위해 권장된다. 이 연습은 신체 내 기가 흐르는 방향을 전환하고자 기를 다스리는 것을 포함한다. 아빠나(apāna) 기는 아래로 흘러가고, 쁘라나(prāṇa) 기는 위로 흐른다. 쁘라나야마 수행자들은 호흡의 흐름이 뿌라까(pūraka), 즉 평정을 이루어 중화될 때까지 반대 방향으로 호흡하는 연습을 한다. 날숨을 들숨으로 전환하는 것을 레짜까(recaka)라고 한다. 두 가지 호흡의 흐름이 완전히 중단되었을 때, 꿈바까 요가(kumbhaka-yoga)에 들어갔다고 한다. 꿈바까 요가 수행으로 영적 깨달음의 완성을 위한 생명 기간을 늘릴 수 있다. 지혜로운 수행자는 다음 생까지 기다리지 않고 한 생을 통해 완성의 경지에 오르고자 한다. 그러나 주를 향한 초월적 사랑의 봉사에 항상 종사하는 끄리쉬나 의식의 사람은 저절로 감각을 다스리는 자가 된다. 늘 끄리쉬나를 위한 봉사에 종사하므로 그의 감각은 다른 데 쓸 겨를이 없다. 따라서 삶의 마지막에 당연히 주 끄리쉬나의 초월적 영토로 들어가기에 그는 수명 연장을 위한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는다. 바가바드 기따(14.26)가 명시하듯, 그는 즉시 해방의 경지에 오르게 된다.

māṁ ca yo ’vyabhicāreṇa
bhakti-yogena sevate
sa guṇān samatītyaitān
brahma-bhūyāya kalpate
맘 짜 요’뱌비짜레나 māṁ ca yo ’vyabhicāreṇa
박띠-요게나 세바떼 bhakti-yogena sevate
사 구난 사마띠땨이딴 sa guṇān samatītyaitān
브라흐마-부야야 깔빠떼 brahma-bhūyāya kalpate

“One who engages in unalloyed devotional service to the Lord transcends the modes of material nature and is immediately elevated to the spiritual platform.” A Kṛṣṇa conscious person begins from the transcendental stage, and he is constantly in that consciousness. Therefore, there is no falling down, and ultimately he enters into the abode of the Lord without delay. The practice of reduced eating is automatically done when one eats only kṛṣṇa-prasādam, or food which is offered first to the Lord. Reducing the eating process is very helpful in the matter of sense control. And without sense control there is no possibility of getting out of the material entanglement.

“주를 향한 순수한 봉헌에 종사하는 자는 물질적 본성의 양태를 초월하여 영적인 경지에 즉시 오른다.” 끄리쉬나 의식인 사람은 초월적 경지에서 시작하고, 항상 그 의식을 유지한다. 따라서 그에게 타락이란 없으며, 궁극적으로 주의 영토에 지체 없이 들어가게 된다. 소식(小食)하는 수행은 우리가 오직 끄리쉬나-쁘라사담(kṛṣṇa-prasādam), 즉 주께 먼저 바친 음식을 먹을 때 저절로 실천된다. 소식은 감각 통제에 크게 도움 되며 감각을 다스리지 않는 한, 물질적 속박에서 벗어날 가능성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