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47

제47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कर्मण्येवाधिकारस्ते मा फलेषु कदाचन ।
मा कर्मफलहेतुर्भूर्मा ते सङ्गोऽस्त्वकर्मणि ॥ ४७ ॥

Text

원문

karmaṇy evādhikāras te
mā phaleṣu kadācana
mā karma-phala-hetur bhūr
mā te saṅgo ’stv akarmaṇi
까르마녜바디까라스 떼 karmaṇy evādhikāras te
마 팔레슈 까다짜나 mā phaleṣu kadācana
마 까르마-팔라-헤뚜르 부르 mā karma-phala-hetur bhūr
마 떼 상고’스뜨바까르마니 mā te saṅgo ’stv akarmaṇi

Synonyms

동의어

karmaṇi — in prescribed duties; eva — certainly; adhikāraḥ — right; te — of you; — never; phaleṣu — in the fruits; kadācana — at any time; — never; karma-phala — in the result of the work; hetuḥ — cause; bhūḥ — become; — never; te — of you; saṅgaḥ — attachment; astu — there should be; akarmaṇi — in not doing prescribed duties.

까르마니: 규정된 의무, 에바: 확실히, 아디까라하: 권리, 떼: 너의, 마: 결코 않다, 팔레슈: 결실, 까다짜나: 어느 때라도, 마: 결코 않다, 까르마-팔라: 일의 결과로, 헤뚜: 원인, 부: 되다, 마: 결코 않다, 떼: 너의, 상가하: 집착, 아스뚜: 마땅히 해야 한다, 아까르마니: 규정된 의무를 수행하지 않는.

Translation

번역

You have a right to perform your prescribed duty, but you are not entitled to the fruits of action. Never consider yourself the cause of the results of your activities, and never be attached to not doing your duty.

너는 네게 규정된 의무를 수행할 권리는 있지만 그 행위의 결과에 대한 권리는 없다. 너 자신을 네 행위가 낳는 결과의 원인이라 절대 생각지 말아라. 그렇다고 네 의무를 수행하지 않아서도 안 되느니라.

Purport

주석

There are three considerations here: prescribed duties, capricious work, and inaction. Prescribed duties are activities enjoined in terms of one’s acquired modes of material nature. Capricious work means actions without the sanction of authority, and inaction means not performing one’s prescribed duties. The Lord advised that Arjuna not be inactive, but that he perform his prescribed duty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result. One who is attached to the result of his work is also the cause of the action. Thus he is the enjoyer or sufferer of the result of such actions.

여기에서 세 가지 사항, 즉 규정된 의무, 방종, 그리고 무위(행위를 하지 않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규정된 의무란 자신이 얻게 된 물질계의 본성에 맞게 요구되는 행위이다. 방종이란 권위자로부터의 허가 없이 하는 행위이며 무위란 자기에게 규정된 의무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주께서 아르주나에게 무위하지 말고 결과에 집착함 없이 규정된 의무를 수행하라고 조언하신다. 자기가 한 일의 결과에 집착하는 자 또한 행위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그러한 자는 일의 결과를 두고 기뻐하거나 슬퍼한다.

As far as prescribed duties are concerned, they can be fitted into three subdivisions, namely routine work, emergency work and desired activities. Routine work performed as an obligation in terms of the scriptural injunctions, without desire for results, is action in the mode of goodness. Work with results becomes the cause of bondage; therefore such work is not auspicious. Everyone has his proprietary right in regard to prescribed duties, but should act without attachment to the result; such disinterested obligatory duties doubtlessly lead one to the path of liberation.

규정된 의무는 세 가지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이것은 이름하여 일상적인 일, 위급한 일, 그리고 바람직한 일이다. 결과에 대한 기대 없이 경전의 가르침에 따라 의무로서 수행하는 일상의 일을 선성(善性)의 행위라고 한다. 결과를 바라는 행위 자체가 속박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그런 행위는 상서롭지 않다. 모든 사람은 규정된 의무를 수행할 권리는 있지만 그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행동해야 한다. 사심 없이 의무를 수행하면 틀림없이 해방의 길에 이른다.

Arjuna was therefore advised by the Lord to fight as a matter of duty without attachment to the result. His nonparticipation in the battle is another side of attachment. Such attachment never leads one to the path of salvation. Any attachment, positive or negative, is cause for bondage. Inaction is sinful. Therefore, fighting as a matter of duty was the only auspicious path of salvation for Arjuna.

그러므로 아르주나는 주로부터 결과에 대한 집착 없이 의무로서 싸워야 한다고 충고받았다. 전투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것은 집착의 또 다른 측면이다. 그런 집착은 우리를 구원의 길로 절대 이끌지 않는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어떤 종류의 집착도 속박의 원인이 된다. 무위는 죄악이다. 그러므로 의무로서 싸우는 것이 아르주나에게는 유일하게 상서로운 구원의 길이다.